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양육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 옥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103-114
    • /
    • 2005
  • The number of grandparents who have responsibility for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s growing.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his phenomenon and some of the issues these grandparents face in surrogate parenting. The sample consists of 69 grandparents(63 grandmothers and 6 grandfathers) of grandchildren who have lived with them at least 6 months without their parents. The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reported that caregiving bought negative changes in relations with their own children, economic situation and health condition. They concerned most about the issue of good mannered behavior of grandchildren and making good friends and needed social supports in terms of house cleaning and cooking and transportation for after school activities. Caregiver burden was related to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degrees of life changes, economic hardship due to caregiving, grand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 with granparents' own children.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ndparents' Role in Their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in Adolescent)

  • 이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73-68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randparents' role to their grandchildren, the role type, a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ol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542 grandparents through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role activity that grandparents perform include 'advising their grandchildren to be successful,' 'encouraging them to study hard,' 'having them help housework,' and 'teaching them how to behave', whereas the least one is 'to teach things such as cooking, paduk, and chess.' 2. Supporting role, educating role and raising role are three types of grandparents' role activity to their grandchildren. 3. One of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ir role level is living arrangement of grandparents. In addition, age, economic level, and educational level are partially effective variables in grandparents' role, along with whether they work or not, how often they meet their grandchildren, and how old their grandchildren are. However, it is not among significant variables whether they are healthy, or whether they are paternal or maternal.

  • PDF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부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Conflict betwee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d Adult Children: Focusing on Grandparents' Characteristics)

  • 김미혜;성기옥;팽경희;최희진;최소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905-923
    • /
    • 2011
  •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그들의 자녀 사이에서 손자녀 양육으로부터 비롯되는 갈등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3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여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그들의 성인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 돌봄 관련 요인, 건강 요인, 가족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부모가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비취업자인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부모의 근로소득과 금융소득이 없는 경우, 사적이전소득이 있을 경우, 즉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손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손자녀 양육 대가가 없는 경우, 손자녀 양육으로 인해 근로나 소득활동을 중단 또는 단축한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았으며, 조부모의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정신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자녀와의 갈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조부모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배우자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식을 위해 대가 없이 희생하는 전통노인과는 다른 양상으로서 손자녀 양육 대가 부재와 갈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가 조손가정 조부모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n Somatization of Grandparent Raising Grandchildren)

  • 김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2-27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n somatization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92 elderly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was recruited. The study instrument for death anxiety was the 5-point 15 items scale designed by Templer and translated by Ko, Choi, & Lee and for meaning of life, the 7-point 10-items scale by Steger, Frazier, Oishi & Kaler and translated by Won, Kim & Kwon. For somatization, the 5-point 12 items scale designed by Derogatis and translated by Kim, Kim & Won was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Average scores were 3.55 for death anxiety, 3.43 for meaning of life, and 2.74 for somatization. Death anxiety ha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 Meaning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somatization. Death anxiety and health status were shown to influence somatization but meaning of life was not shown to influence somatizatio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death anxiety and health status influence somatizat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se results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in which the variables influencing somatizat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re considered.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An Ecological Approach

  • Min, Deulle;Kim, Suhee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mong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Methods: This study carried out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nd Statistics Korea. Data collected from 224 grandparents who reported raising their grandchildren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was 62.63. Significant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of the grandparents included subjective health status, last year's total house income, number of last year's travels, frequency of last year's movie seeing, and number of children's parks per 100,000 popul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ublic health nurses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grandparents focus on children's parks and formal social supports as community factors as well as regular exercise as an individual factor in order to be more effective.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Listening to the Voices of Grandparents Raising Primary-Grade Grandchildren Using a Qualitative Study)

  • 송승민;이운경;이윤형;강현아;김은혜;강하라
    • 아동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5-203
    • /
    • 2017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spectives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grandparents' child-rearing experience while providing kinship foster care to their primary-grade grandchildr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grandparents who have raised one or two primary-grade (ages 8-10) grandchildren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viewed the reason for their kinship foster care as a failure for caring for their own children and accepted the present grandparent-care provision as their responsibility. Second, the participants communicated constant struggles with their own health and grandchild-care as well as positive/negative emotions associated with the care provision. Third, most of the participant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needs of their primary-grade grandchildren. Fourth, the participants articulated concerns for their primary-grade grandchildren's learning, peer interactions, school adjustment,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Lastly, the participants all agreed on hoping to raise grandchildren with good personality traits as members of a society and to have them fill the gap from the loss of their parents. Conclusion: Although most participants accepted the current circumstances as their obligation, they still noted difficulties in child-care provision. Given the developmental needs of grandchildren and the resource needs of grandparents, proper and continuous intervention approaches should be developed/provided.

한국과 연변조선족 조부모 -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연구 (Korean and Yanbian Korean - Chinese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 A Study of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s)

  • 옥경희;천희영;황혜정;최성학;정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4호
    • /
    • pp.25-3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s of Korean and Yanbian Korean-Chinese grandfamilies in which grandparents have sole responsibility for raising their grandchildren. Our sample consists of 74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43 Korean and 31 Yanbian Korean-Chines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sstabs analysis, 1-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ased on the gender of grandparents, educational level, the reason for taking care of the grandchildren, and the grandparents'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between two ethnic groups. The results also show that parenting stress is higher for Korean grandparents' and parenting efficacy is lower than Yanbian Korean-Chinese. Also, Yanbian Korean-Chinese grandparents are higher in warmth and acceptance and lower in rejected and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s than Korean grandparents. There are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nd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for Korean grandparents, but not for Yanbian Korean-Chinese.

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여가활동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Depress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 이윤정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299-313
    • /
    • 2014
  • 최근 맞벌이 부부 증가 및 이혼 등 가족해체로 인해 조손가정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어 학계와 정부에서는 이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조명하고, 긴급지원과 통합 서비스 개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들의 발달적 지원을 위한 서비스 개입과 컨텐츠 개발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조손가정 내 조부모들은 일반 노인들과 비교해 노년기에 증가하는 여가시간과 그 활동에 있어 손자녀 양육으로 인해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약으로 인한 조부모들의 적응문제와 정신건강 수준과의 관련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정 내 조부모들의 정신건강 영역으로 우울수준을 택하여 여가활동이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로 미혼 손자녀와 동거하고 있는 조손가정 172명을 추출하여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조손가정 조부모들은 운동과 종교활동 참여비율이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다양한 여가유형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으며, 중간 수준의 우울정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조부모의 우울감에는 여가활동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 수준, 운동활동의 참여, 여행 경험, 기타의 여가활동 참여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실천적 개입으로 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삶의 질, 역할과 기능 강화, 발달적 지원을 위한 여가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조모의 손자녀 양육에 관한 문화기술지: 다중의 경계 밖에 가족 만들기 (A Story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n an Ethnography: Constituting a Family beyond the Multiple Boundaries)

  • 장혜경;손현미;임정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109-134
    • /
    • 2009
  • 사회경제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늘어나는 가족 해체의 대안으로 조손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 다시 짚어보아야 할 것은 조손가족이 갖는 사회문화적 가치이다. 조손가족에 대한 접근은 정책결정자나 전문가의 관점에서만 이루어져 왔으므로 조손가족구성원들의 당사자 시각은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반성에 기초하여, 조손가족 조모들의 양육 경험의 의미를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10명의 조손가족 조모들을 정보제공자로 하여 수집한 자료 분석 결과 조모들의 경험은 '다중의 경계 밖에 가족 만들기'라는 문화적 주제로 수렴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손가족이 하나의 가족 체계로서 갖는 가치를 수용하고 이 체계의 고유성을 강화하고 보존하며, 조모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양육 기능을 더욱 계발하고, 조모와 손자녀 중간세대와의 연결을 꾀하는 실천적, 정책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 PDF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Role of Resources, Type of Care and Perception of Caregiving)

  • 강유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73-97
    • /
    • 2011
  •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생활실태조사'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양육 상황, 양육지각, 자원 등을 손자녀 양육경험의 주요 차원으로 설정하여, 매개모형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 간의 상호복합적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손자녀 양육동기의 대부분이 맞벌이가정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함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대다수가 양육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다. 둘째, 돌봄 상황 자체가 직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고, 돌봄 상황의 차이가 가져온 양육지각과 자원의 차이가 매개역할을 하면서 간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 중 경제형편과 이웃도움은 양육지각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것과 관련되었으며 자녀지지는 양육지각과 관련이 없었다. 결국,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조부모가 손자녀 양육을 통해 성인자녀세대의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서비스 제공자임을 보여준다. 또한 손자녀 양육경험은 관련요인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된 복합적 과정이며, 특히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작용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자원의 유용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이 더 이상 개인과 가족차원의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차원 이상의 관심사로 다루어짐으로써, 이들의 외적자원을 강화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