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uate job performance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2초

고용형태에 따른 사서의 직무태도와 성과에 관한 연구 (The Differences in Job Attitudes and Performance between Permanent and Contingent Librarians)

  • 최민정;이지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년도 제1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8
    • /
    • 2006
  • 본 연구는 고용형태의 차이가 사서의 직무태도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서의 직무태도와 성과의 차이 유무와 그 직무태도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고용형태별로 직무태도와 성과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직무태도와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정규직 사서의 경우 동료관계, 고용보장성, 기술다양성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 사서의 경우 동료관계와 자율성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행위와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 자각증상의 관련성 (Effects of Health Behaviors on Perceiv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Job Stress Among Korean Manufacturing Workers)

  • 박경옥;김인석;오영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5-211
    • /
    • 2004
  • Stress is a primary health promotion issue in worksite research because psychological distress is closely related not only to workers' health status but also to their job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t health behaviors affecting workers' job-related stres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with the national survey data conducted by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 2003. A total of 7,818 factory workers in 1,562 manufacturing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wide occupational health survey and 3,390 workers answered that they had any stressors in their workplace among the 7,818 workers finally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proportional sampling process by manufacturing industry classification, company size, and company locations (8 metropolitan and 8 non-metropolitan regions) in Korea. Trained interviewers visited the target companies and interviewed the factory workers randomly selected in each company. Smoking, drinking, weight control, exercise, sleeping, break time at work, and perceived fatigue were included in the health behavior construct. Stress symptoms was consisted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with 8 items. All survey responses were anonymously coded into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estifi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le workers were 73.5% and the 30s were 40.0% among the age groups. The married and the high school graduate were majority with 52.1% and 61.8% each. Current smokers were 44.7% and More than 50% of the participants drank alcohol sometimes. No exercise group was 59.3% and the participants who dissatisfied with their daily sleeping hours were 43.5%. In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significant gene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job stress were young age (p<0.001), single marital status (p<0.001), and short working period at the present company (p<0.001). The health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job stress were current smoking, weight change during the past one year (p<0.001), weight control effort (p<0.001), exercise (p<0.001), daily sleeping dissatisfaction (p<0.001), break time, and perceived fatigue (p<0.001). All 10 health behavior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job stress (p<0.05). Weight change, weight control effort, exercise, daily sleeping dissatisfaction, little break at work, and high perceived fatigu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Daily sleeping dissatisfaction, little break at work, little exercise, weight change for the past one year and young age were selected as the significant health behavior and general factors affecting physical job stress symptoms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ve factors explained 18.9% of the physical stress score variance. Six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significant health behaviors affecting psychological job stress: daily sleeping dissatisfaction, little exercise, frequent drinking alcohol, high perceived fatigue, little break at work, and little weight control effort. The six factors explained 10.6% of the psychological stress score variance.

유아교사들의 직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 조명선;이재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69-478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직무실태 및 직무만족도를 심층 조사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소재의 유아교육 전문 기관에 근무하는 보조교사를 포함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유아교육 기관은 국공립 어린이집, 사립어린이집, 국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5명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분석은 t-test, χ2-검증, ANOVA 분석을 수행하였고 사후분석으로 Scheffé 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 직무실태는 교육기관의 유형, 연령, 교육정도, 교육경력 등을 조사하였다. 교육기관의 만족도는 국공립 유치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50대 이상에서 교육수준은 대학원 졸업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유아교사들의 직무 만족도가 동료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자아정체감 및 교사환경에 대해 유의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 교사들의 현재 직무실태와 만족도를 이해함으로서 그들의 직무 수행 능력을 높이고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일부 보건진료원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Satisfaction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a Rural Area)

  • 이순례;박상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2호
    • /
    • pp.331-350
    • /
    • 1999
  • 본 연구는 보건진료원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업무수행에 도움을 주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보건진료원 348명 중 200명으로 하였고, 1999년 2월 18일부터 3월 5일까지 설문지를 우편으로 대상자에게 발송하여 작성하게 한 후 응답지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성격특성 측정도구는 김(김기석, 1990)의 "일반성격검사"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Salvitt의 도구를 석(석민현, 1992)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rogram에 의해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특성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종교와 보수이다(P=.028). 2. 직업의식은 계속교육여부와 필수적 직무(P=.000), 자율성(P=.000), 보건진료원 선택동기와 필수적 직무(P=.007), 직업긍지(P=.007), 보건진료원 종사예정기간과 필수적 직무(P=.023), 직업적 긍지(P=.000), 현직에 대한 만족여부와 보수(P=.001), 필수적 직무(P=.016), 직업긍지(P=.000), 상호작용(P=.011), 자율성(P=.002), 조직요구(p=.001)가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근무지 여건과 직무만족도 관계를 보면 직급과 자율성(p=.038), 보건진료원 이전 분야별 경력과 상호작용(P=.059), 자율성(P.059), 진료소위치와 자율성(P=.021), 월가정방문수와 상호작용(P=.001), 월상담 교육건수와 보수(P=.044), 직업긍지(P=.021), 보건진료소 연수입과 필수적 직무(P=.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보건진료원의 성격특성 중 자신감(80.1)과 책임성(82.6)이 다른 성격요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5. 보건진료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16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적 긍지 점수가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보면 지배성은 자율성(r=.24, P=.001)과 책임성은 직업긍지(r=.26, P=.000), 정서적 안정성은 필수적 직무(r=.25, P=.000), 사회성은 필수적 직무(r=.26, P=.000), 자신감은 필수적 직무(r=.34, P=.000)와 자율성(r=.31, P=.000)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보건진료원의 제요인과 성격특성 중 종교, 진료소위치, 환자진료, 교육기회 여부, 지배성, 자신감, 보건진료원 종사 예정기간, 현직에 대한 만족여부, 보건진료원 이전 근무 분야, 행정업무 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 PDF

취사병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Awareness and Factors Influencing on Duty of Cooking Soldier)

  • 여운승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3권3호
    • /
    • pp.217-227
    • /
    • 2007
  • This study aims to help improving the quality of military food service as identifying awareness, attitudes and satisfaction of cooking soldier on their duties and providing basic data to find out alternatives on the basis of identified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s. For general demographics of subjects, sergeants consisted of the highest percentage of population as 38.8% in terms of the rank. For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centage of graduates or college students was 82.5%. For the characteristics of job performance of cooking soldier, those who studied entirely different courses from cookery and became to work as cooking soldier were 92(89.3%) of total subjects. For the question why they became to work as cooking soldier, the response that they didn't know the reason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as 63.1%. Those who selected cooking soldier because they were interested in cookery were only 25.2%. And 94.2% of the population had no certificates related to cookery. With respect to awareness on training period to carry on duties as cooking soldier, 3 months were selected as the most appropriate period as 36.9%. In accordance with research on job percentage of cooking soldier, 'cleaning and washing' consisted of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ordinary duties as 16.8%, followed by 'cooking' as 12.3% and 'food dispensing' as 11.8%.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es. Cooking soldier requires expertise, but the privates with short period of service are discharged from military service when they are accustomed to their duties and become experts. Accordingly, the cooking soldier system could not achieve more than its ordinary performanc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ost non-commissioned officers who can serve for a long time as the special resources.

  • PDF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Promoting Lifestyle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Nurses)

  • 박소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63
    • /
    • 1997
  • Changes in disease patterns increase the importanc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in a healthy society. Thus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knowledge of health and health habits in this period become a habitual part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formance in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of elementary school nurses. Such data helps to provide data to judge whether they are capable health educators or not. The subjects were 365 elementary school nurses selected by purposive sample.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rom August to October of 1996.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ed by Park In Sook (1995) and Licker's flour-point scale. A Cronbach's ${\alpha}$,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ff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the SAS packag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37.7% of the sample were aged between 30 and 39 and 33.7% were between 40 and 49. 44.9% of the sample had attended college. 87.7% of the sample were married. 42.5% of the sample were people with a career of 11~20 years, and 26.0% of it had 21 years or more of working experience as an elementary school nurses. 2. The average scores of the family function and the social support were 2.97 and 2.98 respectively. 3. 86.5% of the sample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 4. 85.8% of the sample answered that they were healthy and 14.2% answered that they were unhealthy. The average scores of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were 3.35 and 3.15 respectively. 5. The average score of performance in health-promoting lifestyle variables was 3.16; the average scores for harmonious relationships, regular diet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sanitary life, self-control, emotional support, diet, rest and sleep, exercise and activity. self-achievement, and diet control were 3.47, 3.30, 2.52. 3.60, 2.92, 3.18, 3.14, 3.11, 2.96, 3.26 and 3.12.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rrelation was a sanitary life, whereas the one with the lowest degree was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6.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elf-esteem according to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ccording to age and career. 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erformance depending on age, career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longer the career, the high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erformance. 8.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s performance(r=0.417, p<0.001) Also,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s performance (r=0.386, p<0.001). 9. Heath-promoting lifestyle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amily function,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10.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the variance of family function. Social support, age, self-esteem,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erceived hea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accounted for 55.9% of the variance in heath-promoting lifestyle performance.

  • PDF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 직무만족, 조직기여도의 관계 (Relationship of between Tas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ntribution of Dental Hygienists)

  • 권준영;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2-309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 직무만족, 조직기여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치과 병 의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8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와 온라인을 통해 회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이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책임치과위생사,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경영지원업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28~33세, 경력이 6~10년차, 전문학사(3년제)졸업자, 중간관리치과위생사가 임상 및 진료협조업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책임치과위생사,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업무만족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만족에서 기혼 치과위생사와 월 소득이 250만원 이상, 주 근무시간이 주 40시간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연령이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근무 직위가 중간관리치과위생사 이상,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조직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치과위생사 조직기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월 소득, 경영지원업무, 업무만족이 유의한 관련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월 소득, 경영지원업무, 업무만족이다. 이는 병원 경영에 참여할수록 조직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업무만족이 높을수록 병원에서의 업무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 향상을 위해 병원 전체 목표 달성과 병원에서 업무가 순조롭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조직기여도와 관련 있는 요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 향상을 위한 연구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인터넷교육훈련정도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교육효과를 매개변수로 (An Empirical Study 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ternet Educational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Training Effect as Mediator)

  • 이영란;양동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157-16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잠재성장 요인으로 기업 내 교육훈련을 통해 직원들의 인적자원개발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실증적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기업들의 체계적 교육훈련 등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과 지원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교육훈련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만을 검증한 반면, 본 연구는 인터넷교육의 훈련요소별 학습정도에 따라 기업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육훈련정도와 조직성과에서 직무역량과 조직몰입이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초를 토대로 효과분석을 함께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교육훈련정도 중 강좌 수, 수료율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이 있다. 둘째, 인터넷교육훈련정도 중 강좌 수는 재무적 직무만족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인터넷교육훈련정도 중 기업교육지원금비중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이 있으며, 기업지원형태는 정(+)의 영향이 있다. 넷째, 통제변수인 결혼유무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이 있으며, 기업규모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이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매개효과로 작용하는 조직몰입은 현실적인 교육계획 및 대안을 통해서 질 높은 교육훈련이 이루어짐으로써 직원들의 조직몰입은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인터넷교육훈련이라는 학습형태의 고도화작업을 통해서 질적 교육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부분도 함께 시사하고 있다.

  • PDF

구직효능감(job-seeking efficacy)으로 인 한 Work-net의 이용의도 및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Job-seeking Efficacy on Use Intention and Outcome of the Work-net)

  • 오성욱;윤성준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3권
    • /
    • pp.113-133
    • /
    • 2004
  • 본 논문은 인터넷의 이용의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구직활동 태도에 대한 지각된 요소의 역할을 객관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모델로 Davis의 TAM의 두가지 측면 즉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인터넷 구적효능감 또는 추어진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터넷 활동을 실행하거나 조직화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은 인터넷을 이용하는데 대한 보다 호의적 태도를 얻는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연구모형 검증은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의 구성개념간 이론적 인과관계와 측정지표를 통한 경험적 인과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AMOS 통계처리 도구활 이용하였으며 인터넷의 구직효능감에 대한 내적 일관성과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많은 과거 연구결과에서도 지각된 유용성이 정보기술의 이용행동에 과 이용자의 수용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에 따라 어떻게 지각이 형성되고 변화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유용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결정계수들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며 인터넷상에서 보다 높은 구직효능감이 지각된 유용성 뿐만아니라 이용의도 및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직장인의 직무수행능력, 노후준비도, 미래불안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퇴직후 삶에 대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ffice Workers' Job Performance Ability, Retirement Readiness, and Future Anxiety on Entrepreneurship Wil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nother Success Expectation on Life after Retirement)

  • 박국근;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167-187
    • /
    • 2020
  • 현재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직장인은 주된 일자리에서 평균 49.5세에 퇴직하며, 국민연금은 현재 62세에서 2034년까지 65세로 늦춰지는 상황에서 직장인의 퇴직 이후 고령화에 대비한 연구가 필요함. 전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퇴직이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퇴직이후 삶에 대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퇴직이후 100세까지 지속가능한 직업, 즉 직장생활 속 지혜와 경험을 살린 창업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개인의 태도변화와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직무수행능력인 목표수행능력, 노후준비도인 경제적 준비, 외적관계준비 및 미래불안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수행능력인 신기술활용능력, 노후준비도인 신체적준비, 내적관계준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관계준비와 창업의지, 미래불안감과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에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경제적준비와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퇴직이후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또 다른 성공기대감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잠재적 창업자인 직장인이 재직하는 동안 초고령화에 따른 정부의 재정적 부담도 줄이고 직원교육을 통한 기업의 성장도 이룰 수 있도록 정부지원의 교육시스템을 회사 내에 도입, 직장인의 인생 3모작을 위한 기업가정신 및 목표수행능력 향상프로그램을 도입, 개인과 기업의 성장 및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는 해결책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