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ophilic bacteria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4초

Moderate 호염성 세균의 Plasmid 유전자 분리 (Isolation of Plasmids from the Moderately Halophilic Bacteria)

  • 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57-562
    • /
    • 1985
  • 천일염으로 부터의 $10\%$ NaCl 농도에서 생육할 수 있는 moderate 호염성 세균들을 대상으로하여 간단한 boiling 법으로 plasmid 유전자를 함유하는 6종을 선별하여 Alkaline-Lysis 법과 고분자 plasmid 추출법인 D. Portnoy & F. White 방법에 따라 plasmid를 추출하여 agarose gel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였고 각 균을 동정하였다. 그중 Vibrio sp. 14는 최소 7.2kbp, Alcaligenes sp.63은 6.4 kbp, Pseudomonas sp.11은 6.35 kbp, Flavohacterium sp.38은 8.5 kbp, Bacillus sp.16은 8.75 kbp, Alcaligenes sp.52는 6.8kbp 크기의 plasmid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호염세균 Haloarcular sp. EH-1으로부터 추출한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특성 (Characteristic of Carotenoid Component from Halophilic Bacteria, Haloarcular sp. EH-1)

  • 정영기;최병대;강석중;정성훈;이용규;김해윤;정명주
    • KSBB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673-676
    • /
    • 2000
  • 호염성 세균이 갖는 특성 즉, 다른 균에 의한 오염 감소, 세포벽 파괴의 수월성,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색소추출 등을 응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호염성 세균인 Haloarcular sp. EH-1 으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를 bioreactor 에서 배양한 후 색소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3 L 용량에서는 8 83.1 mg%, 5 L 용량에서는 82.7 mg%의 카로테노이드를 함 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주된 성분은 $\beta$-c따otene (8.1 %), $\beta$-hydroxyechinenone (42.0%) 및 astaxanthin(25.0% )으로 동정 되었으며, 이들 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표품과의 co- TLC, co-HPLC, 가시부 홉수스펙트럼, 화학적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 PDF

염소이온 저감능 박테리아가 모르타르의 염소이온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ide Ion-reducing Bacteria on the Chloride ion Concentration in Cement Mortars)

  • 황지원;윤현섭;양근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9-50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of halophilic bacteria in reducing the chloride ion concentration within the cement mortars exposed to chloride attack.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with Halomonas venusta showed an equivalent performance to that of counterpart mortars without bacteria. Also, the chloride ion concentration measured in mortars including Halomonas Venusta was 71% lower than that of the counterpart mortars without bacteria.

  • PDF

염전으로부터 농화배양된 호염 메틸영양미생물 군집의 특성 (Prokaryotic Communities of Halophilic Methylotrophs Enriched from a Solar Saltern)

  • 김종걸;박수제;이성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6-290
    • /
    • 2010
  • C-1화합물은 고염분성 환경의 혐기적인 퇴적층에서 관찰되며, 이 퇴적층의 표면과 수면에는 호기성 메틸영양미생물의 잠재적인 서식지가 된다. 염전과 갯벌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를 접종원으로 하여 메탄올을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공급하고 염분농도에 따라 계대배양한 후 메탄올 산화 세균 성장 조건을 살펴 본 결과, 메탄올 산화 세균이 성장 할 수 있는 염분의 최대 농도는 20% 조건이었다. 변성 구배 젤 전기영동 (Denaturing gel gradient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농화배양액 내 미생물 군집구조를 분석한 결과, 메탄올 산화 미생물인 Methylophaga 관련 세균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량 PCR결과 고세균이 세균의 1-10%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용 항생제 실험결과, 메탄올 산화가 억제되어 고세균이 메탄올 산화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메틸영양세균이 고염분환경(염분 농도 20%까지)에서도 C-1 화합물을 산화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Microscopy of Microbial Gas Vesicles

  • Park, Junhyung;Kim, Ki Woo
    • Applied Microscopy
    • /
    • 제47권3호
    • /
    • pp.165-170
    • /
    • 2017
  • Gas vesicles are intracellular gas-filled protein-shelled nanocompartments. The structures are spindle or cylinder-shaped, and typically $0.1{\sim}2{\mu}m$ in length and 45~250 nm in width. A variety of prokaryotes including photosynthetic bacteria and halophilic archaea form gas vesicles in their cytoplasm. Gas vesicles provide cell buoyancy as flotation devices in aqueous habitats. They are used as nanoscale molecular reporters for ultrasound imaging for biomedical purposes. The structures in halophilic archaea are poorly resolved due to the low signal-to-noise ratio from the high salt concentration in the medium. Such a limitation can be overcome using focused ion beam-thinning or inelastically scattered electrons. As the concentric bodies (~200 nm in diameter) in fungi possess gas-filled cores, it is possible that the concept of gas vesicles could be applied to eukaryotic microbes beyond prokaryotes.

Haloarcular sp. EH-1에 의한 bacteriophage의 분리 (Isolation of Bacteriophage from Haloarcular sp, EH-1)

  • 정명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5-510
    • /
    • 2003
  • 멸치 젓갈에서 분리된 파아지의 일반적인 성질과 파아지 DNA 서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멸치 젓갈에서 분리된 파아지의 플라그는 대체로 작고 선명한 핀 형태로 직경 0.5∼l.0 mm이었으며, 파아지의 형태는 지름 68 nm의 대칭형 두부와 길이 100 nm의 contractile 미부를 가지고 있었고 base plate가 관찰되었다. 파아지 DNA의 크기는 약 20 Kbp 정도이었으며, DNA 염기서열은 H. salinarium 파아지 hp 32와 52.87%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나 보다 정확한 분류를 위해 파아지 DNA의 전체 염기서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배양기법을 활용한 제주도내 내산 및 호염성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resistanct and halophilic bacteria using cultivation technique in Jeju island)

  • 한빛;김민지;류다정;이기은;이병희;이은영;박수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48-2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의 토양 및 해양 환경으로부터 약 70주의 미생물들을 분리하였으며, 16S ribosomal RNA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최종 21종의 미생물을 발굴하였다. 이들 미생물들은 5 강(Class) 16 속(Genus)에 속하며, 모두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미생물의 기질 특이성 및 고분자 물질 분해능을 바탕으로 내산성과 호염성 미생물들의 생리활성 표현형은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미생물 자원활용에 기초적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pplication of Alkaliphilic Biofilm-Forming Bacteria to Improv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Sand Mortar

  • Park, Sung-Jin;Chun, Woo-Young;Kim, Wha-Jung;Ghim, Sa-Yo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3호
    • /
    • pp.385-389
    • /
    • 2012
  • The applic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material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however, almost all studies that were investigated were bacterial sources with mineral-producing activity and not with organic substances. The difference in the efficiency of using bacteria as an organic agent is that it could improve the durability of cement material.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use of biofilm-forming microorganisms as binding agents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sand material. We isolated 13 alkaliphilic biofilmforming bacteria (ABB) from a cement tetrapod block in the West Sea, Korea. Using 16S RNA sequence analysis, the ABB were partially identified as Bacillus algicola KNUC501 and Exiguobacterium marinum KNUC513. KNUC513 was selected for further study following analysis of pH and biofilm formation. Cement-sand mortar cubes containing KNUC513 exhibited greater compressive strength than mineral-forming bacteria (Sporosarcina pasteurii and Arthrobacter crystallopoietes KNUC403). To determine the biofilm effect, Dnase I was used to suppress the biofilm formation of KNUC513.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 revealed the direct involvement of organic-inorganic substance in cement-sand mortar.

고호염성 Haloarcular sp. EH-1으로 부터 amylase 생산 (Amylase Production from Haloarcular sp. EH-1)

  • 정명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70-576
    • /
    • 2002
  • 천일염에서 분리된 고호염성균인 Hainrcular sp. EH-1 으로부터 amylase 생성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여 최적조건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밀라아제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은 4$0^{\circ}C$, pH 7.5이었으며, 최적 생육배지를 soluble starch 1.5%, yeast extract 1.0%, MgSO$_4$7$H_2O$ 2.0%, KCI 0.1%, NaCl 25%로 조성하여 500 $m\ell$ 삼각 플라스크에 100 $m\ell$ 씩 분주하여 110 rpm/min으로 진탕 배양시켰다. 생육과 효소활성은 9일 배양 후 최대치를 나타내어서, 균의 생육정도와 효소생산 사이에서 증식연관형을 나타내었다.

The Membrane-Bound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in the Aerobic Respiratory Chain of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nautica

  • Lee, Young-Jae;Cho, Kyeung-Hee;Kim, Young-J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225-229
    • /
    • 2003
  • Each oxidoreductase activity of the aerobic respiratory chain-linked NADH oxidase system in the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nautica was stimulated by monovalent cations including $Na^+,\;Li^+,\;and\;K^+$. In the presence of NADH or deamino-NADH as electron donors, $GH_2$ formation was approximately 1.3-fold higher in the presense of 0.08 M of $Na^+\;than\;K^+$, Whereas the other reductase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in $Na^+\;than\;K^+$. The optimal pH of NADH (or deamino-NADH):ubiquinone-1 oxidoreductase was 9.0 in the presence of 0.08 M NaCl. The activity of NADH (or deamino-NADH):ubiquinone-1 oxidoreductase was inhibited by about 33% with $60{\mu}M$ 2-heptyl-4-hydroxyquinoline-N-oxide (HQNO). The activity of NADH (deamino-NADH): ubiquinone-1 oxidoreductase was inhibited by about 32 to 38% with $80{\mu}M$ rotenone, whereas the activity was highly resistant to capsaicin. On the other hand, electron transfer from NADH or deamino-NADH to ubiquinone-1 generated a membrane potential (${\Delta}{\psi}$) which was larger in the presence of $Na^+$ than that observed in the absence of $Na^+$. The ${\Delta}{\psi}$ was almost completely collapsed by $5{\mu}M$ carbonylcyanide m-chlorophenylhydrazone(CCCP), and approximately 50% inhibited by $100{\mu}M$ rotenone, or $60{\mu}M$ 2-heptyl-4-hydroxyquinoline (HQNO). Also, HQNO made the ${\Delta}{\psi}$ very unstabl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nzymatic and energetic properties of the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of P. nautica are quite different,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marine halophilic 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