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ndmother-mother relationship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조모-어머니 관계질이 조모-손자녀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양육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Grandmother-Mother Relationship on Grandmother-Grandchildren T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parenting)

  • 최혜정;안정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149-161
    • /
    • 2020
  • This study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mother-mother relationship and grandmother-grandchildren ties is mediated by the coparenting. Participants consisted of 329 grandmothers who were rearing preschool aged grandchildren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 SPSS 23.0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imated with AMOS 23.0.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odel fit index used the chi-square statistic, the goodness of fit index (GFI), the Turker-Lewis index (TLI), the comparative fit index (CFI), the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followed a two-step verification process; direct and indirect effect. In addi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examined using a bootstrapping proced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grandmother-mother relationship, grandmother-grandchildren ties, and coparenting. Second,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mother-mother relationship and grandmother-grandchildren ties is mediated by copare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quality of the grandmother's relationship with mothers and cooperative coparenting is important to building relationships with grandchildren. In addition, coparenting can be an important mechanism for grandmother-mother relationships and grandmother-grandchild 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the grandmothers' relationship quality with the mother and strengthen parenting ability.

맞벌이 가족의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andmother-Grandchild Relationships on Child's Self-Esteem in Dual-Earner Families)

  • 장희경;조병은
    • 아동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1-224
    • /
    • 1995
  • The grandmother role may be an important support network for dual-earner families and become more saliency among those children who are living with their grandmothers than those who are no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e characteristics on children's solidarity with their grandmothers and grandmothers' effects on grandchildren's self-esteem.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429 grand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1)Solidarity between grandmother and grandchild in dual-earner families was associated with living arrangement. (2)Children's self-esteem in dual-earner families was not related to living arrangements with their grandmother. (3)Factors predicting solidarity between grandmother and grandchild and the grandchild's self-esteem differed by living arrangement. Solidarity between grandmother and grandchild was explained by grandmother-mother relationships, health of grandmother,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nd occupational status of father for children living with their grandmothers. For those children not living with their grandmothers, grandmother-mother relationship, the educational level of father, families' economic level,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health of the grandmoth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grandmother-grandchild solidarity. (4)The regression of predictor variables on self-esteem for children living with grandmother revealed that grandmother-grandchild solidarity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llowed by occupational status of father, the educational level of mother,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For those children who were not living with grandmothers, parent-child relationship,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grandmother-grandchild solidarity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were also significant factors in that order.

  • PDF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각된 어머니 고부갈등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Perceived Mother-Grandmother Conflicts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 김복희;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98-50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 고부갈등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이 이중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강원도 J군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인 남녀 청소년 205명이다. 이중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델 6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고부갈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이, 학교생활적응이나 주관적 웰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과 주관적 웰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학교생활적응은 주관적 웰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각된 어머니 고부갈등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이 직렬로 이중매개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런 결과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각된 어머니의 고부갈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하고 그 결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여 주관적 웰빙 수준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부모 및 조모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동거와 비동거 가족의 비교- (The relationships of the adolescent with parents and grandparents and their effects on the adolescent's ego identity)

  • 백문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9-236
    • /
    • 1992
  •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ond between grandmother and grandchild and the degree of cohesion between child in adolescence and their parents on adolescent's ego identi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level of adolesent's ego identity is moderate on the whole. Not only the degree of the cohesion between children in adolescence and parent is high, but also the bond between children in adolescence and grandmother is high. Second, adolescent's ego identity is associated with cohesion with their parent.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adolescent's ego identity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child and grandmother. Finally, the important factors on ego identity of the adolescent who are living with their grandmothers are the degree of the cohesion with father, grandmother-parent relationships, the degree of the cohesion with mother, and occupational status of mother. Those who are not living with grandmothers, the degree of the cohesion with their mothers and the bonds with grandmothe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adolescent's ego identity.

  • PDF

손자녀가 지각하는 조모/외조모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학령기 아동의 심리적 적응 (Characteristics of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nd its Impact on School-aged Grandchildren′s Psychological Adaptation)

  • 민하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3호
    • /
    • pp.23-3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nd their school-aged grandchildren's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5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Daegu.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paired t-test, ANOV A, Scheffe's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chool-aged children perceived that their maternal grandmothers rendered more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than their paternal grandmothers. 2. P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the grandchild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 frequency of face-to-face contact, the frequency of phone contact, and the friendship between the paternal grandmother and the mother.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the grandchild, on the other hand, varied significantly by the level of grandmother's education, the frequency of face-to-face contact, and the frequency of phone contact. 3. Perceived paternal and maternal grandmothers' social support had indirect impacts on grandchildren's depression, which was mediated by their mothers' parenting.

여대생의 노인부양의식과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Women University Students' Supporting Awarenes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 강지숙;정덕유;김예영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851-865
    • /
    • 2009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노인부양의식,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부양의식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는 서울소재 한 여자대학교 교양수업시간에 노인부양의식과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97.7%의 여대생이 결혼 후 직업 갖기를 희망하였고, 52.8%는 시부모와 별거를 희망하였으며, 48.5%는 부모부양 시 '형편에 따라 책임진다'고 하였고, 91.8%는 노인부양의 주된 책임을 가정이 지되, 국가가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대생의 노인부양의식은 평균 115.50점으로 파악되었고, 노인에 대한 지식점수는 평균 10.21점, 정답률 40.9%로 나타났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평균 84.19점이었다. 여대생의 노인부양의식은 종교, 한 달 용돈, 제사지내기의 여부, 장래 부모부양, 장래 시부모동거, 이상적인 부양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부-조모 관계, 모-조부관계, 모-조모관계, 모-외조부관계가 좋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노인 부양의식이 높았다. 또한 여대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많고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노인부양의식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여대생은 노인부양과 관련하여 전통적인 가정의 역할을 중시하면서 경제적 활동에 참여하길 원하여 갈등의 상황에 직면할 수 있고, 이들의 부양의식에는 부모와 조모 간의 관계가 좋은 경우, 노인에 대한 많은 지식과 긍정적 태도가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가정과 국가, 세대 간 갈등이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 여성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대생뿐 아니라 전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지속적인 연구와 관찰, 인식전환, 교육 및 사회통합을 위한 관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유치원 아동의 흡연태도 및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moking Attitude and Inten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 이홍자;백선복;김현철;최경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0-341
    • /
    • 2004
  • Parental smoking status and smoking environment do not only affect children's health through exposure to nicotine, but are also related to children's smoking attitude, intention and knowledge of smoking.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smoking and smoking attitude, intention and knowledge of their children, little is known about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smoking among Korean preschool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sychosocial factors (sociodemographic factors, education for smoking cigarette, knowledge about smoke cigarette) influencing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intention, with a purpose of providing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A cross sectional sample of 840 children, ages 4-7 years, living in a rural district were interviewed during August 6 - November 14, 2003. Among them, 834 children whose missing data were less than $10\%$ were included the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 for smoking cigarette, whil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knowledge about smoking, the children's smoking attitude and their intention of smoking. The data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attitude and intention of smoking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 follows. The factors tha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moking attitude include mother's smoking $(x^2=4.86,\;p=.03)$, grandmother's smoking $(x^2=5.56,\;p=.02)$, and knowledge of smoking cigarette $(x^2=-5.13 p<.01)$. The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intention of smoking include gender $(x^2=.08,\; p=.02)$, education for smoking$(x^2=17.65,\;p<.01)$, mother's smoking $(x^2=19.05,\; p<.01)$, grandmother's smoking $(x^2=17.67,\; p<.01)$, and knowledge$(x^2=-2.17,\;p=.03)$. The children who had non smoking mother we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attitude (OR=2.29). The children who had a higher knowledge about smoking we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attitude (OR=1.58). The findings suggest that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specific for preschool children is necessary to prevent early onset of smoking.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program should involve children's family members who influence their smoking attitude and intention.

  • PDF

강릉(江陵) 오죽헌(烏竹軒)의 조선시대 사회사(社會史)적 의미 (The social historic meaning of Gangneung-Ojukhen in Joseon Dynasty)

  • 이상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2호
    • /
    • pp.64-81
    • /
    • 2015
  • 보물 제165호인 오죽헌은 강원도 내에 남아있는 조선전기 가장 이른 시기 사대부 주택의 별당이다. 집의 형태적 측면은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신사임당이 율곡 이이를 낳은 집으로 유명하다. 강릉최씨 가문에 의해 처음 지어졌으나 자녀균분상속의 관행 속에서 사위에게 상속되었고, 최종적으로 신사임당의 어머니 용인이씨가 외손인 권처균에게 배묘조로 상속해 주었다. 권처균의 호가 '오죽헌'이었으므로 택호 또한 오죽헌이 된 것이다. 오죽헌은 조선시대의 상속과 봉사관행의 변화 양상을 조망해 볼 수 있는 문화유산이다. 오죽헌이 용인이씨, 신사임당, 그리고 이이, 권처균 등 직계가 아닌 외손들과 특별한 인연이 맺어지게 되는 것은 서류부가와 친정살이라고 하는 유습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용인이씨, 신사임당은 친정인 오죽헌에서 태어나 자랐다. 용인이씨는 결혼 직후부터 사망할 때까지 친정인 오죽헌에서 살았다. 신사임당도 결혼 후 근친을 위해 친정을 자주 오가며 생활했고, 이이를 오죽헌에서 낳았다. 이이는 유년을 외조모 용인이씨 슬하에서 보냈고, 강릉을 떠나서도 어머니를 따라 외가를 자주 오갔으므로 외조모와의 정이 매우 각별하여 외조모의 봉사손이 된다. 권처균이 용인이씨 배묘손이 되는 것도 아버지 권화가 데릴사위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오죽헌은 서류부가와 친정살이라고 하는 조선전기 혼인과 생활풍속을 엿볼 수 있는 집이다. 이이가 외가로 지칭했던 강릉 북평촌 최씨마을에는 권처균의 직계손인 안동권씨 추밀공파가 세거하는 동성마을이 형성되었다. 17세기부터는 부계친족집단을 중시하는 사회사적 변화가 일어난다. 오죽헌은 이러한 시점에 권처균에게 상속되었고, 최씨마을이었던 죽헌동에 안동권씨 집거지인 동성마을이 만들어지는 시발이 되었다. 오죽헌은 조선전기에서 후기로 변화되는 상속 친족 혼인제도 등과 같은 사회의 변화상을 한눈에 읽어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밭담은 태풍에 왜 안 무너지나?: 비직교 대칭 하중 아다마르 행렬에 의한 수학적 접근 I (Why Won't the Field Wall Collapse in the Typhoon? : Mathematical Approach to Non-orthogonal Symmetric Weighted Hadamard Matrix I)

  • 이문호;김정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11-217
    • /
    • 2019
  • 제주의 3대 발명은 1234년 김구 판관의 밭담, 제주 사람들의 방목문화 관습에서 나온 정낭, 1406년 문방귀의 묘의 신문인 올레 등을 들 수 있다. 돌과 돌의 수 눌음에서 나온 외담인 밭담은 친족사회인 괸당을 만들었다. 30m/s 이상 불어오는 태풍에도 약 1.5m 높이인 밭담은 무너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주 사회의 괸당도 어떤 어려움이 닥쳐도 서로 도와 무너지지 않는다. 밭담을 쌓을 때는 밑돌인 괸돌 둘을 나란히 평면으로 붙이고 그 위에 왼쪽 윗돌로 괴고 옆에 오른쪽 윗돌을 상보적으로 붙인다. 밭담이 밑에서 위쪽으로 한 돌, 두 돌 붙여나가는데 가운데 돌은 조금 작거나 큰 비정형 돌들로 쌓으면 하나의 공간에선 평면 밭담이 된다. 괸당은 할아버지, 할머니-아버지, 어머니-나를 중심으로 가깝고, 먼 혈족이 수직관계를 나타낸다. 밭담은 밑에서 위로 쌓아가는 수직관계인 데 반하여, 괸당은 윗대 할아버지 친족에서 아랫대의 손자까지 피를 나누어가는 수평 관계다. 본 논문은 밭담 가운데 돌이 큰 돌(작은 돌)을 놓는가에 대해서 비직교 대칭 하중 Hadamard 행렬로 접근한다.

민요 달강달강의 전승과 판소리적 수용양상 (Passing down Dalgang-Ga and pansori's aspects of acceptance)

  • 이효녕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133-156
    • /
    • 2020
  • 본고는 아기 어르는 소리 '달강달강'이 판소리 작품에 어떻게 수용되고, 작품의 서사 안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의미와 변모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2장에서는 육아 현장에서 불렸던 달강달강의 지역적 분포, 아기 어르는 소리로서의 성격, 서사구조, 음악적 특징 그리고 현재적 전승에 대해 살폈다. 3장에서는 민요 달강달강의 가사와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의 가사들을 함께 비교하여 그 수용양상을 살폈다.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육아현장에서 불리던 민요 달강달강의 서사구조를 대부분 간직하고 있었다. <심청가>와 <적벽가>의 달강달강은 서사구조는 비슷했지만, 앞뒤의 구절에서 "어허둥둥 내 딸(아들)이야"로 차이가 있었으며, '도리도리'나 '쥐얌쥐얌' 같은 <단동치기십계훈>의 내용이 추가됐다. <강릉매화타령>에서는 민요 달강달강의 서사구조는 물론 "달강달강"이라는 앞뒤 구절까지 유지되어 민요와의 차이가 가장 적었다. 실제 육아현장에서 달강달강은 주로 엄마나 할머니에 의해 불려졌지만,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모두 남성에 의해 불려졌다는 점도 특징이다. 민요 달강달강은 지역에 따라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 경토리 등 다양한 선법으로 불리며 자장가처럼 단순한 구조가 반복되는 선율이지만, 판소리의 달강달강은 판소리라는 음악양식의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 평계면의 선법과 서사맥락에 따른 극적인 선율로 짜여졌다. 아기를 어르기 위한 민요 달강달강은 여유있고 나긋한 박자로 불렸지만,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서사적 맥락에 의해 속도감 있는 '중중모리'나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불렸다. 4장에서는 판소리에 수용된 달강달강이 작품 안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의미, 그리고 변모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달강달강은 각 판소리 작품 속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서사 맥락과 극적 상황에 따라 사설과 선율이 변용되면서, 새로운 역할과 의미를 수행하고 있다. <심청가> 속 달강달강은 곽씨 부인을 잃고 슬픔에 잠긴 심봉사가 심청을 통해 삶의 의지를 되찾는 과정에서 등장했으며, <적벽가>에서는 어린 아들을 어르던 위나라 군사의 추억 회상 장면에서 달강달강의 사설이 사용됐다. <강릉매화타령>에서 달강달강은 부모자식관계가 아닌 남녀의 애정관계로 변모했다. <강릉매화타령> 속 달강달강은 육아의 현장에서 불린 '아기 어르는 소리'의 의미에서 벗어나 골생원이 가진 향락적인 삶의 태도와 지나친 성적 욕망을 이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판소리에서 달강달강은 대부분 환희의 장면에서 수용됐는데, 이는 아기를 어르는 지극한 애정의 감정이 판소리의 서사 맥락과 극적 상황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