•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date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5초

온도시간 기반의 배추 생육단계 추정 (A Thermal Time - Based Phenology Estimation in Kimchi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 김진희;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3-339
    • /
    • 2015
  • 기온자료만으로 배추의 결구시기 및 수확적기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실측자료에 근거한 배추 생육단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서는 배추의 일생을 생육기와 결구기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매일의 생장량이 최적 함수식에 의해 계산된다. 최적 함수식의 도출에는 강원도 고랭지 여름배추 주산지와 전남 해남의 가을배추 주산지 7개 농가, 8개 작형에서 수집된 2012-2014년 자료가 활용되었다. 예측모형의 성능검증에는 같은 지역의 다른 농가 17개에서 수집된 생육자료와 소기후모형에 의해 복원된 국지기온자료로 구성된 독립자료세트가 사용되었는데, 17개 지점의 3년간 수확예정일 평균추정오차(RMSE)는 5.3일 이었다. 이 모형은 기상청의 일별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역과 작형에서 재배되는 배추의 결구기와 수확기를 예측하는 소위 '농업기상예보'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종량이 답리작 호밀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 on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13-520
    • /
    • 1991
  • 충남 예산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때 파종량과 예취기간가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이 많아질수록 호밀의 초장과 단위면 적당 경수는 증가하였으며 건물률은 감소하였다. 2. 청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예산에서 청예수량이 가장 높았던 예취기는 5월 15일,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던 예취기는 5월 25일 이었다. 3. 파종량이 많을 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조단백질, 가급태단백질 및 가소화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조섬유함량(ADF와 NDF)은 증가하였다. 4. 파종량이 많을 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총가소화영양분(TDN) 함량과 상대적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TDN 수량은 파종량 18-28kg/10a, 5월 15-25일 수확시 가장 높았다. 5. 호밀의 에너지 함량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나, 단위면적당 에너지 생산량은 ENE와 NEL은 23kg/10a 파종-5월 15일 수확할때, NEM은 18kg/10a 파종-5월 15일 수확할때 가장 높았다. NEG는 18-28kg/10a 파종-5월 5일 수확할 때 가장 높았다.

  • PDF

벼 수확전 파종 보리의 생육과 수량성 (Growth and Yield of Barley Broadcasted before Rice Harvest)

  • 주정일;김칠현;문창식;김창영;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8-436
    • /
    • 1995
  • 벼 수확과 맥류파종간에 노동력 및 농기계에 대한 경합을 분산하면서 무경운에 의한 파종작업의 조방화로 성력효과를 기하고자 벼 수확전 입모중에 맥류 종자를 전면 산파하고 벼 수확시 볏짚으로 맥류종자를 피복되게 하는 파종법을 트렉터부착 줄뿌림 파종기에 대한 휴입세조파 방법과 비교하였다. 파종방법간 비교시험은 올보리를 공시하여 1990~1994년 4사맥작기간 동안 대전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입모중 파종기 시험으로 벼 수확전 1일, 5일, 10일, 15일에 파종한 후 파종기 차이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을 1992~1994년까지 2작기 동안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입모중 보리 산파는 세조파에 비하여 월동전후 초장이 길고 분얼수가 많았으나 월동후 고엽율은 평균 17.4% 높았다. 2. 지상부 생육은 세숙파에 비하여 입모중 파종에서 저조하였고, 출수기와 성숙기는 두 파종방법간 비슷하였다. 3. 수량은 입모중 파종에서 평균 364 kg / 10a로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평균 20.6% 감소하였고 이는 주로 m$^2$ 당 이삭수 및 1수입수의 감소에 기인하였다. 4. 벼 수확전 파종일에 따른 보리의 생육 및 수량성은 유의성이 없었다. 5. 입모중 파종이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연차간 변의가 높았다.

  • PDF

Mulching Methods and Removing Dates of Mulch Affects Growth and Post Harvest Qual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cv. Uiseong

  • Kwon, Kwon-Seok;Azad, Md. Obyedul Kalam;Hwang, Jae-Mo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293-297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and removing time of the transparent polyethylene (PE) film on the growth of garlic at Uiseong experimental field, Korea. The experimental mulching materials comprised of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0.025 mm) and net polyethylene (NPE).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of garlic were highest at PE treatment when the PE removing date was March 18 and this treatment also promoted the no. of cloves. Length of leaf sheath and bolting rate were highest and bulb weight loss rate was lowest at PE + NPE treatment when the PE removing date was March 18. But clove number was the lowest in this treatment compared to conventional PE film treatment. Conventional mulching method accelerated secondary growth rate but bulb weight loss was vice versa.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in bulb diameter among treatments but conventional treatment positively focused on bulb diameter. Whenever PE film remove can suppress weeds compared to no mulching treatment but the dry weight of weeds were increasing trends as the removal dates of PE film were delayed. Transparent PE or PE + NPE treatments can be recommended to grow best quality garlic when PE film removing date is March 18.

적산온도를 활용한 중북부지역 찰옥수수 적정파종기 설정 (Determination of Adaptable Sowing Dates of Waxy Corn Using Growing Degree Days in the Central Northern Area of Korea)

  • 심강보;이종기;구본일;신명나;윤성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269-277
    • /
    • 2019
  •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옥수수 생육 및 수량성을 비교하고 출사기, 출사후 등숙기까지 적산온도를 활용하여 중북부지역에서 적합한 옥수수 파종시기를 구명하고자 2017~2018년 2년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빠를수록 토양온도가 낮아 옥수수 유묘 출현기간이 길었으며, 파종시 기별 평균 유묘 출현소요일수는 조생형인 미백2호가 9.1일, 중생형인 일미찰이 9.5일, 만생형인 찰옥4호가 10.1일 소요되어 조생형일수록 유묘출현소요일수가 짧았다. 2. 지온과 유묘 출현일수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지온이 낮은 4월에는 유묘 출현일수가 16~22일, 지온이 높은 5월에는 9~15일 정도로 감소하였다. 3. 파종기에 따른 경장, 이삭길이, 이삭폭은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조생형인 미백2호는 5월 15일, 중생형인 일미찰은 5월 25일, 만생형인 찰옥4호는 6월 15일 파종에서 각각 수량이 가장 높아 중북부지역의 평년기온 조건에서 생태형별 적정 파종기로 판단할 수가 있었다. 4. 동일 파종조건에서 출사 후 26일 까지 품종 간 유효적산 온도 차이는 적었으나 만생형 품종일수록 성숙기까지 소요적산온도가 적었는데 출사 후 26일까지 유효적산온도는 조생형인 미백2호가 $975^{\circ}C$, 만생형인 찰옥4호가 $604^{\circ}C$이었다. 5. 중북부지역에서 찰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생태형에 따른 품종의 파종지표로 유효적산온도를 활용할 경우 조생형인 미백2호는 출사 후 26일까지 적산온도, 중생형인 일미찰은 전 생육기간 적산온도, 만생형인 찰옥4호는 출사기까지 적산온도가 적합하였다. 6. 중북부지역(강원도, 경기북부)에서 생태형에 따른 찰옥수수를 재배 할 경우 파종기부터 등숙기까지 평균 적산온도는 약 $2,400^{\circ}C$, 평균 출사일수는 65일 이상 조건에서 10 a 당 1,200 kg 수준의 수량성 확보가 가능하였다.

THE ROLE OF GINSENG DRYING IN THE HARVEST AND POST-HARVEST PRODUCTION SYSTEM FOR AMERICAN GINSENG

  • Bailey W.G.;Dalfsen K.B. van;Guo Y.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3년도 학술대회지
    • /
    • pp.155-163
    • /
    • 1993
  • An American ginseng(Panax quillquefolium L) industry has emerged in British Columbia, Canada over the past ten years. Interest has grown very rapidly and with this development, attention is now moving away from field production issues and emphasis is being directed to enhancements in ginseng storage, drying and processing. There is a dearth of knowledge on these aspects even though they are crucial to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nhancement dicatates the application of a systems approach to optimizing the harvest and post - harvest production system(crop digging, pre - washing cold storage. washing, drying and post - drying storage). Research in British Columbia to date has focussed on drying and storage issues and has resulted in the design of an enhanced commercial drying system. The role of dryer management, loading rates, airflow rates and pre - drying cold storage on American ginseng root drying rates and root quality were examined. From the dryer management experiments, there are distinct advantages to size sorting root to yield optimum drying rates. If unsorted root is used, efficiency is increased if the trays are systematically rotated. Loading rate experiments illustrate that increasing rates above those currently used in commercial dryers are possible without any sacrifice in quality. Thi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ommercial drying. Pre - drying cold storage is a most significant tool for managing drying operations. Over a period of six weeks, no discernable decrease in quality was found as a consequence of cold storage. Further, the moisture loss and the associated root surface changes(loss of surface soil in storage for example) provide new challenges for root quality management. Continued researc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will be crucial in addressing the demanding challenges of the future.

  • PDF

Effects of seeding and harvest dates on the productivity, nutritive values, and livestock carrying capacity of spring-seeded oats (Avena sative L.) in the northern Gyeongbuk province

  • Hwangbo, Soon;Oh, Myung Gon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400-408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livestock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of Hanwoo heifer with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forage by evaluating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spring seeding oats (Avena sative L.)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and harvesting timings. Dry matter yields were the highest at 13.62 tons per ha when oat was seeded on March 15 and harvested on June 8 (p < 0.05), while the lowest yield of 6.29 tons per ha was obtained when seeded on February 25 and harvested on May 19 (p < 0.05). The highest crude protein yield of 1.27 tons per ha (p < 0.05) was obtained when seeded on March 5 and harvested on June 8.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was the highest at 7.38 tons per ha when harvested on June 8, the last harvest of the experiment (p < 0.05).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buk province, spring seeding oats at the beginning of March, rather than in the middle of March, showed good annual livestock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According to harvest timing, the plot harvested on June 8 showed the highest livestock carrying capacity with an average of 6.53 heads (p < 0.05). In conclusion,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buk province in spring, it is better to seed oat early in March and to harvest early in June to increase the livestock breeding capacity, considering dry matter productivity and feed value.

Effects of growing degree days on growth and yield of maize depending on the sowing date

  • Jung, Gun Ho;Kim, Mi Jung;Son, Beom Young;Shin, Seong Hyu;Kim, Sung Kook;Lee, Jae Eun;Kim, Chung Guk;Kwon, Young Up;Shim, Kang Bo;Heu, Sungg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24-324
    • /
    • 2017
  • Total 15 different corn hybrids, Kwangpyeongok, Gangdaok, Yanganok, Singwangok, Jangdaok, Cheonganok, Cheongdaok, Andaok, Dapyeongok, Pyeongkangok, Pyeonganok, Daanok, Sunwon P3394, Gangilok, P3394, had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 and yield of corn hybrids depends on the sowing date. Sowing dates were April 5th, June 25th, and July 5th and all experiments had three repeats. The growth of Gangdaok was the best. However, in the case of Kwangpyeongok, the growth was not the best to compare with Gangdaok, but the stem to ear height ratio was lower than Gangdaok, it may be better for the stable cultivation. Both of the growth and yield of Daanok was not good regardless of planting date, but the yield and ear shape of Pyeongkangok and Dapyeongok were good for fresh corn. The growth and yield of 15 different corn hybrids were variable depends on the planting date, however, the growth degree days (GDD)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maturity of the corn. More than $1500^{\circ}C$ of GDD was enough to harvest mature corn hybrid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Besides the yield and growth, other characters such as sweetness and taste as a food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for the fresh corn to be suggested.

  • PDF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ate and Cutting Time on Growth and Dry Matter Yield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김성민;채제천;이효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31-436
    • /
    • 1994
  • 충남 예산지방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가 생육, 수량 및 식물체 부위별 건물구 성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산지방에서 파종기가 11월 5일 이후로 늦어지면 호밀의 출현일수가 길어지고 출현율 및 월동율이 감소하며 출수기가 지연되었다. 2. 호밀의 생장속도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고 파종기가 11월 5일 이후로 지연됨에 따라 생육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3. 호밀의 청예 및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나 다른 지역에서보다 파종적기의 폭이 넓어서 10월 5일에서 10월 25일 사이의 파종기간 차가 크지 않았다. 청예수량은 개화기 예취시, 건물수량은 유숙기 예취시 가장 높았다. 4. 호밀의 식물체 부위별 건물구성비율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엽신과 엽초의 비율이 감소하고 줄기와 이삭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