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titude disposi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신입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감사성향,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pathy Ability, Gratitude Disposition, Self-Esteem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ew Nursing Students)

  • 이주영;이도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1-360
    • /
    • 2021
  • 본 연구는 신입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감사성향,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위치한 신입 간호대학생 225 명이다.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4.0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신입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사성향(��=.32, p<.001), 공감능력(��=.32, p<.001)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변인들은 신입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총 34.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감사성향이 포함된 간호전문직관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기여되길 기대한다.

교사용 칭찬성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acher's Praise Disposition Scale)

  • 전보라;김정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627-64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acher's praise dispositions scale(TPDS). On the basis of a literature review of praise, we developed 19 Likert-type items to measure praise disposi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developed scale was examined with 342 teachers. Wit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extracted 3 sub-factors of the scale consisted of 16 items; frequency, intention, and standard of prais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of sub-scales were from .60 to .85 and split-half reliabilities were from .60 to .84.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ree components model. It was found that some correlation coefficients, not all of them,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raise disposi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uggested that teachers'praise disposition scale is related to gratitude disposition but is not the same scale. In conclusion, TPDS could be used to measure praise dispositions of teachers. However, for further validity and reliability, repeated research is necessary.

코로나19(COVID-19)시기에 SNS 감사일기프로그램이 의료기관 종사자의 감사성향,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NS Gratitude Diary Program during the COVID-19 Period on the Grateful Dispositi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Medical Institution Workers)

  • 오지선;김자숙;박순명;김자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68-17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SNS 감사일기프로그램이 의료기관 종사자의 감사성향,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실험군 28명, 대조군 30명 총 5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실험 연구이다. 데이터는 2020년 6월 3일부터 8월 10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실험처치는 8주간 5회/주 수행되었고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SNS 감사일기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감사성향 정도는 증가하였지만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시기에 SNS 감사일기 프로그램이 의료기관 종사자의 감사성향을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심리적 건강관리를 위한 좋은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행복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 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85-395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이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3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였으며, 최종 21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행복감은 $27.77{\pm}.2.99$점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행복감은 스트레스(r=-.889, p<.001)에서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감사성향(r=.335, p<.001), 사회적지지(r=.334, p<.001)에서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beta}=-.848$, p<.001), 감사성향(${\beta}=.126$, p<.001), 전 학기 평점(${\beta}=-.083$, p=.003), 사회적지지(${\beta}=.090$, p=.005)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84.0%였다. 본 연구를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Factors affecting the nursing productivity of clinical nurses

  • Kim, Miok;Park, Mee-Lan;Nam, Hyun-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235-242
    • /
    • 2020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업무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서울소재 1개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57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사성향 정도는 총점평균 25.40±5.49점(점수범위 6~36점), 직무만족 정도는 총점평균 65.15±9.18점(점수범위 21~105점), 간호업무성과 정도는 총점평균 87.64±12.05점(점수범위 23~115점), 간호업무생산성 정도는 총점평균 35.68±6.79점(점수범위 0~45점)이었다. 간호업무생산성은 감사성향(r=.219, p<.001)과 직무만족(r=.440, p<.001) 및 간호업무성과(r=.494, p<.001)와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간호업무생산성에 감사성향(β=.144)과 간호업무성과(β=.394), 직무만족(β=.278)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인적자원의 업무생산성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 개인의 긍정성을 간호업무의 성과 및 직무만족과 함께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남자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subjectives happiness for male nursing students)

  • 박지현;조금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511-52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남자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남자 간호학과 1, 2, 3, 4학년 남자 학생 171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감사성향, 동료 관계 및 몰입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6.1%였다. 따라서 남자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자아존중감, 감사성향, 동료관계 및 몰입을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