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retardan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7초

정식 후 주야간온도차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초기 생육 (Early Growth of Sweet Pepper by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after Planting)

  • 김호철;구양규;이용범;이정현;최준호;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52-557
    • /
    • 2013
  •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작물인 착색단고추를 대상으로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대한 주야간온도차(DI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DIF는-6($20-26^{\circ}C$), 0($23^{\circ}C$), 3($24.5-21.5^{\circ}C$) 및 6($26-20^{\circ}C$)으로 처리하였다. 정식 후 10주 동안 DIF 3과 DIF 6 처리에서 DIF-6과 DIF 0 처리보다 생장 속도가 빨라 초장이 더 길었다. 주당 엽면적은 DIF 3 처리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정식 후 10주째에는 가장 넓었다. 주당 생체중은 DIF-6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의 74-77%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건물중과 건물률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 DIF-6과 DIF 6 처리보다 높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후부터 건물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정식 후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는 정식 6주 이후 10주째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DIF-6과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정식 후 10주 동안 모든 처리에서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이 줄기보다 높았고, DIF가 높은 수준일수록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낮아지고 줄기로의 건물분배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착색단고추 재배 시 정식 후 초기에 주간온도와 야간온도 차이를 너무 크게 관리하면 생육이 저하되는데, 특히 주간보다 야간 온도를 높게 관리할 때에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류식물에 있어 생장억제제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Growth Regulation of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ith Several Growth Retardants)

  • 심재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52
    • /
    • 1989
  • Native Kerean lawngrass (Zeysia japonica steud.) and Manilagrass ( Zeysia matrella Merr.) are frequently used as sport turf and lawn in Kerea and ether Asian countries because of its excellent summer qualities and superior winter-hardiness compared to ether warm-season turfgras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lant growth retardants ( PGR ) en the inhibition (d the growth of the two Kerean native turfgrasses. Ke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ere treated with [2 RS , 3 RS] -1- [4- chlorophenyl ] -4, 4-dimethyl -2- [1 H -1, 2, 4- tiazol -1- y] pentan -3- ol ( PP -333) at 93 and 930 gha -j ; 5-[4- chlorphenyl ]-3, 4, 5, 9, 10- peiitaaza - tetracyclo [5, 4, 1, 0 2 6 . o ~'~I -3, 9- diene ( BAS -106) at 16 and 160 gha ; [ E I-] - cyclohexyl -4, 4- dimethyl -2- [1, 2, 4- triazol -1- yl ]-1-pentene - 3- ol ( NTN -821) at 56 and 560 gha ', and 4- chloro -2- [$\alpha$- hydrozybenzy I isonicotin anilide ( CGR -811) at 92 gha in pot study . All PGR treatments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plant height, with the exception of BAS -106 at 16 gha for Korean lawngrass ; however , all increased quality to some degree , with the exception of PP -333 at 93 gha . The low PGR rates significantly increased Korean lawngrass height during late jtily aitd mid-August . On the other hand , BAS -106 significantly increased Manilagrass height {rom 24 Septeml)er onwards . All PGR treatments haol higher turfgrass quality than untreatments , and also the high rates of PGIt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quality than the low rates observed on 8 October . Meanwhile , Manilagrass quality was increased to some extent than Korean lawegrass . PP - 333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clipping yield and the same results were found with the application of NTN -821 at 560 gha -l for both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 BAS -106 at 160 gha for Korean lawegrass , and CGR -811 at 92 gha for Manilagrass . The high PGR rates had higher turfgrass shoot weight observed on 8 October than the low rates , and there were little increases obtained with the low rates of PP -333 for Korean lawngrass and BAS - 1 06 for Manilagrass . Effeets on stolon growth varied between growth retardants , and between retardant treatments ; the high rates of PGR as well as the low rate of NTN -821 elongated stolon of Korean lawngrass and manoilagrass . However , PP -333 at 93 gha and BAS -106 at 16 gha - shortened stolons of Korean lawugrass , resulting in inhibition or little difference of stolon dry weight . NTN -821 at 560 gha and CGR -811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stolon length of Manilagrass . 101) -333 and the low rate of BAS -106 and NTN -821 decreased root weight of Korean lawng - rass All PGR rates had negative effect on the root weight of Manilagrass with the exception of BAS -106 CR -811 and the high rate of NTN -821 which made no difference in root weight between retarolant treatments and the control .

  • PDF

C-형강 매트 저면관수 시스템을 이용한 분화 국화 재배 시 정식시기와 Daminozide 처리에 따른 초장 조절 (Height Control of Pot Chrysanthemum according to Daminozide Applications at Different Planting Period in C-Channel mat Irrigation System)

  • 강승원;서상규;이긍표;박천호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30-36
    • /
    • 2011
  • 저면관수 방식인 C-형강 매트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소형 분화 국화 재배 시 daminozide 농도에 따른 관주처리, 저면공급 및 정식시기에 따른 생장억제 효과의 지속력 및 저면공급의 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차 정식처리구에서 $4,000mg{\cdot}L^{-1}$ 이상의 관주 처리구에서 초장신장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차 정식처리구의 경우 $5,000mg{\cdot}L^{-1}$에서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분산분석 결과 정식시기도 초장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액과 저면 공급한 처리구에서 daminozide가 화뢰의 형성, 생체중 및 건물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정식시기를 조절하여도 초장을 조절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초장신장 억제를 위한 생장조절제 처리 시 정식시기와 공급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분화 국화의 효율적인 초장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Diniconazole 처리가 일일초와 샐비어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niconazole on Growth and Flowering of Vinca rocea and Salvia splendis)

  • 최성환;강점순;최영환;이용재;박영훈;김미라;손병구;김현경;김홍열;오욱;심학보;임기병;김진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04-1008
    • /
    • 2011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생장 억제에 효과 있는 기존의 생장억제제인 스미세븐은 고가의 생장억제제이므로 이을 대신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는 주로 살균제로 사용되고 있는 빈나리의 농도별 처리가 일일초과 샐비어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일일초와 샐비어 모두 빈나리처리에 의해서 생장이 억제되었다. 두 식물체 모두 빈나리 100 mg/l 처리가 스미세븐 5 mg/l보다 높은 생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빈나리 처리에 의해서 두 식물체 모두 엽장은 감소하였으나 엽폭은 큰 변화가 없었다. 그 결과 엽형이 둥굴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개화소요일수는 일일초과 샐비어 모두 대조구에 비해 빈나리 처리시 증가하였다. 일일초의 꽃수는 빈나리 400 mg/l 처리를 제외하고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샐비어의 경우 빈나리 100, 200 mg/l 처리에 의해서 소화수가 증가하였다.

지하공동구 화재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 의한 화재 설칠 예측 평가 (Estimation of fire Experiment Prediction by Utility Tunnels Fire Experiment and Simulation)

  • 윤명오;고재선;박형주;박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3-33
    • /
    • 2001
  • 지하공동구는 최근 통신의 발달로 인해 국가 중추기능으로서의 주요 역할을 하는 시설로, 사고시 신속한 대처가 힘들고 케이블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에 의한 검은 연기로 공동구 내에 진입하여 소화화기가 힘들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막대한 재산피해 및 통신의 두절 등 국가의 중추신경이 마비됨은 물론 시민 불편사항을 초래시켰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발생되어온 공동구 화제를 바탕으로 실제 공동구 모형을 제작하여 화재를 재현함으로서, 과학적으로 화재의 성상을 분석하고 지하공동구 내에 소방설비를 갖춘 후에 일정온도에서 각각의 소방설비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화재실험은 지하 공동구 내에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방화문, 연결살수설비 및 환기설비를 설치하고 송.배전케이블은 일정구간 내화도료로 도장하며 난방관은 내화피복된 상태에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최고 온도가 $932^{\circ}c$로 측정되었고 일정온도에서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가 작동하여 화재위치를 정확히 수신반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송.배전케이블은 일정구간 내화도료로 도장한 것은 내화성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화피복된 난방관은 약 30분 정도의 내화 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은 실제 화재 시험시의 화재하중을 입력하여 실시한 결과 최고 온도가 $943^{\circ}c$로 실제 화재시의 최고 온도인 $932^{\circ}c$와 거의 일치하였다. 따라서 공동구 화재하중만으로 화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화재의 성상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시뮬레이션으로 얻는 열방출량, 연기층의 높이, 산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의 농도 등의 결과 값들을 실제 화재 실험시의 값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0.05ppb보다 높은 수준으로 예측되어 유럽의 허용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확보를 위한 위생관리 업무 향상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드러난 시설 및 기기들을 우선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ons. Specific growth rate of dechlorinators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slurry and the low-moisture sediments; however, growth yield was high in the sediments of reduced moisture content. The reduction of sediment moisture decreased the dechlorination rate and extent of PCBs but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PCB dechlorinators.1.4mg, 여학생이 159.3mg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에너지, 단백질, 칼슘, 비타민 A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여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의 영양소 섭취 상태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5. 조사 대상자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량의 상관관관계는 식사 시간의 규칙성은 단백질, 식이성 섬유소, 비타민 A 및 티아민섭취량과 양의 상관을 나트륨섭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음식의 간(염도)은 인과 콜레스테롤 섭취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들깨가루나 들기름 사용 여부는 열량, 탄수화물 및 인의 섭취량과 음의 상관을, 지방, 철분, 리보플라빈 및 나이아신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었다. 결식여부는 지방, 철분 및 나이아신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열량, 탄수화물, 인 나트륨, 및 콜레스테롤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을 보였다. 외식이

  • PDF

Effects of Trinexapac-ethyl on Lodging-related Traits in Transplanted Rice

  • Han, Sang-Wook;Park, Jung-Soo;Cho, Young-Cheol;Lim, Gab-June;Ju, Young-Cheo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6-190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rinexapac-ethyl [4-(cyclopropyl- $\alpha$ -hydroxy-me-thylene)-3,5-dioxocyclohexanecarboxylic acid ethyl ester] effects on lodging-related traits of rice varieties treated at different application rates and times. Trinexapac-ethyl WP was applied at the rate of 10, 20 and 30g ai/l0a to Heukjinjubyeo and Daeanbyeo, respectively. Effects of trinexapacethyl varied greatly with application time as well as application rate with little differences between rice varieties. As the application rate increased, lodging index, center of gravity and exsertion of panicle above flag leaf decreased, whereas breaking strength and phytotoxicity increased. Exsertion of panicle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application time with a little difference by application rate. The most effective application time of trinexapac-ethyl based on lodging index and total internode length (Ist-4th node) was 2DBH(days before heading) in Heukjinjubyeo and 17DBH in Daeanbyeo, resulting in reducing total internode length by 12.9 and 9.7cm, respectively. A significant reduction was found at the 1st, 2nd, and 3rd internodes in Heukjinjubyeo, while at the 2nd and 3rd internodes in Daeanbyeo.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reatments in the panicle length of both rice varieties but the panicle fresh weights of Daeanbyeo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all trinexapac-ethyl treatment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when measured 20 days after heading. Consequently, trinexapacethyl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lodging-related traits of rice plants without affecting rice yield and yield components.

  • PDF

침전극 곡률반경에 따른 LLDPE/EVA의 교류트리 특성 (A Study on the AC Treeing Characteristics with Tip Radius of Needle Electrode in LLDPE/EVA)

  • 이재필;이충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
    • /
    • pp.476-480
    • /
    • 2003
  • Polyethylene used as insulating material of power cable is nonpolar and low dielectric loss polymer. But it has defects of tree generation and accumulation of space charge by an applied voltage resulting in the decreased life and performance. To solve these problems, mixed films with LLDPE and EVA that is similar to LLDPE at physical properties in case of low VA contents were made and tested due to the blend ratios of 80:20, 70:30, 60:40 and 50:50[wt%]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AC electrical treeing characteristics to acquire the best mixture ratio and effect of the tip radius of needle electrode to develop excellent treeproof materials. The degree of crystallity calculated with XRD pattern is higher for pure LLDPE, 50:50 and 70:30. For DSC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 melting points of mixed specimens are lower than that of pure LLDPE and higher than pure EVA's. The shape of tree propagation showed that pure EVA was electrical tree shape of the branch type, pure LLDPE and blended specimens was able to confirm tree shape of the bush type. As the tip radius go up in the blend ratio 70:30 specimen, the tree inception voltage rise. Probably the reason is the relaxation of electric field in the specimen with bigger tip ratio. As the 6 specimens were applied AC 5[KV],7.5[KV],10[KV] respectively, tree growth length is far shorter in the specimen with blend ratio 70:30, 50:50 than in pure EVA and pure LLDPE specimen. Conclusively, it is confirmed that specimens of which blend ratio are 70:30 and 50:50 are good in electrical tree retardant characteristics, especially, 70:30 has lower dielectric loss than 50:50 and its mixture ratio is the best.

  • PDF

BA살포후 주야 온도처리가 동양란 '철골소심'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y and Night Temperatures on Flowering after Spraying Benzyladenine (BA) in Cymbidium ensifolium 'Tekkotsusosin')

  • 이영란;김재영;김병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55-757
    • /
    • 1999
  • 본 연구는 동양란 '철골소심'의 개화증진을 위하여 BA처리후 적정한 관리온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화율은 주야간의 기온이 $30/25^{\circ}C$을 유지했을 때 90%, $25/20^{\circ}C$와 대조구에서 50%로 나타났으며 $20/15^{\circ}C$처리에서는 전혀 개화가 되지 않았다. 기형화율은 $25/20^{\circ}C$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30/25^{\circ}C$에서는 4%, 대조구에서는 9%로 나타났다. $30/25^{\circ}C$에서 화경장, 화경수 등이 증가하였고 화아품질이 향상되었다. BA 살포 후 철골소심의 개화 유도를 위한 한계 기온은 $20^{\circ}C$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니들 플레임에 의한 바닥재의 수직 연소 및 탄화 패턴의 해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Vertical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Patterns of Floor Materials When Using a Needle Flame)

  • 박민수;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101-106
    • /
    • 2020
  • 자체 제작된 니들 플레임을 이용하여 바닥재를 수직 연소시켰을 때의 화염의 성장 특성 및 탄화 패턴을 해석하였다. PVC 장판은 난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직사 화염을 받은 곳은 안쪽으로 수축되는 패턴을 나타냈다. 수직 연소가 진행되면 하부에 망울 형태의 고형화가 발생하며, 그을음은 상부로 성장하는 패턴이 형성된다. 강화마루는 난연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부 표면인 라미네이트층의 소실과 불규칙적인 박리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좌측면과 우측면의 탄화의 범위는 대칭적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강화마루와 마찬가지로 카펫은 수직 연소 실험에서 난연성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카펫에 축열이 형성되면 화염은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주변에 가연성 물질이 있을 때 화염의 확산은 더욱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사화염을 받은 카펫 표면의 탄화 패턴은 표면이 용융되어 흘러내렸을 뿐만 아니라 작은 구멍이 다수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lexural response of steel beams strengthened by fibre-reinforced plastic plate and fire retardant coating at elevated temperatures

  • Ahmed, Alim Al Ayub;Kharnoob, Majid M.;Akhmadeev, Ravil;Sevbitov, Andrei;Jalil, Abduladheem Turki;Kadhim, Mustafa M.;Hansh, Zahra J.;Mustafa, Yasser Fakri;Akhmadullina, Irina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3권4호
    • /
    • pp.551-561
    • /
    • 2022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fire conditions according to ISO 834 standard on the behavior of carbon fibre-reinforced plastic (CFRP) reinforced steel beams coated with gypsum-based mortar has been investigated numerically. To study the efficiency of these beams, 3D coupled temperature-displacement finite element analyzes have been conducted. Mechanical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ree different parts of composite beams, i.e., steel, CFRP plate, and fireproof coating, were conside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he interaction between steel and CFRP plate has been simulated employing the adhesion model. The effect of temperature, CFRP plate reinforcement, and the fireproof coating thickness on the deformation of the beams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within the first 120 min of fire exposur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ireproof coating from 1 mm to 10 mm reduced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beam from 380℃ to 270℃. This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fireproof layer decreased the rate of growth in the temperature of the steel beam by approximately 30%. Besides excellent thermal resistance and gypsum-based mortar, the studied fireproof coating method could provide better fire resistance for steel structures and thus can be applied to build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