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house test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3초

우리나라 유기농 채소내 질산염 함량의 경시적 추이 (Nitrate Contents in Vegetables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in Korea)

  • 손상목;김영호;윤지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5-151
    • /
    • 1999
  • After the release of facts that the high nitrate contents in vegetables by Korean organic farming, organic farmers were recommended by Korean Organic Farmer Association to apply 20t/ha compost while they applied before as much as they could, sometimes even more than 100t/ha. This study was aimed to check the safety of Korean organic product in terms of nitrate content. Current nitrate content in leaf and root vegetables by 3 different farming systems(organic farming, conventional farming, greenhouse farming) were monitored and furthermore it was compared with previously published another data in Korea to find out any changes among the monitored years(1993-1999). Current nitrate content in chinese cabbage, lettuce and kale became less compare to those of the beginning of monitoring, and especially those cultivated organic farming got the lowest value while previous organic vegetables at beginning of 90's showed the higher value than those cultivated in greenhouse. This decrease in organic vegetables was affected by less application rate of organic fertilizer than before at 20t/ha. But the nitrate level by organic farming was still higher compare to those cultivated by conventional farming in open field, since currently monitored organic vegetables were cultivated basically in greenhouse condition. It shows the organic farmer the necessity of transfer their farming site and condition from greenhouse to open field in order to decrease of its high level of nitrate caused long-term application and slow release characteristics of organic fertilizer. It was concluded the adoption of soil nitrate test to recommend a organic farmer the exact application rate for need of crop growth. Additionally the mechanism of lower nitrate accumulation in rice and fruit vegetables were also discussed in the paper.

  • PDF

PO필름 피복 온실의 수량 증대 및 에너지 절감 효과 (Yield Increase and Energy Saving Effect on Plastic Greenhouse Covered with Polyolefin Film)

  • 문종필;박석호;김진구;이재한;강연구;임미영;김혜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8-439
    • /
    • 2020
  • 본 연구는 PO필름과 PE필름을 온실의 피복재로 적용하였을 때 작물 수량 증대 및 에너지 절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온실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내에 위치한 단동온실(1-1W) 2동(B21, B23)과 2연동온실(1-2W형) 2동(B15, B16)을 사용하였다. 단동온실의 규격은 폭 7.2m, 길이 30m, 측고 1.5m, 동고 3.6m 이고, 연동온실의 규격은 폭 8m, 길이 40m, 측고 3.1m, 동고 5.8m의 온실로서 이 중 골조로 된 아치형 표준온실이다. 동절기 시험을 위하여 PO필름(외피 0.15mm, 내피 0.10mm)을 단동과 연동의 온실 피복재로 사용하였으며 대조구 온실로서 PE필름(외피 0.15mm, 내피 0.10mm)을 단동과 연동에 설치하였다. 시험작물은 완숙토마토 '해피니스'를 토양재배 하였고 2019년 12월3일에 정식하여 2020년 4월 30일까지 재배하였다. 온실내부 야간 설정온도는 15℃를 유지하였으며 주간에는 23~24℃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창 및 천창을 개방하였다. PO필름의 단동 및 연동온실 내부에서의 일사량, 온습도 등을 측정하였고, 재배 기간 동안의 생육량을 조사하였으며 에너지 절감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피복재별 시험온실의 온풍난방기 연료 소비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단동온실에서의 일사량은 PO필름 온실에서 PE필름 온실보다 7% 증가하였고 수확량은 20% 증대되었다. 연동온실에서의 일사량은 PO필름 온실에서 PE필름 온실보다 11% 증가되었고, 수확량은 9% 증가하였다. 또한 온실내부의 일평균 온습도 측정 결과 단동온실은 PE, PO필름 온실이 19.0℃, 19.1℃, 상대습도 75%를 나타냈고 연동온실은 PO필름 온실이 19.6℃, 상대습도 57%를 나타냈고 PE필름 온실이 18.8℃, 상대습도 63%를 나타냈다. 연료 소비량은 단동온실의 PO필름 온실이 PE필름 온실보다 12.4% 절감되었고 연동온실에서는 PO필름 온실이 PE필름 온실보다 11.5%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HEV 주행모드에 따른 연비·온실가스 특성 (Characteristics of Fuel Economy and Greenhouse Gases according to Driving Mode Conditons of Hybrid Electric Vehicles)

  • 강은정;권석주;서영호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3-26
    • /
    • 2015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fuel economy and Green house gases due to the driving mode conditions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HEV). HEVs are divided into mild and power types according to the their functions. mild type HEVs are inexpensive because they do not need to implement a pure electric mode. Power type HEVs are more expensive but has also better fuel efficiency. In the present paper, the test results for the gasoline vehicle using FTP-75 mode and HWFET are present.

Quantile-based Nonparametric Test for Comparing Two Diagnostic Tests

  • Kim, Young-Min;Song, Hae-Hia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4권3호
    • /
    • pp.609-621
    • /
    • 2007
  • Diagnostic test results, which are approximately normal with a few number of outliers, but non-normal probability distribution, are frequently observed in practice. In the evaluation of two diagnostic tests, Greenhouse and Mantel (1950) proposed a parametric test under the assumption of normality but this test is inappropriate for the above non-normal ca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utationally simple nonparametric test that is based on quantile estimator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stead of the moment-bas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 in some parametric tests.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tests are compared with simulations under the assumption of, respectively, normality and non-normality, and under various combinations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the normal and diseased groups.

HEAT PIPE TYP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FOR HOT AIR HEATER

  • Kang, G.C.;Kim, Y.J.;Ryou, Y.S.;Rhee, K.J.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II
    • /
    • pp.654-661
    • /
    • 2000
  • Area of greenhouse increases rapidly up to 45,265ha by the year of 1998 in Korea. Hot air heater with light oil combustion is the most common heater for greenhouse heating in the winter season. However, exhaust gas heat discharged to atmosphere through chimney reaches up to 10~20% of total heat of the oil combusted in the furnace. In order to recapture the heat of this exhaust gas and to recycle for greenhouse heating, the heat pipe typ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was manufactured and tested in this experiment. Th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was made for space heating in the greenhouse. The system consisted of a heat exchanger made of heat pipes, ${\emptyset}15.88{\times}600mm$ located in the rectangular box of $600{\times}550{\times}330mm$, a blower and air ducts. The rectangular box was divided by two compartments where hot chamber exposed to exhaust gas in which heat pipes could pick up the heat of exhaust gas, and by evaporation of the heat transfer medium in the pipes it carries the heat to the cold compartment, then the blower moves the heat to greenhouse. The number of heat pipe was 60, calculated considering the heat exchange amount between flue gas and heat transfer capacity of heat pipe. The working fluid of heat pipe was acetone because acetone is known for its excellent heat transfer capacity. The system was attached to the exhaust gas path.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est it could recover 53,809 to 74,613kJ/hr depending on the inlet air temperature of 12 to $-12^{circ}C$ respectively when air flow rate $1,100\textrm{m}^3/hr$. The exhaust gas temperature left the heat exchanger dropped to $100^{circ}C$ from $270^{circ}C$ by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and the flue g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collected by the air and the warm air temperature was about $60^{circ}C$ at the air flow rate of $1,100\textrm{m}^3/hr$. This heat pipe typ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can reduce fuel cost by 10% annually according to the economic analysis.

  • PDF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딸기재배 온실의 이산화탄소 농도변화 (Veriations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a Strawberry Greenhouse Using Dry ice)

  • 백이;강석원;장재경;권진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82-188
    • /
    • 2020
  • 최근에 딸기, 파프리카 등 시설과채류 재배에서 수확량 증대를 위하여 탄산가스를 시비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 주정공장 등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정제한 후 작물재배온실에 이용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드라이아이스 저장 및 탄산가스 공급이 주요하게 적용되고 있다. 드라이아이스 특성은 삼중점 이하의 온도와 압력에서 CO2는 고체나 기체가 되며 고체는 -78.5℃와 대기압에서는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로 승화되며 강력한 냉각효과를 볼 수 있다. 온도에 따른 드라이아이스의 소비량은 온도가 5℃, 10℃, 15℃, 20℃일 때 각각 0.983kg/일, 2.358kg/일, 5.102kg/일, 7.035kg/일 소비가 되었고 CO2의 농도는 1,102ppm, 1,481ppm, 1,677ppm, 1,855ppm으로 나타났다. 시험온실에서의 드라이아이스 소모량은 시간당 약 0.9kg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드라이아이스를 공급하기 전 9시에 온실내부의 CO2농도는 517ppm이었으며, 공급 후 10시 1,519ppm, 11시 1,651ppm, 12시 1,690ppm으로 증가한 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작물에 필요한 탄산가스 공급 영역을 확장하여 공급조건을 도출하여 농가소득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제습기를 이용한 온실 포그냉방시스템의 효율향상 (Improvement of Cooling Efficiency in Greenhouse Fog System Using the Dehumidifier)

  • 남상운;김기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7
    • /
    • 2005
  • 본 연구는 온실에서의 제습장치 이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지하수를 냉매로 하는 열교환기 방식의 제습장치를 제작하여 제습성능을 시험하고, 포그냉방시스템을 설치한 온실에 적용하여 제습이 증발냉각효율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습기 성능실험 결과 지하수를 냉매로 이용할 경우 포그냉방시스템을 적용한 온실의 제습은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방 온실의 기온을 $32^{\circ}C$로 설정할 때 냉매인 지하수의 온도가 $15^{\circ}C$에서 18, 21, $24^{\circ}C$로 높아지면 제습량은 각각 $17.7\%,\;35.4\%,\;52.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유량을 $75\%,\;50\%$로 줄이면 제습량은 각각 $12.1\%,\; 30.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지하수를 이용한 제습기의 설계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유량과 온도가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포그냉방 온실에 제습기를 설치함으로서 뚜렷한 냉방효율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기율 0.7 회${\cdot}min^{-1}$정도의 자연환기 상태에서 포.1냉방 온실의 환기에 의한 제습율은 53.9%~74.4%였으며, 제습기를 가동할 경우 75.4~95.9까지 높아졌다. 제습기 설계유량과 $18^{\circ}C$의 지하수를 사용할 경우 0.36회 ${\cdot}min^{-1}$ 정도의 환기율에서도 포그시스템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분무량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제습기를 이용하여 자연환기 온실에서의 포그 냉방 효율을 충분히 높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동비닐하우스 기초의 회전저항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valuation of Rotational Resistance of Multi-Span Greenhouse Foundations)

  • 이현지;신지욱;김민선;최기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9호
    • /
    • pp.5-12
    • /
    • 2018
  • 연동비닐하우스의 기초는 주로 수직하중을 고려하여 소형의 얕은 콘크리트 기초로 설계 시공된다. 그러나 최근 강풍과 같은 이상기후로 인하여 기초에 설계 강도 이상의 수평하중 및 인발하중이 작용하여 온실기초의 안전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비닐하우스 기초의 안전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지반-기초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회전 및 인발강성을 평가하여야 하며 이는 상부 구조재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내재해형 연동비닐하우스 규격 기초를 형상에 따라 분류하여 3개의 대표 기초 유형을 선정하고, 기초 유형별 수평하중 가력실험 및 이론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및 해석의 비교 분석 결과, 기초-지반 접촉면의 성질과 지반의 역학적 성질이 동일할 경우 기초는 지반과의 접촉면적비에 따라 회전저항성능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도 기반 밭토양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 여부 판정 (Uncertainty-based Decision on Mitigation of Nitrous Oxide Emissions in Upland Soil)

  • 주옥정;강남구;임갑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7-316
    • /
    • 2019
  • 농업 분야 온실가스 발생은 토양환경, 기상환경, 작물 생장 등 모든 생태계 변화와 인위적인 영농활동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하여 배출량 변동성의 크기가 매우 크므로 배출량 자료에 대한 신뢰구간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신뢰구간을 정의하는 불확도 평가가 필요하지만 불확도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밭토양에서 발생하는 N2O 배출량 저감 효과의 유의성을 불확도 추정기법을 통하여 판정하고자 하였다. 질소 비료 시비효과 증진 및 N2O 배출량 감소를 위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 함유 원예용 비료, 표준시비, 무시비 등 5처리 집단들의 신뢰구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불확도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N2O 배출량 개별 자료들의 변동성을 모두 고려한 신뢰구간을 찾아내어 분석한 결과로 신뢰성 있는 저감 효과(처리간 차이)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와 배추 재배지에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 함유 원예용 비료를 시용하면 표준시비와 같은 생육상황에서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설재배 토양 중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의 잔류 모니터링 및 지하수 용탈 가능성 (Monitoring of Endocrine Disruptor-suspected Pesticide Residues in Greenhouse Soils and Evaluation of Their Leachability to Groundwater)

  • 노현호;이광헌;이재윤;박효경;이은영;홍수명;박영순;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41-452
    • /
    • 2011
  • 농경지 중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설재배 토양을 경기도 가평 등 전국 40개 지역에서 총 40점을 채취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분류한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 40종 중 등록되어 사용중인 alachlor를 포함한 16종의 농약을 대상으로 GC-ECD 및 HPLC-DAD/FL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 및 개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검출한계는 0.0004-0.005 mg/kg이었으며, 각 시험농약의 회수율 72.69-115.28%의 범위였다. 조사대상 토양 40점 중 16점의 시료에서 cypermethrin 등 4종의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이 검출되어 37.5%의 검출율을 보였다. 그 중 endosulfna은 12지역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다. 또한 GUS로 판단할 때 대부분의 검출 농약은 지하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거의 없었으나 살균제 vinclozolin은 약간의 지하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수용성이 높고 토양 흡착성이 낮은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