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 gesture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45초

원격협업 시스템에서 협력자 눈 시점 공유 (Sharing Eye Gaze in Mixed Reality Remote Collaboration System)

  • 정재준;김승원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6호
    • /
    • pp.30-36
    • /
    • 2022
  • 본 논문은 원격협업 시스템에서 시각적 의사소통 도구인 눈 시점 포인터 공유의 장점을 알아보았다. 특히 원격 협력자의 손동작이 가상 손으로 공유될 때, 추가로 공유된 원격 협력자의 시점 포인터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4명의 피실험자가 참여한 사용자 실험에서, 추가된 원격 협력자의 눈 시점 포인터는 현지 협력자와 원격 협력자 모두의 작업 부하를 줄여주었으며 두 협력자 간 co-presence를 높여주었다.

손 동작 인식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주행 (Navigation of a Mobile Robot Using Hand Gesture Recognition)

  • 김일명;김완철;윤경식;이장명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599-606
    • /
    • 2002
  • A new method to govern the navigation of a mobile robot using hand gesture recognition is proposed based on the following two procedures. One is to achieve vision information by using a 2-DOF camera as a communicating medium between a man and a mobile robot and the other is to analyze and to control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recognized hand gesture commands. In the previous researches, mobile robots are passively to move through landmarks, beacons, etc. In this paper, to incorporate various changes of situation, a new control system that manages the dynamical navigation of mobile robot is proposed. Moreover, without any generally used expensive equipments or complex algorithms for hand gesture recognition, a reliable h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is efficiently implemented to convey the human commands to the mobile robot with a few constraints.

Hand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 Park, Jong-Ho;Ko, Duck-You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2
    • /
    • pp.995-998
    • /
    • 2002
  • In this paper, we present a fast algorithm for hand gesture recognition of a human from an image by using the directivity information of the fingers. To implement a fast recognition system, we applied the morphological shape decomposition. A proposed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has been tested on the 300 ${\times}$ 256 digital images. Our experiments using image acquired image camera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hand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is effective.

  • PDF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동적 손동작 인식 (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Guide Lines)

  • 김건우;이원주;전창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5호
    • /
    • pp.1-9
    • /
    • 2010
  • 일반적으로 동적 손동작 인식을 위해서는 전처리, 손 추적, 손 모양 검출의 단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처리와 손 모양 검출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킨 동적 손동작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동적테이블을 이용하여 노이즈제거 성능을 높이고, YCbCr 컬러공간을 이용한 기존의 피부색 검출 방식에서 피부색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색 검출 성능을 높인다. 특히 손 모양 검출 단계에서는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동적 손동작 인식의 요소인 시작이미지(Start Image)와 정지 이미지(Stop Image)를 검출하여 동적 손동작을 인식하기 때문에 학습예제를 사용한 손동작 인식 방법에 비해 인식 속도가 빠르다는 이점이 있다. 가이드라인이란 웹캠을 통해 입력되는 손의 모양과 비교하여 검출하기 위해 화면에 출력하는 손 모양의 라인이다.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동적 손동작 인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웹캠을 사용하여 복잡한 배경과 단순한 배경으로 구분된 9가지 동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CPU 점유율이 낮고, 메모리 사용량도 적기 때문에 시스템 부하가 높은 환경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차원 손 특징을 이용한 손 동작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3D hand feature)

  • 배철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74-67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손 특징 데이터를 이용한 동작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3차원 센서에 의해 조밀한 범위의 영상을 생성하여 손 동작에 대한 3차원 특징을 추출하여 손 동작을 분류한다. 또한 다양한 조명과 배경하에서의 손을 견실하게 분할하고 색상 정보와 상관이 없어 수화와 같은 복잡한 손 동작에 대해서도 견실한 인식능력을 나타낼 수가 있다. 제안된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는 3차원 영상 획득, 팔 분할, 손과 팔목 분할, 손 자세 추정, 3차원 특징 추출, 그리고 동작 분류로 구성되어 있고, 수화 자세에 대한 인식 실험으로 제안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HMM을 이용한 알파벳 제스처 인식 (Alphabetical Gesture Recognition using HMM)

  • 윤호섭;소정;민병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384-386
    • /
    • 1998
  • The use of hand gesture provides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cumbersome interface devices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HCI). Many methods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visual analysis have been proposed such as syntactical analysis, neural network(NN), Hidden Markov Model(HMM) and so on. In our research, a HMMs is proposed for alphabetical hand gesture recognition. In the preprocessing stage, the proposed approach consists of three different procedures for hand localization, hand tracking and gesture spotting. The hand location procedure detects the candidated regions on the basis of skin-color and motion in an image by using a color histogram matching and time-varying edge difference techniques. The hand tracking algorithm finds the centroid of a moving hand region, connect those centroids, and thus, produces a trajectory. The spotting a feature database, the proposed approach use the mesh feature code for codebook of HMM. In our experiments, 1300 alphabetical and 1300 untrained gestures are used for training and testing, respectively. Thos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yields a higher and satisfying recognition rate for the images with different sizes, shapes and skew angles.

  • PDF

증강현실의 3D 객체 조작을 위한 핸드-제스쳐 인터페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Hand-Gesture Interface to manipulate a 3D Object of Augmented Reality)

  • 장명수;이우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17-12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쳐를 인식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환경에서 3D 객체를 조작하기 위한 핸드-제스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구현된 핸드-제스쳐 인터페이스는 입력된 실 영상으로부터 손 영역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핸드 제스쳐에 의한 핸드 마커에 의해서 증강 객체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 제스쳐에 상응하는 3D 객체 조작은 손 영역의 면적 비율, 손가락 개수, 손 영역 중심점의 변화 등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수행한다. 구현된 증강현실 3D 객체 조작 인터페이스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OpenGL로 3D 객체를 제작하고, OpenCV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C++언어를 사용하여 핸드 마커 및 제스쳐 인식의 모든 처리 과정을 구현하였다. 그 결과, 각 사용자 핸드-제스쳐 명령-모드별 평균 인식률이 90%이상으로 성공적인 인터페이스 기능을 보였다.

Hand Gesture Recognition Suitable for Wearable Devices using Flexible Epidermal Tactile Sensor Array

  • Byun, Sung-Woo;Lee, Seok-Pil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1732-1739
    • /
    • 2018
  • With the explosion of digital devices, interaction technologies between human and devices are required more than ever. Especially, hand gesture recogni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used. It is divided into the two groups: the contact sensor and the non-contact sensor. Compared with non-contact gesture recognition, the advantage of contact gesture recognition is that it is able to classify gestures that disappear from the sensor's sight. Also, since there is direct contacted with the user, relatively accurate information can be acquired. Electromyography (EMG) and force-sensitive resistors (FSRs) are the typical methods used for contact gesture recognition based on muscle activities. The sensors, however, are generally too sensitive to environmental disturbances such as electrical noises, electromagnetic signals and so 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contact gesture recognition method based on Flexible Epidermal Tactile Sensor Array (FETSA) that is used to measure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movements of the wrist. To recognize gestures using FETSA, we extracted feature sets, and the gestures were subsequently classified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gesture recognition method is very promising in comparison with two previous non-contact and contact gesture recognition studies.

윤곽선 특징점 기반 형태 유사도를 이용한 손동작 인식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Shape Similarity Based On Feature Points Of Contour)

  • 이홍렬;최창;김판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585-588
    • /
    • 2008
  • 본 논문은 손동작 인식을 위한 형태 유사도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손 영역 획득과 유사도 측정 단계로 나눈다. 손 영역 획득은 YCbCr 칼라 공간을 이용하여 손 영역을 추출하며, filter와 Histogram분석을 통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리고 손 형태 유사도 측정은 윤곽선을 추출한 후 인접 간선들 사이의 거리와 각도 관계로 TSR을 적용하여 손동작의 유사성을 측정하였다. 파악된 특징점으로부터 형태 유사도 값을 측정한 후, 이를 손동작을 인식하는데 활용한다.

  • PDF

연속DP와 칼만필터를 이용한 손동작의 추적 및 인식 (Tracking and Recognizing Hand Gestures using Kalman Filter and Continuous Dynamic Programming)

  • 문인혁;금영광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3-16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track hand gesture and to recognize the gesture pattern using Kalman filter and continuous dynamic programming (CDP). The positions of hands are predicted by Kalman filter, and corresponding pixels to the hands are extracted by skin color filt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ands is the same as the input pattern vector. The input gesture is then recognized by matching with the reference gesture patterns using CDP. From experimental results to recognize circle shape gesture and intention gestures such as “Come on” and “Bye-bye”, we show the proposed method is feasible to the hand gesture-based human -computer inter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