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ava leav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구아바 잎의 가공방법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Processed Using Different Methods)

  • 홍춘숙;윤성란;이기동;김미옥;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05-610
    • /
    • 2007
  • 구아바 잎을 이용한 가공제품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아바 잎을 발효, 증숙 및 볶음 처리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경우 볶음 처리한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전자공여능은 증숙 처리한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발효 및 증숙 처리한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데침 및 증숙 처리 시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전자공여능은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증숙 처리한 것이 데침 처리한 것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침 및 증숙 처리된 구아바 잎의 관능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구아바 잎의 떫은맛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관능평점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아바 잎을 사용한 가공제품 개발에서는 떫은맛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구아바(Psidium guajava L.)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 천원영;서동연;김영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271.57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extract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1133.23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g residue and 721.68 mg TEAC/g residue, respectively. The hepatocyte protective effect of guava leaf extract was examined in HepG2 cells.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the viability of HepG2 cells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leaf extract. In addition, guava leaf extract led to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in HepG2 cells. The leaf extract increased the activity of glutathione (GSH),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gainst oxidative str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uava leaves might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 hepatoprotective material.

식중독 세균에 대한 구아바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uava against Food-Borne Bacteria)

  • 조영홍;옥둘이;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73-1778
    • /
    • 2009
  • 본 연구는 인공합성보존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보존료의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대표적인 세균성 식중독 미생물로서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아바 가지와 잎의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 S. aureus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아울러 가지와 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200 ppm 농도의 첨가에서 식중독 원인균 S. aureus균을 전혀 자라지 못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아바 잎과 가지의 추출물에 그람 양성균에 대한 높은 항균활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구아바 가지를 항균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sidium guajava L. leaf extract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in 3T3-L1 cells

  • Choi, Esther;Baek, Seoyoung;Baek, Kuanglim;Kim, Hye-Ky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5호
    • /
    • pp.568-578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Psidium guajava L. (guava) leaves have been shown to exhibit hypoglycemic and antidiabetic effects in ro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uava leaf extract on adipogenesis, glucose uptake, and lipolysis of adipocytes to examine whether the antidiabetic properties are mediated through direct effects on adipocytes. MATERIALS/METHODS: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25, 50, 100 ㎍/mL of methanol extract from guava leaf extract (GLE) or 0.1% dimethyl sulfoxide as a control. Lipid accumulation was evaluated with Oil Red O Staining and AdipoRed assay. Immunoblotting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Glucose uptake under basal or insulin-stimulated condition was measured using a glucose analog 2-[N-(7-nitrobenz-2-oxa-1,3-diazol-4-yl) amino]-2-deoxy-D-glucose. Lipolysis from fully differentiated adipocytes was measured by free fatty acids release into the culture medium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pinephrine. RESULTS: Oil Red O staining and AdipoRed assay have shown that GLE treatment reduced lipid accumulation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Mitotic clonal expansion, an early essential event for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hibited by GLE treatment. GLE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𝛄 (PPAR𝛄),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FAS expression was also decreased while the phosphorylation of AMPK was increased by GLE treatment. In addition, GLE increased insulin-induced glucose uptake into adipocytes. In lipid-filled mature adipocytes, GLE enhanced epinephrine-induced lipolysis but reduced basal lipolysis dose-dependently.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GLE inhibits adipogenesis and improves adipocyte function by reducing basal lipolysis and increasing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in adipocytes, which can be partly associated with antidiabetic effects of guava leaves.

구아바 잎 열수추출물의 당류분해효소 저해 효과 및 OGTT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Inhibition of Glycoside Hydrolase)

  • 최수민;김중학;정지상;김화영;장혜은;황성주;홍성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4-100
    • /
    • 2012
  • Guava ($Psidium$ $guajava$) contain a great deal of polyphenol compound and work o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effectively. In this study, the bioactivities of aqueous extract (GLEx) of guava leaf were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LEx was 266.9 mg tan/g. The effects of GLEx on digestive enzymes, ${\alpha}$-amylase, maltase and sucrase were investigated. $IC_{50}$ values of GLEx against ${\alpha}$-amylase, maltase and sucrase were 0.65 mg/$m{\ell}$, 2.0 mg/$m{\ell}$ and 3.5 mg/$m{\ell}$ respectively. The effect of GLEx 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performed in normal ICR mouse, control (dstilled water) and GLEx (aqueous extract of Guava leaf) were co-administered orally with glucose, showed reducing effect on the blood glucose level. The guava is likely to useful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hyperglycemia by lowering the blood glucose level and inhibiting glycoside hydrolase activity.

Biochemical parameters and reproductive traits in female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exposed to psidium guajava leaf aqueous extract

  • Azafack Kana Dorice; Paguem Eric Achile;Deutcheu Nienga Sorelle;Tchoffo Herve;Chongsi Margaret Momo;Ngwafu Nancy Ngwasiri;Ferdinand Ngoula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1-157
    • /
    • 2023
  • Background: The potential impact of aqueous extracts from Psidium guajava leaves on the reproductive system of female rabbits was evaluated. Methods: Twenty-eight rabbits, aged five to six months were utilized. Rabbi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one of the following oral doses of the guava leaf extracts: 0 (control group), 10, 20, or 30 mg/kg of body weight. After a treatment period of 30 days, blood was collected via jugular venipunture and the serum was extracted for the assessment of serum biochemical traits levels. The females were bred and monitored throughout their pregnancy to ascertain reproductive outcome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uava leaf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ody weight of the rabbits during both pre- and post-pregnan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The litter size at three weeks post-birth, prolificity rate, FSH, LH, and protein levels were notably higher (p < 0.05) at a dose of 20 mg/kg of body weight. The viability rate three weeks post-birth increased with escalating extract doses, and the highest values were observed at doses of 20 and 30 mg/kg of body weight (p < 0.05).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queous extract of guava leaves appears to stimulate the production of FSH, LH and enhance body weight, prolificity, and pregnancy outcomes in mammals. As such, it is suggested that a dose of 20 mg/kg body weight could be beneficial in improving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female.

단순 가공 식품 재료 활용을 위한 국, 탕용 구아바 채소 완자의 저장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of Simple Preprocessed Foods Vege-ball with Guava Leaf Powder for Soup during Storage)

  • 박지현;백옥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85-592
    • /
    • 2012
  • 본 연구는 단순 가공 식재료 개발의 고부가가치와 국내산식품 재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구아바잎 분말과 콜라비 등을 이용하여 급식소에서 이용 가능한 국, 탕용 구아바 채소 완자를 개발하여 저장 중 미생물학적 및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구아바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과 첨가한 구아바잎 채소 완자(VB)의 명도(lightness) 측정 결과, 구아바잎을 첨가할수록 명도는 높게 나타났다(p<0.05). 적색도(redness)와 황색도(yellowness)는 대조군을 제외한 첨가군시료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아바 채소 완자의 경도(hardness)의 범위는 1,175~1,600($g/cm^3$)이었으며, 구아바잎 분말을 첨가한 채소 완자가 대조군에 비하여 경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탄력성(springness), 부착성(cohesiveness)은 구아바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DPPH, ABTS 활성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구아바잎 첨가군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능 역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관능적 특성 결과, 맛(taste), 향미(flavor), 전반적인 바람직성(overall preference) 항목에서구아바잎분말0.1% 첨가한 구아바 채소 완자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1% 첨가군은 낮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구아바 채소 완자의 저장 기간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산가의 변화에서는 구아바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가는 유의적(p<0.05)으로 낮아졌으며,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증가함을 보였다. 산가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의 과산화물가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구아바잎 첨가 채소 완자의 산패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TBA가는 대조군과 0.1% 첨가군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구아바잎 0.3% 이상 첨가한 채소 완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호기성 균은 저장 기간 동안 낮은 수준의 균이 검출되었으며(5.00 log CFU/g 미만), 효모 및 곰팡이는 구아바잎 분말을 첨가한 채소 완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관능적인 부분과 항산화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구아바잎을 첨가한 채소 완자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 외식 및 급식업체용 단순 가공 식품 재료로 구아바잎 0.1%를 첨가한 채소 완자가 최적으로 판단되며, 구아바 채소 완자의 냉장 보관 시 안전한 저장 기간은 최대 8일이다.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실험쥐에 대한 Psidium guajava L.과 Lagerstroemia speciosa L. 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Leaves Extracts of Psidium guajava L. and Lagerstroemia speciosa L. in STZ-induced Rats)

  • 노상근;김균하;최원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0-45
    • /
    • 2009
  • 구아바(Psidium guajava L.)와 바나바(Lagerstroemia speciosa L.)는 항당뇨 효과를 갖는 대표적인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식물은 다양한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을 함유하며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추출물을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실험쥐에 섭취시켜 항당뇨 효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실험쥐에 구아바 및 바나바 잎 추출물을 섭취시킨 결과 당뇨쥐에 비해 혈당은 약 19-32%,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은 약 24-46%, 중성지방(triglyceride)은 22-67% 그리고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은 49-71% 감소하였고 또한 인슐린 분비와 췌장에 존재하는 베타세포의 회복도 증가되었다. 한편 구아바 추출물의 섭취가 바나바 추출물의 섭취에 비해 항당뇨 효과가 더 높았는데 그 이유는 바나바 잎에 포함된 친수성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에탄올 추출과정에서 대부분 추출되지 않았고 또한 추출된 코로소릭산(corosolic acid) 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항당뇨 활성이 낮았기 때문이다.

방글라데시 경사지 산림토양의 경제적 이용을 위한 생강 재배기술 개발 (Ginger Cultivation Under Multipurpose Tree Species in the Hill Forest)

  • Aslam Ali, M.;Jamaluddin, M.;Mujibur Rahman, G.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8-221
    • /
    • 2005
  • 본 연구는 임산자원과 유실 수자원이 복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방글라데시 Chittagong 지역 경사지 산림토양에서 경제작물인 생강의 재배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강의 적정 재식거리를 산정하기위해 총 4개 처리구를 다음과 같이 설치하였다. T1: 100% 채광이 가능한 나대지 (open field), T2: Gamar tree (꾸지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로 생강재배, T3: Guava tree (구아바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180{\times}180cm$로 생강을 재배하였다. 각 처리구는 3반복으로 난괴법에의해 임의배치되었다. 생강의 외관적 생육특성을 비교구 T1과 비교 할 때 Gamar 나무와 Guava 나무하에서 재배된 T2와 T3 처리구에서 양호하였다. 생강뿌리 무게는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하였다. Guava 나무가 재배되고 비교적 재식거리가 크고 ($180{\times}180cm$) 부분적으로 그늘이 형성된 T3 처리구에서 생강수량은 $23.63Mg\;ha^{-1}$로 가장 많았으며, Gamar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으로 밀식 재배되어 채광이 차단된 조건에서 재배된 T2 처리구의 생강수량은 $15.64Mg\;ha^{-1}$로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생강은 100% 채광조건이나 채광이 완전히 차단된 조건보다는 부분적 차광이 가능한 수종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적색계 천연염료를 이용한 견직물 무매염 염색의 염색성 (Color Characteristics of Silk Fabrics Dyed with Natural Red Dyes Without a Mordant)

  • 김효진;이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93-6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적색계 천연염료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매염 염색을 다룬 국내논문들을 고찰하여 무매염 염색의 염색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인 천연염재는 자색 고구마, 봉선화, 오디, 광나무 열매, 구아바 잎, 단삼, 히비스커스 꽃, 복숭아나무 전정가지로 총 8가지이다. 염색실험의 결과는 색차식에 의하여 $L^*$, $a^*$, $b^*$, C 및 ${\Delta}E^*$와 Munsell표에 의한 H V/C, Kubelka Munk식에 따라 K/S값을 산출하여 표면색을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염색실험 변인은 염액농도,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반복횟수이며, 변인의 변화에 따라 염색성과 색채특성을 알아보았다. 문헌고찰 결과, 염색실험 변인은 견직물에 대한 천연염료의 염착성과 상관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적색 발현에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천연염색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반복적인 염색이나 매염제 사용 등을 하지 않아도 적색이 다양하게 발현되고 염색성도 우수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