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map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7초

금강유역 대형댐 하류 하도지형 경년변화 및 하상재료 종적변이 연구 (Temporal Adjustment of Channel Geometry and Spatial Changes in Riverbed Materials along the Downstream Channels of Large Dams in the Geum River basin)

  • 옥기영;최미경;박형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87-294
    • /
    • 2019
  • 대형댐 하류의 수용생태계에서는 상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과 토사 이동의 양적 단절과 질적 변환에 따라 서식처의 물리화학적 교란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금강 중상류역을 대상으로 대형댐에 의한 하상재료와 토양의 종적변화, 그리고 대형댐 건설 이후 하류 하천의 하도지형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댐 상·하류 하상재료 입도분석 결과, 용담댐 구간은 상·하류 모두 호박돌, 굵은자갈로 조립화되어 있었으며, 대청댐 구간은 댐하류에서 중간입경이 가는자갈로 급격히 감소하고 모래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토양유기물은 두 개의 댐 모두 하류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고지도와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청댐 하류의 하도지형을 분석한 결과, 사주면적의 감소와 사주 내 식생비율의 급격한 증가, 사행도와 저수로폭의 감소 경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댐 건설에 따른 서식처 변화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댐 하류 조절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기 위한 복원관리 방안을 도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사초(Carex siderosticta Hance)의 외부형태, 분포 및 대사초 절 내에서의 분류학적 위치 (Morphological Features, Distributional Status of Carex siderosticta Hance in South Korea and Its Taxonomic Position Within Sect. Siderostictae)

  • 문애라;박정미;강신호;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7-270
    • /
    • 2012
  • 국내에 분포하는 대사초절에 속하는 3분류군의 외부형태형질을 분석하고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이들 간의 유연관계를 밝혔다. 대사초절 내의 기본종인 대사초의 외부형태학 특징을 재검토하여 기존 문헌과의 차이를 파악하였으며, 식물상 문헌 및 표본을 통해 국내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문헌에 언급된 형질들 중에서 잎의 형태는 생육지 조건에 따라 변이가 심하였지만, 지하경 생장 양상, 잎과 과낭의 털의 존재 등은 종수준에서 구분하는데 좋은 형질이었다.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털대사초는 독립된 종으로 처리되는 것을 지지하였다.

Complex Power: An Analytical Approach to Measuring the Degree of Urbanity of Urban Building Complexes

  • Xu, Shuchen;Ye, Yu;Xu, Leiqing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65-175
    • /
    • 2017
  • The importance of designing urban building complexes so that they obtain 'urban' power, rather than become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 urban context, has been well recognized by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Nevertheless, most current discussions are made from architects' personal experiences and intuition, and lack a quantitative understanding, to which obstacles include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urban' power between building complexes and the urban environment. This paper attempts to measure this feature of 'urban', i.e., 'urbanity,' through a new analytical approach derived from the opendata environment. Three measurements that can be easily collected though the Google Maps API and Open Street Map are applied herein to evaluate high or low values of urbanity. Specifically, these are 'metric depth', i.e., the scale of extended public space, 'development density', i.e., density and distribution of point of interests (POIs), and 'type diversity', i.e., diversity of different commercial types. Six cases located in Japan, China and Hong Kong respectively are ranked based on this analytical approach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It shows that Japanese cases, i.e., Osaka Station City and Namba Parks, Osaka, obtained clearly higher values than cases in Shanghai and Hong Kong. On one hand, the insight generated from measuring and explaining 'urban' power would help to assist better implementation of this feature in the design of urban building complexes. On the other hand, this analytical approach can be easily extended to achieve a large-scale measurement and comparison among different urban building complexes, which is also helpful for design practitioners.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기준 및 관리지역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Setting Criteria and Management Area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 전성우;천정윤;성현찬;송원경;박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54-171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how criteria of a National Ecological Network (NEN) for South Korea and it was a part of a study of ecological network for broad areas on national land show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After 1970s, many european countries presented methods and criteria not on individual protected area but on networking among many habitats. The PEEN (Pan European Ecological Network) and NATURA 2000 are results of those. In South Korea, concepts and mapping metheods of ecological network was studied but those were not applied to the whole national land because the equality and local specialities were not reflected. So,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criteria composed of forest, river, wildlife and coastal evaluation items in conservation ecology and showed the mapping method which can applied to the national land. After the evaluation on land area which composed of forest, river and wildlife axis. Core areas were $30,616km^2$, buffer zone were $21,870km^2$ and each accounted for 31% and 22% of the national land. Except for Taebaeck-Gangwon region, whole region's core areas were accounted for 20~30% of it and buffer zone were accounted for 20~25% of it, so these can be applied to the national land with equality and local specialities. Forest axis and river axis were clearly linear and connected, but the wildlife axis was dispersed in point form. Therefore, to apply the NEN, a detailed habitat map is important and the interconnected implementation of forest, river, wildlife, and coastal axis is require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Spatial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Hampyeong Bay, Korea

  • Han, Sang-Hak;Choi, Chulhyun;Lee, Jeom-Sook;Lee, Sanghu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4호
    • /
    • pp.219-228
    • /
    • 2021
  • During our observations of changes in halophyte distribution in Hampyeong Bay over a period of five years, w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area showed a maintenance for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 tendency of gradual increase for Zoysia sinica community, gradual decrease for Suaeda maritima community, and disappearance for 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during the studied period. Th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stably settled in areas adjacent to land and appeared not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physical factors (such as tides and waves) or disturbances caused by biological factors (such as interspecific competition). Among studied species, germination time was shown to be the fastest for Suaeda maritima. In addition, this species showed certain characteristics that allowed it to settle primarily in new habitats formed by sand deposition as its growth was not halted under conditions with high amounts of sand and high organic matter content. However, in areas where Zoysia sinica and Suaeda maritima resided together, the area inhabited by Suaeda maritima gradually decreased due to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the two species. This wa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a sharp decrease in the germination of Suaeda maritima since May, while the germination of Zoysia sinica was continuously maintained, indicating that the latter had an advantage in terms of seedling competition. In the case of the 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its habitat was found to have been completely destroyed because it was covered by sand. The study area was confirmed to have undergone a large change in topography as tides and waves resulted in sand deposition onto these lands. Hampyeong Bay is considered to have experienced changes in halophyte distribution related to certain complex factors, such as changes in physical habitats and changes in biological factors such as interspecific competition.

환경 DNA 메타바코딩을 활용한 멧돼지 및 육상 포유류 출현 모니터링 - 경기도 양평군 일대를 중심으로 - (Monitoring the presence of wild boar and land mammals using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 Case study in Yangpyeong-gun, Gyeonggi-do -)

  • 김용환;한윤하;박지윤;김호걸;조수현;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33-14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location of land mammals habitat by analyzing spatial data and investigate how to apply environmental DNA monitoring methodology to lotic system in Yangpyeong-gun, Gyeonggi-do. Environmental DNA sampling points are selected through spatial analysis with QGIS open source program by overlaying Kernel density of wild boar(Sus scrofa), elevation, slope and land-cover map, and 81 samples are collected. After 240 mL of water was filtered in each sample, metabarcoding technique using MiMammal universal primer was applied in order to get a whole list of mammal species whose DNA particles contained in filtered water. 8 and 22 samples showed DNA of wild boar and water deer, respectively. DNA of raccoon dog, Eurasian otter, and Siberian weasel are also detected through metabarcoding analysis. This study is valuable that conducted in outdoor lotic system. The study suggests a new wildlife monitoring methodology integrating overlayed geographic data and environmental DNA.

한국 미기록종 식물: 완도술꽃나무 (완도술꽃나무과) (Stachyurus praecox (Stachyuraceae), first report in Korea)

  • 오찬진;신순호;조지웅;김현우;한상섭;김지원;정재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72-377
    • /
    • 2021
  • 전남 완도군 섬지역에서 발견된 Stachyurus praecox Siebold & Zucc.를 우리나라 미기록 식물로 보고한다. 이 수종은 일본의 난·온대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특산수종으로 알려져 왔다. 꽃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형태적으로는 양성화지만, 기능적으로는 자웅이주로 관찰되었다. 화관은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4개이다. 국명은 최초 발견지 지역명과 꽃차례 모양이 장식용으로 달리는 여러 가닥의 실을 의미하는 뜻으로 쓰이는 "술"을 고려하여 "완도술꽃나무"로 신칭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재문과 도해, 사진을 제시하였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Korean Daphne L.

  • Beom Kyun Park;Balkrishna Ghimire;Eun-Mi Sun;Dong Chan Son;Seung Hwan Oh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27
    • /
    • 2020
  • Daphne L. (Thymelaceae) comprises about 95 species distributing worldwide from N Africa, N India, SE Asia to E Asia and the coast of the Mediterranean of Europe. In Korea, five species of this genus have been described. In this study, we included four species (D. genkwa, D. pseudomezereum, D. kiusiana, D. jejudoensis) from Korea, excluding cultivated D. odora.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through local survey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 specimens collected in the Korea National Herbarium (KH) were carried out and distribution maps for each taxon were also prepared. The major characters include habit, trichomes in winter bud, leaf, and twig, phyllotaxis, inflorescence, size of calyx lobe and trichomes in the calyx tube, etc. The distribution map showed that D. genkwa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area of Hwanghaenam-do, Pyeongannam-do, Jeollabuk-do and Jeollanam-do, whereas D. pseudomezereum is distributed in the limestone zone of Gangwon-do, Jeollabuk-do, and Gyeongsangbuk-do. Similarly, D. kiusiana is mostly found in Jeollanam-do, Gyeongsangnam-do, and Jeju-do. In addition, D. jejudoensis is known to be distributed in forests of Murueng, Andeok, and Seonheul-ri in Jeju-do, but recently, new habitat is discovered in the island forest areas of Jeollanam-do. However, some of these individual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D. kiusiana, thus before come to any conclusion detailed taxonomic review of D. jejudoensis and D. kiusiana is required.

  • PDF

독도 연안 해저 지구물리 자료의 통합 중첩 주제도 작성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Visualization and Mapping Techniques using the Geophysical Results of the Coastal Area of the Dokdo in the East Sea)

  • 이명훈;김창환;박찬홍;노현수;김대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5호
    • /
    • pp.381-3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독도 연안의 정밀 해저 지형도, 해저면 영상도와 고해상도 수중 영상 자료 결과들을 활용하여 통합 이미지화 및 3차원 중첩 주제도 작성을 통해 맵핑 기법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통합 이미지화 기법은 해저 지형 자료와 해저면 영상도, 수중 영상 자료 등의 환경 정보를 통합하여 지구물리 자료를 보다 입체적으로 표현 가능한 주제도를 만드는 것이다. 정밀 해저 지형 자료 및 해저면 영상 자료는 독도 서도 남부 연안 주변의 수심 약 50 m 범위에서 획득하였으며, 고해상도 수중 영상은 같은 구역 내에서 주요 서식지 환경이 형성되어 있는 세 구역을 선정하고 촬영하여 획득하였다. 통합 맵핑 기법을 적용한 주제도는 정밀 해저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며, 해저면 영상도와 고해상도 수중 영상을 지형 자료와 중첩 통합하고 분석 처리하여 독도 연안의 해저환경 및 서식지 특성을 나타내는 3차원 중첩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해저면 영상도와 고해상도 수중 영상 자료를 지형 자료와 통합한 3차원 중첩 주제도는 해저 지형 특성과 실제 해저면 환경을 연계하여 분석이 가능하므로 해저면 생태계의 환경 및 상황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이다. 이는 독도 연안 환경과 같이 불규칙하고 다양한 외부 환경 변화 요소에 노출된 해저면 환경의 현재 해저면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모니터링을 위한 자료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자료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향후에 지속적인 자료 축적을 수행하고 3차원 중첩 주제도 작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철원지역 두루미 취식지의 핵심지역 설정을 위한 MCP, 커널밀도측정법(KDE)과 국지근린지점외곽연결(LoCoH) 분석 (MCP,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LoCoH Analysis for the Core Area Zoning of the Red-crowned Crane's Feeding Habitat in Cheorwon, Korea)

  • 유승화;이기섭;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1
    • /
    • 2013
  • 본 연구는 두루미(Grus japonensis)의 이용분포 내에서 행동권 분석의 기법인 MCP(최소볼록다각형법), KDE(커널밀도측정법), LoCoH(국지근린지점외곽연결)를 이용하여 이용면적과 핵심서식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기법의 차이와 의미를 고찰하도록 하였다. 두루미의 분포자료는 철원지역 2012년 2월 17일 조사자료를 사용하였다. MCP에 의한 두루미류 서식영역은 $140km^2$이었다. KDE 분석에서 띠폭에 해당하는 h값을 1000m, CVh, LSCVh로 달리하여 KDE 등치선을 생성하였을 때, 핵심지역에 해당하는(Kernel 50% 이상) 면적은 $33.3km^2$($KDE_{1000m}$), $25.7km^2$($KDE_{CVh}$), $19.7km^2$($KDE_{LSCVh}$)이었다. 결과적으로 띠폭에 대한 기본값(1000m)-CVh(554.6m)-LSCVh(329.9m) 순으로 변수를 작게 입력할 경우 핵심면적 개수는 늘어나고, 면적은 감소하였으며, 형태의 복잡성은 증가하였다. 두루미류의 KDE 분석에 의한 핵심지역의 선정에서 적합한 띠폭변수는 CVh 값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LoCoH분석에서는 서식범위와 핵심지역(50% 등치선 이상의 지역)의 면적이 k값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점차 큰 핵심지역으로 합쳐지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핵심지역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k 값은 24로 나타났으며, 전체 개체군의 핵심지역은 $18.2km^2$로 전체 서식면적의 16.5%를 차지하였다. 최종적으로, LoCoH 분석은 두 개의 큰 핵심서식지를 제시하였으며, 이것은 KDE에 의한 핵심지역에 비하여 작은 수의 핵심지역을 제시한 것이었다. 국내의 게재논문 및 발표자료를 포함한 연구에서 KDE는 대부분 기본설정으로 분석되었으며, 띠폭에 의한 변수를 고려한 것은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띠폭변수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