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sing down Dalgang-Ga and pansori's aspects of acceptance

민요 달강달강의 전승과 판소리적 수용양상

  • Lee, Hyo-Nyou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 University)
  • 이효녕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20.07.13
  • Accepted : 2020.08.15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is a paper that examines the meaning and changes of how Dalgang Song, a parenting song, is accepted in pansori works and how it plays a role in the narrative of the work. In Chapter 2, Compared the lyrics of Dalgang-Dalgang in actual parenting scene and Dalgang-Dalgang in Pansori's work. As a result, the songs in Pansori, show some differences in lyrics, but most of them kept the narrative structure intact. Among them, Gangreung-maehwa-ga maintained the phrase "Dalgang-Dalgang" in front and back, making the least changes. Simcheong-ga and Jeokbyeok-ga maintained their epic structures, but the the front and the rear phrase turned into a "Uh huh, Doong doong". And Dalgang-Dalgang was sung mostly by its mother or grandmother at the actual parenting scene, but the song in Pansori, was all sung by men. Dalgang song in Pansori, had a mostly Gyemyeon melody due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Pansori. Also Dalgang-Dalgang for actual parenting, was sung with a leisurely, soft beat. But Dalgang song in Pansori's works were sung rhythmical with Jungjungmori rhythm or Jajinmori rhythm to maximize joy. In Chapter 3, I discussed the roles and meanings of Dalgang song contained in Pansori. Dalgang-Dalgang of Simcheong-ga appeared in the crucial process of Sim Hak-kyu's return to will of life through Simcheong after the death of his wife. In Jeokbyeok-ga, Dalgang song also appeared as a tool to recall the happy memories with his son. On the other hand, Dalgang-Dalgang of Gangreung-maehwa-ga played a role of expressing affection for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no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s is beyond the original meaning of parenting, which means the hedonistic and excessive affection of Mr. Gol. The desire to change a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into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lso found in Kim Yeon-soo's Chunhyang-ga. This change is an example of how the role and meaning of Dalgang song has changed dramatically as it was inserted into pansori. And the reason why Dalgang-Dalgang was so important in the narrative of Pansori was because of The lyrics of the song contain the love of the baby.

본고는 아기 어르는 소리 '달강달강'이 판소리 작품에 어떻게 수용되고, 작품의 서사 안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의미와 변모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2장에서는 육아 현장에서 불렸던 달강달강의 지역적 분포, 아기 어르는 소리로서의 성격, 서사구조, 음악적 특징 그리고 현재적 전승에 대해 살폈다. 3장에서는 민요 달강달강의 가사와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의 가사들을 함께 비교하여 그 수용양상을 살폈다.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육아현장에서 불리던 민요 달강달강의 서사구조를 대부분 간직하고 있었다. <심청가>와 <적벽가>의 달강달강은 서사구조는 비슷했지만, 앞뒤의 구절에서 "어허둥둥 내 딸(아들)이야"로 차이가 있었으며, '도리도리'나 '쥐얌쥐얌' 같은 <단동치기십계훈>의 내용이 추가됐다. <강릉매화타령>에서는 민요 달강달강의 서사구조는 물론 "달강달강"이라는 앞뒤 구절까지 유지되어 민요와의 차이가 가장 적었다. 실제 육아현장에서 달강달강은 주로 엄마나 할머니에 의해 불려졌지만,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모두 남성에 의해 불려졌다는 점도 특징이다. 민요 달강달강은 지역에 따라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 경토리 등 다양한 선법으로 불리며 자장가처럼 단순한 구조가 반복되는 선율이지만, 판소리의 달강달강은 판소리라는 음악양식의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 평계면의 선법과 서사맥락에 따른 극적인 선율로 짜여졌다. 아기를 어르기 위한 민요 달강달강은 여유있고 나긋한 박자로 불렸지만,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서사적 맥락에 의해 속도감 있는 '중중모리'나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불렸다. 4장에서는 판소리에 수용된 달강달강이 작품 안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의미, 그리고 변모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달강달강은 각 판소리 작품 속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서사 맥락과 극적 상황에 따라 사설과 선율이 변용되면서, 새로운 역할과 의미를 수행하고 있다. <심청가> 속 달강달강은 곽씨 부인을 잃고 슬픔에 잠긴 심봉사가 심청을 통해 삶의 의지를 되찾는 과정에서 등장했으며, <적벽가>에서는 어린 아들을 어르던 위나라 군사의 추억 회상 장면에서 달강달강의 사설이 사용됐다. <강릉매화타령>에서 달강달강은 부모자식관계가 아닌 남녀의 애정관계로 변모했다. <강릉매화타령> 속 달강달강은 육아의 현장에서 불린 '아기 어르는 소리'의 의미에서 벗어나 골생원이 가진 향락적인 삶의 태도와 지나친 성적 욕망을 이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판소리에서 달강달강은 대부분 환희의 장면에서 수용됐는데, 이는 아기를 어르는 지극한 애정의 감정이 판소리의 서사 맥락과 극적 상황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라 하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BK21 플러스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