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y mulle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여수 연안의 숭어 (Mugil cephalus) 자원평가 및 진단 (Stock assessment and Diagnosis of Flatte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 of Yeosu)

  • 박희원;서영일;김희용;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3호
    • /
    • pp.448-453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biomass and to provide management plan through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Survival rate (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was 3.671.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 (M) and fishing mortality (F) was estimated to be 0.325/year, 0.962/year for flathead grey mullet. Also fist capure age of flathead grey mullet was 3.61year. The current biomas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in the study area was estimated to be 19.6 M/T and $F_{0.1}$ and $F_{40%}$ were estimated 0.340/year, 0.225/year. For the stock assessment result, flathead grey mullet was not overfished but overfishing.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해수와 담수에 사육한 숭어(Mugil cephalus) 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Growth and Survival of Juvenile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Rearing System with Recirculated Seawater and Freshwater)

  • 장영진;허준욱;임한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3
    • /
    • 2001
  •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of grey mullet were 6.4cm and 2.1g, respectively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After 60 days of rearing, body weight of the mullet(36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reshwater group than that (187%) in seawater group. However, the condition fact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awater (9.0%) and freshwater (8.8%) groups. Survival of the mullet was 98.3% and 64.3% in seawater and freshwater groups, respectively.

  • PDF

사육수의 단계적인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Mugil cephalus) 와 틸라피아(Oreochronis niloticus)의 생리적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ey Mullet(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Oreochronis niloticus) by Gradual Change in Salinity of Rearing Water)

  • 허준욱;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3-292
    • /
    • 1999
  • Physiological responses (cortisol, glucose, GPT, GOT, hematocrit, sodium, chloride, potassium, total protein and osmolality),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rey mullet and Nile tilapia were tested by the gradual salinity changes for 70 days. Three different sizes of grey mullet, small (MS, $13.3\pm1.8cm$), middle(MM, $28.9\pm3.6cm$) and large (ML, $36.0\pm2.0cm$), and three different sizes of tilapia, small (TS,$16.5\pm1.7cm$), middle (TM, $20.6\pm1.8cm$) and large (TL, $27.2\pm2.7cm$)were used. Salinity of reareing water was increased $\5textperthousand$ in every 5 days until it reached at $0\textperthousand$. The cortisol concentrations in all size groups of grey mullet were increased at both full strength seawater (SW) and fresh water (FW) at the end. The cortisol concentrations of TM and TL groups were higher in SW than FW (0 and 70 days). The GOT values of grey mullet were lower than those of Nile tilapia. The sodium concentrations of grey mullet in SW were ranged 160~184 mEq/$\ell$, while those of Nile tilapia were the highest in the SW. No mortality was observed in MM and ML groups but survival rate of MS group was 76$\textperthousand$. Overall survival rate of Nile tilapia was lower than grey mullet. Survival rate of TS, TM and TL groups were $79\textperthousand$, $29\textperthousand$ and $55\textperthousand$, respectively.

  • PDF

사육수의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 (Mugil cephalus)와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Rapid Changes in Salinity of Rearing Water)

  • 장영진;허준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0-316
    • /
    • 1999
  • 염분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성장 및 생존율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해수와 담수에서 광염성 어류로 알려진 숭어와 틸라피아를 재료로 급격한 염분변화 조건에서 어체의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숭어의 코티졸 농도와 글루코스 농도는 해수사육과 담수사육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틸라피아는 해수사육에 따른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숭어의 $Na^+,\;Cl^-$$K^+$ 농도는 실험개시시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는 해수사육에 따른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숭어의 삼투질농도는 293.5$\~$335mOsm/kg 범위를 보였다. 틸라피아는 해수사육 3일째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생존율에 있어 숭어는 $96.5\%$를 보였고, 틸라피아는 해수사육 3일만에 전량 폐사하였다.

  • PDF

우리나라 숭어과 어류의 어명 및 자원 활용에 대한 고찰 (Review of Fish Name on the Fishes of the Family Mugilidae in Korea and Resource Utilization)

  • 고은영;박종오;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6-105
    • /
    • 2019
  • 숭어과 어류는 연안에서부터 담수역까지 서식하고 있는 대표적인 광염성 어류이다. 이들의 형태적인 유사성 때문에 분류학적인 면에서나 명명법에 있어 많은 논란이 있다. 숭어과 어류 중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어종은 숭어(Mugil cephalus)와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로, 일반적으로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숭어라 불리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학술적인 자료 및 옛 문헌을 조사하여 국내에서 혼용되고 있는 숭어류의 학명 및 어명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숭어의 학명은 M. cephalus로 사용되고 있지만, 가숭어는 Chelon, Mugil, Liza 속명이 혼용되고 있다. 숭어류의 어명에 대해 국내사전에는 숭어와 가숭어를 구별하지 않고 있으나, 일어, 영어, 중국어사전에서는 숭어와 가숭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다. 옛 문헌에서는 숭어류를 '치어' 또는 '수어'라 이르고 있다.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숭어와 가숭어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산어보에서는 가숭어를 치어(참치어)로, 숭어를 가치어로 기록하고 있어 '가(假)'자의 붙임이 현재와 달리 사용되고 있었다. 가숭어는 양식되고 있는 종으로 앞으로 산업적인 활용이 모색되고 있는 단계에서, '가'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하였을 때 가숭어라는 어명 대신에 '참숭어'로의 어명 변경을 제안한다.

여수 연안 숭어 (Mugil cephalus)의 연령과 성장 연구 (Age and growth of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 of Yeosu)

  • 장창익;박희원;권혁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3호
    • /
    • pp.203-213
    • /
    • 2011
  • The age and growth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were studied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 of Yeosu from September 2009 to August 2010. Spawning season estimated from the gonadosometic index (GSI) was from November to January.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adability of the otolith was described and criteria for the interpretation of otolith was provided. The annual ring was formed in September once a year. Annual ring in otolith for flathead grey mullet is validated for fish aged 1-8 using the marginal increment analysis. Using the sectioned otolith, between reader precision was 84%. Also, Within-reader agreement for sectioned otolith age readings was higher (reader 1=84%, reader 2=87%). The relationship between fork length and total weight was TW=$0.022FL^{2.818}$. The estimated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for the flathead grey mullet were $L_{\infty}$=67.97cm K=0.164/year and $t_o$=-0.81year.

숭어(Mugil cephalus) 정자의 냉장.냉동보존 (Gold Storage and Cryopreservation of Grey Mullet(Mugil cephalus) Sperm)

  • 장영진;최윤희;임한규;고강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62
    • /
    • 1999
  • 숭어 정액의 냉장 및 냉동보존시 적합한 희석액을 선정하고, 알에 대한 수정률을 평가하였다. 비보존 숭어 정자의 머리는 공모양으로 직경 $1.26{\pm}0.08 \{mu}textrm{m}$, 길이 $1.06{\pm}0.07 \{mu}textrm{m}$ 였으며, 과립상의 염색질을 가지고 있었다. 숭어 정자의 냉장보존시($0^{\circ}C$, 10일간) 희석액으로는 동종의 혈정이 가장 높은 정자활성을 나타냈으며, egg-tris, 0.1M, 0.3M 및 0.5M glucos에서는 활성이 서로 비슷하였다. 또한 동해방지제로 10% DMSO, 희석액으로 MFRS를 사용하여 냉동보존한 후 해동시켰을 때 대조구와 유사한 수정률을 보였다. 냉동보존 후 해동시킨 일부 정자 중에서는 세포막이 이탈되거나 소실되는 구조적 변화를 나타냈다.

  • PDF

유산균 배양액 첨가 사료에 의한 숭어, Mugil cephalus의 성장, 혈액 및 비특이적 면역학적 반응 효과 (Dietary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Growth, Hematological and Immune Responses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 민은영;김용석;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3-35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supplementation on growth, hematological and immune responses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Three replicate groups of grey mullet (body length, $62.8{\pm}1.04\;mm$ ; body weight, $3.2{\pm}0.13\;mg$)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with 0 (control), 1, 2.5 and 5,0 % of LAB for 3 months. Total body length growth rate was increased in 2.5 % supplementation group compared to control (P<0.05).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ematological parameters (hematocrit, hemoglobin, RBCs) and serum chemistry (calcium, magnesium, total protein, glucose, GOT and GP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y mullet fed the 5.0 % LAB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P<0.05). Both intracellular superoxide anion production and lysozyme activity of kidney were higher in the 2.5 % LAB diet than in the control (P<0.05).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 (Mugil cephalus)와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치어의 아가미 조직과 체성분 변화 (Changes of Gill Tissue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Grey Mullet (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the Sharp Salinity Change in a Recirculating Rearing System)

  • 허준욱;장영진;강덕영;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1-56
    • /
    • 2001
  •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와 틸라피아의 아가미 조직과 전어체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육수의 염분조절은 담수로부터 1일만에 $33\%_{\circ}$의 해수가 되도록 사육수를 교환하였고, 이후 15일 후에 다시 담수로 사육수를 교환하여 15일간 담수로 유지하였다. 전 실험기간중 숭어의 아가미 조직상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는 염분상승에 따른 조직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해수 2일째에는 아가미 2차 새변 (gill lamella)의 모세혈관들이 응혈 (bloodclot)되고 새변이 중첩되는 조직상을 보였다. 염분이 상승함에 따라 숭어의 아가미 염류세포는 개구부 (apical pit)가 뚜렷하였으며, 많은 수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틸라피아에서는 실험개시시에는 염류세포 개구부가 거의 닫혀있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미토콘드리아는 담수 보다 해수에서 증가되었다. 숭어 전어체의 수분 함량은 실험개시시 $74.0\pm0.6\%$, 해수사육 15일째 $73.6\pm0.5\%$, 담수사육 15일째 $74.5\pm0.3\%$로 서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에서는 실험개시시 $72.2\pm0.1\%$였다가 해수사육 2일째에는 $70.2\pm0.2\%$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숭어의 전어체 단백질 함량은 실험개시시와 15일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틸라피아의 지질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회분 함량은 차이를 나타냈다.

  • PDF

양식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에서 최초로 분리된 갈고리벌레과 Cymothoids의 특성 연구 (First report and characteristics study of Cymothoids isolated from cultured flathead grey mullet (Chelon haematocheilus))

  • 서한길;오명주;조미영;한현자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03-408
    • /
    • 2023
  •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양식 가숭어에서 최초로 분리된 등각류는 Nerocila japonica와 가장 근연한 종으로 확인되었으나, 향후 형태학적 분류 등 명확한 종 동정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약물의 직접 노출에 의한 구충 효과를 확인한 결과 trichlorfon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