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toring of Endocrine Disruptor-suspected Pesticide Residues in Greenhouse Soils and Evaluation of Their Leachability to Groundwater

시설재배 토양 중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의 잔류 모니터링 및 지하수 용탈 가능성

  • Noh, Hyun-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Kwang-H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Hyo-Ky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Eun-Young (AgroLife Research Institute, Dongbu Advanced Research Institute, Dongbu Hannog Co., Ltd.) ;
  • Hong, Su-Myung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Park, Young-Soon (International Ginseng and Herb Research Institute) ;
  • Kyung, Kee-S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노현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이광헌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이재윤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박효경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이은영 ((주)동부한농 동부기술원 농생명연구소) ;
  • 홍수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 박영순 ((재)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
  • 경기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Received : 2011.11.07
  • Accepted : 2011.11.3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endocrine disruptor (ED)-suspected pesticides in greenhouse soils and assess their leachabilites to groundwater. Greenhouse soils were collected from 40 sites of greenhouse in 2008 in Korea. Sixteen ED-suspected pesticides which had been using in Korea, such as alachlor, benomyl, carbaryl, cypermethrin, 2,4-D, dicofol, endosulfan, fenvalerate, malathion, mancozeb, metribuzin, metiram, methomyl, parathion, trifluralin, and vinclozolin, in the soils, were analyzed by chromatographic methods using GLC-ECD and HPLC-DAD/FLD. Limits of detection (LODs) of the test pesticides ranged from 0.0004 to 0.005 mg/kg. Recoveries of the target pesticides from soil ranged from 72.69 to 115.28%. Four pesticides including cypermethrin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from 0.001 to 2.019 mg/kg, representing that their detection rate from greenhouse soils was 37.5%. The highest detection rate was observed from endosulfan which was detected from 16 site soils of the total samples, indicating that endosulfan is persistent in soil because of its very low mobility and high adsorption characteristics in soil. Based on the groundwater ubiquity scores (GUSs) of the pesticides detected from greenhouse soils, most of them have little possibilitie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except the fungicide vinclozolin with some leaching potential because of high water solubility and very low soil adsorption property.

농경지 중 내분비계장애 추정농약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설재배 토양을 경기도 가평 등 전국 40개 지역에서 총 40점을 채취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분류한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 40종 중 등록되어 사용중인 alachlor를 포함한 16종의 농약을 대상으로 GC-ECD 및 HPLC-DAD/FL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 및 개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검출한계는 0.0004-0.005 mg/kg이었으며, 각 시험농약의 회수율 72.69-115.28%의 범위였다. 조사대상 토양 40점 중 16점의 시료에서 cypermethrin 등 4종의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이 검출되어 37.5%의 검출율을 보였다. 그 중 endosulfna은 12지역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다. 또한 GUS로 판단할 때 대부분의 검출 농약은 지하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거의 없었으나 살균제 vinclozolin은 약간의 지하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수용성이 높고 토양 흡착성이 낮은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Gustafson, D. I. (1989) Groundwater ubiquity score: A simple method for assessing pesticide leachability, Environ. Toxicol. Chem. 8:339-357. https://doi.org/10.1002/etc.5620080411
  2. Tomlin, C. (2006) The pesticide manual (14th ed.),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K., pp.252-254, 389-390, 457-458, 1095-1096.
  3. Vogue, P. A., E. A, Kerle and J. J, Jenkins. (1994) OSU extension pesticide properties database.
  4. US EPA, EPI Suite ver. 4.0 program.
  5. 김성단, 김복순, 박성규, 김미선, 조태희, 한창호, 조한빈, 최병현 (2007) 서울시 유통 건조농산물 중의 농약잔류 실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39(2):114-121.
  6. 김찬섭, 이희동, 임양빈, 김정한, 임건재, 오병렬 (2006) 국내등록농약의 용탈 가능성 평가, 농약과학회지 10(4):272-278.
  7. 공인철, 최은영, 이영득, 김찬섭, 김승현 (2001) 강둑여과지(이룡지구) 토양 및 지하수의 잔류농약 조사 및 모델 농약 생분해특성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3(1):1-11.
  8. 과학기술부 (2002)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의 통합적 위해성평가 및 관리시스템연구.
  9. 국립농업과학원 (2008) 2008년도 국립농업과학원 시험연구사업보고서 (농산물안전성 연구 I).
  10. 노현호, 강경원, 박영순, 박효경, 이광헌, 이재윤, 엽경원, 경기성 (2010) 청주지역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농약과학회지 14(1):1-9.
  11. 문현주, 강태석, 강일현, 김태성, 유성렬, 홍진, 한순영, 최광식 (2004) OECD 내분비계 장애물질 거색시험법 확립에 관한 국제협력연구 및 국제네트웍 구축, 내분비계장애물질연구보고서 6:214-234.
  12. 박병준, 권오경, 김진경, 김진배, 김진호, 윤순강, 심재한, 홍무기 (2009) 영농지역에서 작물재배 형태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과 유출특성, 한국환경농학회지 28(2):194-201.
  13. 손동헌 (1998) 빼앗긴 미래 환경호르몬의 공포, 종문화사. pp.141-158.
  14.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09) 식품공전 잔류농약 분석법 실무 해설서.
  15.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내분비계장애물질 평가사업 운영 및 DB구축.
  16. 윤호철, 박지현, 차경숙, 윤종배, 정재훈, 박준영, 이진열, 김종만, 강정미 (2008) 부산지역 주요 농산물경작지의 농약오염 실태조사 연구 II,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보 19(1):72-80.
  17. 이미경, 황재문, 이서래 (2005) 남부지역 시설채소 재배 농가의 농약 사용실태, 농약과학회지 9(4):391-400.
  18. 오상실, 현해남, 문두길, 정종배 (2002) 제주도 감귤원 토양에서 GUS, RF, AF 지수를 이용한 농약의 용탈잠재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1(1):7-16.
  19. 이광호, 곽인신, 최재천, 전대훈, 김형일, 최병희, 박상욱, 김은경, 이철원 (2003) 식품, 기구 및 용기포장 중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인 Benzophenol류의 모니터링(II), 내분비계장애물질연구보고서 5:45-56.
  20. 이상민, 김성수, 박동식, 허장현 (2005) 토양 column을 이용한 토성 및 자갈함량별 농약 이동특성, 농약과학회지 9(4):330-337.
  21. 이용주, 김균, 김용화 (2005) 농약의 초기위해성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농약과학회지 9(3):214-220.
  22. 이원재, 성희경, 김무찬, 강창근, 정성윤 (2007) 미생물 생태학, 월드사이언스 132-133.
  23. 장진섭, 이길봉, 이규성, 김철기, 한영선, 김혜영, 이미연, 고연자, 장승은, 김경애, 송성민, 정동진, 황인규 (2010) 인천시 유통농산물 중 최근 3년간 내분비계 장애 추정 농약의 잔류실태 조사,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보 12:413-423.
  24. 최옥경, 김종화, 황선일, 계인숙, 김명길, 정홍래 (2002) 유통농산물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 추정농약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울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보 15: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