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 filling stag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8초

Association of Grain Filling Duration and Leaf Activity with the Grain Yield in Field-Grown Temperate Japonica Rice

  • Yang, Woonho;Kang, Shingu;Park, Jeong-Hwa;Kim, Sukjin;Choi, Jong-Seo;Heu, Sungg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20-130
    • /
    • 2018
  • Improvement in rice grain yield has been approached by means of genetic amendment, cultura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Subjecting the plant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o an appropriate environment plays a key role in achieving a high grain yield in temperate ric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wo consecutive years with two planting times to assess the relations among grain filling traits, loss of leaf activity during the ripening period, and the grain yield of temperate japonica rice with wide environmental variation. Higher grain yields were attained in 2017 than in 2016 and with late planting than with early planting. The high grain yield accompanied a comparatively lesser increase in grain weight at the early filling stage but more gain in grain weight occurred during the late filling stage. Final grain weight correlated positively with grain filling duration but negatively with grain filling rate. Extended grain filling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cumulative temperature and cumulative solar radiation for an effective grain filling period. The reduction in SPAD value ${\times}$ leaf dry weight from heading to harve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nal grain dry weight in a positive manner.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between grain filling duration and the decrease in SPAD value ${\times}$ leaf dry weight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grain filling duration and loss of leaf activity during ripening independently contribute to environmentally induced yield improvement in temperate japonica rice.

지역 및 파종기 차이가 소맥의 등숙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ion and Sowing Date on Grain- filling and Quality in Wheat)

  • 류용환;하용웅;최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8-373
    • /
    • 1983
  • 본 시험은 1978년부터 1979년까지 2개년간 수원과 광주에서 소맥 “조광”을 공시하여 파종기를 달리하였을 때 등숙기간중 립중의 경시적인 증가양상과 품질의 변이에 관하여 등숙기간별로 추적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지역간에는 수원에서 파종기차이에서는 적기파종에서 빨랐으나 년차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출수까지의 일수는 지역 및 파종기에 따라 변이가 비교적 커서 수원에서 225-207일, 광주는 192-176일이 소요되었다. 2. 등숙전기의 립중은 광주에서 보다 수원에서 무거웠으나 최종 립중은 반대로 광주에서 높았다. 3. 등숙일수는 년차변이가 커서 수원에서 적기파종한 경우는 43-49일, 광주는 44-51일이었으며 만기파종은 동일지역내에서 적기파종에 비해 1-4일이 단축되었다. 4. 제분율은 지역간에는 광주에서, 파종기간에는 적기파종에서 다소 높았으며 등숙일수에 따라서는 등숙이 진전됨에 의해 증가하여 만기파종에서는 출수후 45일에 최대가 되었으나 적기파종에서는 45일이후까지 경미한 증가경향을 보였다. 5. 단백질함량과 심전가는 제분율과는 반대로 고온하에서 등숙이 이루어진 북부지방에서, 파종기에 따라서는 만기파종에서 높았으며 등숙기간별로는 일양적인 경향이 없었다.

  • PDF

Composition of Culture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for In vitro Culture of Rice Panicle

  • Lee, Jin-Ho;Lee, Ho-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2-37
    • /
    • 2000
  • The in vitro culture of rice panicles is a culturing technique only panicle without other organs in culture solution containing organic substance, so that would be useful to study how assimilate supply affects grain development and maturation. To find the optimum stage for in vitro culture, rice panicles grown in greenhouse were sampled periodically after anthesis and cultured in nutrient medium. The panicles older than 1 weeks after anthesis had produced normal grains. Grain-filling was apparently dependent upon sucrose concentration (8-12 %) in medium, but not affected by nitrogen concentration supplied with glutamine. As far as rice panicle was supplied with sucrose and N in nutrient medium, grains continued accumulation of dry matter and maturation regardless to light condition. Considerably, grain-filling was improved when panicles were positioned horizontally inside flask, so that each grain was partially submerged to nutrient medium.

  • PDF

대맥의 등숙기간중 엽신의 노화와 동화산물의 전류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eaf Senescence and Photosynthate Translocation during Grain filling in Barley)

  • 남윤일;구본철;연규복;맹돈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4-40
    • /
    • 1991
  • 본 시험은 대맥 등숙기간중 급속한 온도상승과 고온건조 및 과습 등 불량환경으로 맥체가 급격히 노화되어 충분히 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대맥은 품질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수량성도 외국에 비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등숙기의 엽신노화와 동화산물의 전류특성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등숙향상을 위한 품종 육성 선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코자 실시하였던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숙일수 경과에 따른 엽신의 생엽수 및 노화속도는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2. 입출전 및 동화물질의 전류속도는 엽신의 노화가 빠른 품종군이 늦은 품종군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 엽위 및 기관별로 $^{14}$ C 물질의 전류 양상을 본 결과, 등숙초기에는 노화가 빠른 품종군은 산위엽(지엽, 2엽)과 하위엽 ( 3, 4, 5엽)에 흡수된 $^{14}$ C의 량이 이삭으로 전류되는 비율이 비슷하였으나 등숙이 진전되면서 상위엽에 흡수된 $^{14}$ C은 전류가 급격히 이루어지나 하위엽은 반대의 경향이고, 노화가 늦은 품종군은 등숙초기에는 하위엽의 전류속도가 월등히 높고 하위엽은 낮으나 등숙이 진전되면서 반대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4. 경엽에 흡수된 $^{14}$ C이 종실로 정류되는 양상과 입충전속도가 엽신의 노화속도 조만 품종군별로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5. 광합성 속도는 등숙중기까지는 엽신노화가 빠른 품종이 높았으나 중기후는 낮았다. 6. 종실수량은 엽신의 노화속도가 빠른 품종군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 PDF

엽노화 정도가 다른 벼 품종의 등숙기 광합성 특성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s with Depending on Leaf Senescence during Grain Filling)

  • 이변우;박재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6-223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etal differences in leaf senesc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f senescence and photosynthesis during ripening stage of rice. During grain filling period, leaf senescence was evaluated by SPAD readings (an indirect indicator of chlorophyll content) for 3 rice varieties (SNU-SG1, Hwaseongbyeo, Nampungbyeo). SPAD value of flag leaf and 2nd leaf of SNU-SG1 were much higher than the other varieties and the leaves of SNU-SG1 also showed a tendency of delayed senescence as compared to the other varieties. Photosynthesis at light saturation (Pmax) of flag, 2nd and 3rd leaf in SNU-SG1 during grain filling period were much higher than Hwaseongbyeo and Nampungbyeo. The Pmax of the flag leaf in SNU-SG1 was especially higher over 20% than the other varieties. It was due to its higher mesophyll conductance and stomatal conductance as compared to the other varieties. Pmax, stomatal conductance and mesophyll conductan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PAD value and nitrogen concentration of leaves. In conclusion, the stay green characteristics of SNU-SG1 w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grain yield through the improved photosynthesis during grain filling.

우리나라 고품질 벼 품종의 쌀 품질 특성에 미치는 등숙기 단계별 기온과 일조시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s During Grain Filling Stage on the Quality-Related Traits of High Quality Rice Varieties in Korea)

  • 양운호;최경진;손지영;강신구;신성휴;심강보;김준환;정한용;장정희;정정수;이채영;윤여태;권석주;안규남;신종희;배성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73-281
    • /
    • 2015
  • 벼 등숙기간 및 등숙기 기간별 기온과 일조시간이 쌀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 8개도 24개 지역에서 고품질 벼 11품종을 이용하여 2013-2014년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종, 지역 및 연차별 시험성적을 모두 합하였을 때, 출수기,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 및 일조시간의 범위는 각각 7월 23일~9월 4일, $18.8{\sim}26.4^{\circ}C$, 3.9~8.0시간/일이었다. 2. 성적을 모두 합하였을 때, 특성별 범위는 등숙비율 74.2~97.9%, 현미 천립중 19.6~26.1 g, 완전미 비율 61.4~98.5%, 완전미 수량 276~701 kg/10a, 쌀 단백질 4.8~8.3%, Toyo Mido Meter 값 66.1~91.5였다. 3. 완전미 비율, 완전미 수량, 쌀 단백질 및 Toyo Mido Meter 값은 출수 후 40일간의 등숙 최적온도인 $22.6^{\circ}C$보다 낮은 온도에서 높아졌으며, 쌀 외관품위와 밥맛을 고려한 출수 후 40일간의 최적 일조시간은 6.0~6.1시간/일로 평가되었다. 4. 쌀 단백질은 출수 후 40일간의 평균기온 및 일조시간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품종이 전체 11품종 중 각각 8개와 9개로, 다른 특성에 비해 많았다. 5. 쌀 단백질은 등숙 초기의 평균기온 및 등숙 초 중기의 일조시간에, 완전미 비율은 등숙 초기의 평균기온 및 일조시간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았다.

벼 등숙기 엽노화의 품종간 차이 및 수량과의 관계 (Genotypic Difference in Leaf Senescence during Grain Filling and Its Relation to Grain Yield of Rice)

  • 이변우;박재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4-231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etal differences in leaf senescence during ripening stage and its relation to grain yield of rice. During grain filling period leaf senescence was evaluated by SPAD readings (an indirect indicator of chlorophyll content) for 74 varieties including local, improved domestic, and introduced varieties in the field condition. Leaf senescence was varied greatly among 74 varieties. Jodongji and Dadajo known as local rice varieties had significantly lower SPAD value than the other varieties and became senescent rapidly. However, SPAD value of the flag leaf and 2nd leaf of SNU-SG1 were much higher than the other varieties and leaves of SNU-SG1 also showed a tendency of delayed senescence compared to the other varietie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umulated SPAD value of upper leaf(flag leaf and 2nd leaf) during 35 days after heading and grain yield divided by sunshine hour during 40 days of grain filling and compensated for temperature effect, and cumulated SPAD value of the 4th leaf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yield. That is, the delayed senescence of the upper leaves and the rapid senescence of lower leav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grain yield increase.

국내 육성 조생종 벼 품종들에 대한 등숙기 고온내성 평가 (Evaluation on Early-maturing Korean Japonica Cultivars for High-temperature Tolerance during Grain Filling Stage)

  • 조성우;정지웅;강경호;김현순;김보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46-152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조생종 벼 품종들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자포니카(Oryza sativa L. ssp. Japonica)의 조생 다수성 품종인 남일 돌연변이 계통인 중모1024의 등숙기 고온내성을 비교 평가하여 등숙기 고온내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조생종벼 품종들 중 대봉, 운광, 및 만안과 돌연변이 계통인 중모 1024가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고온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중모1024는 다른 공시품종들에 비하여 상당히 양호한 고온내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하여 현미의 길이와 너비가 감소하였으며, 현미 너비의 감소율이 현미 길이의 감소율에 비하여 평균 4배 이상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하여 현미의 길이보다는 너비가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된다. 등숙기간 동안 고온에 의해 가장 문제가 되는 완전미율과 미숙립율을 공시품종들간 비교 평가한 결과, 상대적으로 중모 1024, 태봉, 운광 및 만안이 고온에서 높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적온에서 낮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인 품종들이 상대적으로 고온에 의한 현미완전미율 감소율이 적온에서 높은 현미완전미율을 보인 품종들에 비해 낮았다. 또한, 다른 공시품종들에 비하여 고온내성이 양호한 중모 1024는 고온에서도 좋은 쌀 외관품위와 안정적 수확성 향상을 위한 육종모재로서 유용형질을 교배를 통해 고품질 벼의 보완을 위해 이전할 수 있는 것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벼 등숙기 고온이 잎의 엽록소구성과 광합성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Temperature on Leaf Physiological Changes as Chlorophyll composition and Photosynthesis Rate of Rice)

  • 손지영;김준환;이충근;양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66-272
    • /
    • 2015
  • 등숙기 고온이 잎의 생리적 활력과 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동안과 일품 두 품종을 등숙기에 고온 처리하여 등숙 형질을 분석하고, 잎의 광합성, 엽록소 함량 및 엽록소 a/b율 등을 알아보았다. 등숙기 고온($27{\pm}4^{\circ}C$)처리에서 두 품종 모두 등숙률, 완전립률, 천립중이 감소하였으나 일품은 동안에 비해 모두 감소율이 컸다. 엽록소 함량은 등숙초기 고온에서 적온보다 두 품종 모두 증가하였으며, 등숙중기이후 엽록소감소양상은 온도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엽록소 a/b율은 고온에서 감소하였다가 출수후 15일 이후 증가하였으며 적온에서는 출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잎의 단백질농도 변화는 고온에서 등숙초기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이후 처리 간 차이없이 등숙후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최대 광합성량은 유숙기인 출수 후 14일에 고온이 적온보다 높았고 출수후 7일과, 등숙후기(출수후 34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잎의 유리당 함량은 고온이 적온보다 낮았다. 결론적으로 등숙기 고온은 잎의 생리적 활력을 적온보다 오히려 증가 시켜 엽록소함량과 광합성율이 증가하였으므로, 고온에 의한 이삭의 등숙저하는 이삭으로의 전류나 전분축적기작 과정의 문제가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수도의 감수분열기 및 등숙기에 있어서 온도반응에 관한 연구 제2보 수도 Indica$\times$Japonica 품종의 등숙기에 있어서의 온도반응 (Studie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the Reduction Division and the Grain Filling Stage in Rice Plants II. Effect of Air Temperature at the Grain Filling Stage in Indica-Japonica Crosses)

  • 김규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75
    • /
    • 1983
  • Indica${\times}$Japonica품종에 있어서 온도처리가 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phytotron을 이용하여 Indica${\times}$Japonica품종(수원 264, 수원 258, 밀양 29) Indica 품종(IR 36. Lengkwang) Japonica 품종(진흥)을 공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숙기에 있어서 입중증가를 위한 최적온도는 주야온도 $26/18^{\circ}C$였고, 일평균온도 $13^{\circ}C$에서 $28^{\circ}C$까지의 범위에서는 온도를 높임에 따라 등숙기간이 짧아졌다. 2. 온도조건$(32/24^{\circ}C)$에서의 상위부 영화(Special)의 개화후 입중이 최대가 되기까지에는 IR36 13일, 진흥 23일, Indica${\times}$Japonica품종(수원 264, 수원 258, 밀양 29) 18일 및 Lengkwang 23일이 요구되었다. 3. Lengkwang의 경우 주야온도 $32/24^{\circ}C,\;29/21^{\circ}C,\;26/18^{\circ}C$의 3개 처리온도 범위에서는 개화후 입중의 최대시기가 동시에 나타났다. 4. 저온조건 $(17/9^{\circ}C)$에서 등숙기간이 진흥 68일, Lengkwang 53일의 장기간이 소요되었다. 5. 일수가 완전히 등숙하는데는 상위부 영화들의 등숙보다 하위부 영화의 등숙은 15일정도 늦어졌다. 6. 저온조건하에서 $(17/9^{\circ}C,\;20/12^{\circ}C)$ IR36은 개화후 15일 이내에 고사되었으나 Indica${\times}$Japonica 품종들은 $17/9^{\circ}C$에서만 고사되고 $20/12^{\circ}C$에서는 초기등숙이 정체되었다가 2주일후부터 등숙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7. 온도조건에 따른 복백미의 형성은 최적온도$(26/18^{\circ}C)$로부터 최저나 최고조건에서 많았고 사미 및 적미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8. 현미립의 길이 및 두께 폭에 대한 영향을 보면 저온조건$(17/9^{\circ}C\;20/12^{\circ}C)$에서 짧거나, 얇고, 좁은 편이었다. 9. 온도별 립중분포의 빈도를 보면 IR36은 최고온도조건이나 $(32/24^{\circ}C)$ 최저온도$(23/13^{\circ}C)$에서 동일한 립중분포를 보였고 최적온도조건에서는 $(26/18^{\circ}C$ 높은 립중분포를 보였고 진흥은 최고, 최저, 최적온도 순으로 립중증가의 빈도를 보였으며 Indica${\times}$Japonica 품종들은 진흥과 IR36품종의 중간 영역에 머물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