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agricultural practice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4초

농산물우수관리제도 (GAP) 적용을 위한 고추농가의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Hot Pepper Farm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 남민지;허록원;이원경;김경열;정도영;김정숙;심원보;정덕화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163-1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고추재배 농가에 대한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수행하였다. 경북 청송에 위치한 고추재배 농가 3곳을 선정한 후 재배환경 도구, 작물, 작업자 및 공중낙하균에 대하여 시료를 수집하였고, 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및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곰팡이는 3 곳의 농가에서 각각 0.7~6.2, 0.2~4.7, 0.4~4.3 log CFU 수준으로 확인되었고 총 90점의 시료 중 4점의 시료(작물 잎 1점, 농업용수 1점 및 토양 2점)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B 농가의 작업복에서만 $1.0log\;CFU/100cm^2$로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는 B와 C 농가의 재배환경 도구와 작업자에서 1.0~2.5 log CFU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다른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한계이하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추에 대한 잠재적인 미생물학적 위해가 확인되었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 예를 들면 GAP와 같은 관리시스템이 미생물학적 위해로부터 고추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계층화 분석기법(AHP)을 이용한 기후스마트농업(CSA) 기술의 우선순위 분석 (Priority Analysis of Climate Smart Agriculture (CSA) Technolog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 이현지;이경재;오승은;최윤영;김홍석
    • 농촌계획
    • /
    • 제28권4호
    • /
    • pp.127-138
    • /
    • 2022
  •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n the agricultural sector, Climate Smart Agriculture (CSA) is an approach to establish a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 through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echnology, policy, and investmen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ntinually expanding CSA implementation, and it becam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domestic agriculture system and practices that are relevant to CSA. This study explored the available CSA in domestic agricultural systems and presented the order of relative importance of CSA technology. AHP analysis is employed for the evaluation with the following criteria: productivity, marketability, adaptability, and mitigation. The relative importance is evaluated with six agricultural technologies (soil, crop management, water, energy efficiency, alternative energy, and precision agriculture) in 28 agricultural technology sectors.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showed that 'alternative energy' was found to be a top priority among the agricultural technology sectors, and 'shallow depth drain in rice paddy' was a top priority for agricultural technology. Also, the 'marketability' in soil and water sectors, 'mitigation' in crop management, and 'adaptability' in energy efficiency and alternative energy were given higher prio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ood source for strategic CSA preparation and application.

Evaluation of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of Clostridium bifermentans DPH-1 for Cost Effective PCE Degradation

  • Humayra Afroze Syeda;Hasegawa Yuki;Nomura Izumi;Chang Young C.;Sato Takeshi;Takamizawa Kazuhir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40-46
    • /
    • 2005
  • Clostridium bifermentans strain DPH-1 has already been found to dechlorinate perchloroethylene (PCE) to cis-dichloroethylene (cis-DCE) via trichloroethylene (TCE). In this study, our investigation on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of this DPH-1 strain was extended to find a more efficient and cost effective growth medium composition for this DPH-1 strain in bioremediation practices. Temperature dependency of strain DPH-1 showed that the growth starting time and PCE degradation at $15^{\circ}C$ was very slow compared to that of $30^{\circ}C$, but complete PCE degradation occurred in both cases. For the proper utilization of strain DPH-1 in more cost effective bioremediation practices, a simpler composition of an effective media was studied. One component of the culture medium, yeast extract, had been substituted by molasses, which served as a good source of electron donor. The DPH-1 strain in the medium containing molasses, in the presence of $K_{2}HPO_4\;and\;KH_{2}PO_4$, showed identical bacterial multiplication (0.135 mg protein $mL^{-1}h^{-1}$) and PCE degradation rates ($0.38\;{\mu}M/h$) to those of the yeast extract containing medium.

인삼 GAP 인증을 위한 농산물 이력관리 시스템 (Agricultural Products Management System for GAP Certification of Ginseng)

  • 유성재;인광교;김기태;민병훈;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35-938
    • /
    • 2006
  • 최근 WTO/FTA 등으로 인해 수입개방이 점차 본격화 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농업상황은 수입 농산물에 맞설만한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며, 국가적인 관리 제도가 미흡하여 농산물 수입개방 후 국내 농가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관계기관에서는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켜 수입개방에 대비하고자 국내 실정에 맞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 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제정하고 있으며, 인삼 등 고부가가치 농산물에 대해 우선적인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GAP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인삼을 재배, 유통 할 수 있도록 이력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농산물의 생산이력 및 유통단계를 기록하여 구매 농산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기상 병해충 농약 비료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여 고품질 농산물 생산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으며, 모니터링 시스템과 지도 및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농지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농산물우수관리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Korea-Good Agricultural Practices System)

  • 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1
    • /
    • 2018
  • 우리나라에서 GAP인증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고, 정부는 2022년까지 전체 재배면적의 25%까지 GAP인증을 취득토록 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017년말 기준으로 전체 재배면적의 6.3%, 전체 농가의 8.1%가 인증을 취득했는데 인증확대의 정도는 기대보다 느린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AP인증 농가에 대한 설문조사와 현장점검을 통해 GAP인증의 확대가 더딘 원인을 규명하고 GAP인증의 확대를 위하여 현 제도의 문제점 분석에 따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증농가는 농산물 안전과 위생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나 실제 현장실천방법에 대해서는 부적합 사항이 다수 존재하였다. 이는 인증기준의 모호성과 생산자에 대한 교육방법의 오류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GAP인증이 농가에 확대되는 속도가 느리고 소비자의 인지도가 낮은 이유는 GAP인증제도 운영의 구조적 문제로 생각되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국가주도형의 GAP인증제도를 국가주도형 민간인증제도로 전환을 할 필요가 있다. 국가는 정책, 연구 및 사후관리에 중점을 두고, 그 외 인증 및 교육, 홍보 등에 관한 실무는 출연기관 형태의 별도조직을 신설하여 담당케 할 필요가 있다. 국가는 GAP인증 확대를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영농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인증기관은 지정기준을 강화하여 통폐합할 필요가 있으며, 인증기관의 재정 자립도와 올바른 인증업무 수행을 위하여 신청수수료를 현실화해야 한다. 또한 인증심사원의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교육체계를 정비하여 양질의 심사원을 육성해야 한다. 법령 중심의 단순화된 인증기준은 실제 실천방안 중심으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GAP인증제도의 발전적 개선을 위하여 산학관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통해 밀도있는 토의가 필요하며 구체적인 발전방안을 도출하여 시행함으로써 안전안심농산물 생산을 통한 국민의 먹거리 안전성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GAP 양송이버섯 재배를 위한 위해물질 분석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analysis of hazardous materials in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 이병의;김태현;이찬중;김용균;이병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78-182
    • /
    • 2017
  • GAP는 식품안전에 대한 세계적인 품질인증으로서 2007년 국내에서 도입된 이래 식품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사회적인 이슈로서 해마다 국가 및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살충제가 검출된 달걀이 일부 시중에 시판됨으로서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이 식탁에 오르는 모든 식품과 식자재에 대한 관심과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어 본 연구에서 국산 양송이버섯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고 재배과정에부터 잔류농약과 중금속 등 위해물질을 관리함으로서 재배자의 건강부터 소비자의 안전까지 확보할 있는 GAP 기준의 양송이버섯 재배는 현시점에 매우 중요하다. 연구결과 양송이버섯의 잔류농약 검사항목인 Diflubenzuron과 Prochloraz의 불검출과 245종 잔류농약 분석결과 6종의 양송이버섯 모두 불검출로 확인되어 잔류 농약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관된 연구결과 재배과정에서 농약의 사용 시 일부 잔류농약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재배과정에서는 농약사용을 근본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재배사 및 주변 환경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금속 분석결과도 배지에서는 양송이버섯의 중금속 분석기준인 납과 카드뮴이 모두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어 버섯으로의 이행에 대한 결과가 매우 중요하였으나 6종의 양송이버섯 시료군 모두 납과 카드뮴이 불검출 되었으며 비소와 수은도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어 양송이버섯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잔류농약과 중금속에 대한 국내산 양송이버섯의 안전성은 충분히 검증되어 GAP 인증 수준에서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으며 재배과정에서의 각종 오염원, 물관리 등 모든 주변관리는 잔류농약 및 중금속에 대한 위해성을 충분히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GAP 인증에서 위해요소인 미생물관리에도 연관되어 있으므로 재배자와 재배사 및 재배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상시관리는 GAP 양송이버섯 재배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판단한다.

한강 및 낙동강 유역의 양수장 지구 물관리효율 평가 (Assessment of Water Management Efficiencies for Irrigation Pumping Stations in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Basins)

  • 김현준;김철겸;김승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3-32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sessing water management efficiency using water withdrawals from rivers and water requirements for paddies. The water management efficiency was defined by the ratio of water requirements and water withdrawals. Water withdrawals were estimated using the operating times and pumping capacity of the pumping stations from 1992 to 1999 in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basins. Water requirements were estimated by adding the evapotranspiration of the crops and infiltrations in the irrigated area. Evapotranspiration from the paddies was calculated by the FAO modified Penman method with observed daily weather data. The monthly water management efficiency was analyzed for each pumping stations and the district offices of KARICO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The efficiencies of 59 pumping stations in the Han River basin varied from 19% to 135%, and the average was 61%. The efficiencies of 146 pumping stations in the Nakdong River basin ranged from 17% to 190%, and the average was 72%. There were no good correlations between the water management efficiency and pump capacity or irrigated area, it showed that the water management efficiency was affected by the traditional water management practices rather than the scale of irrigation district.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system) 적용을 위한 깻잎의 수확 후 관리시설(APC)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of a Perilla Leaf Postharvest Facility for Application of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 김경열;남민지;이효원;심원보;윤요한;김세리;김두호;류재기;홍무기;유오종;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2-398
    • /
    • 2009
  • 깻잎을 생산하는 APC 시설을 대상으로 GAP system을 도입하기 위해서 각 공정별 용수 및 세척수, 작업자 및 작업장 환경, 각 공정별 깻잎 그리고 공중낙하균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E. coli, E. coli O157 그리고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과 대장균군)과 병원성 미생물(B. cereus와 S. aureus)이 세척수, 작업자 장갑 및 작업복 그리고 포장대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특히 직접적인 교차오염의 위험이 있는 세척수와 작업자 장갑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각각 0.91-3.36과 3.31-4.29 log CFU/ (mL, 100 $cm^2$), 대장균군은 0.00-1.86과 1.16-2.06 log CFU/(mL, 100 $cm^2$)의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입고된 원재료에서 포장공정에 이르기까지 깻잎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4.82-5.93과 2.82-3.49 log CFU/leaf 수준으로 분리되어 유의적인 세척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p${\geq}$0.05) 식중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더욱 향상된 세척공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와 같이 현재 APC 시설은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보다는 선별 및 저장의 기능에만 초점을 맞춰 운영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개념이 포함된 새로운 개념의 관리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신선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깻잎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 사전예방적 안전체제인 HACCP system을 기초로 한 GAP system을 제 시함으로써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관리가 도입된 새로운 개념의 농식품의 안전관리제도를 제시하였다.

농산물 안전인증을 위한 AIGT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IGT System for Safety Certific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 유성재;김기태;민병훈;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55-958
    • /
    • 2005
  • 최근 중국으로부터 품질이 낮은 농산물들이 싼 가격으로 수입되고 있어 국내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산 농산물의 발암물질 검출 소식 때문에 전체적인 농산물의 소비마저 위축되어 국내 농업이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산 농산물의 안전인증 체계를 구축하여 중국산과 구별될만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해야 하며, 품질이 낮은 농산물의 수입규제를 위하여 확실한 검사 기준이 마련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농산물의 안전성 검사와 생산이력 관리 및 추적을 위한 국제적인 표준인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 우수농산물관리제도)를 도입하여 이력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또한, 소비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생산자의 농장관리를 도울 수 있도록 모니터링시스템과 지도 및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AIGT(Agricultural Information Gathering and Tracking)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농업인의 경영기록 실태 및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urrent Farm Management Record Practices and Characteristics)

  • 이상학;최세현;손찬수;하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937-2948
    • /
    • 2012
  • 농업경영기록은 체계적인 경영 분석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농가에서 농업경영기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결과 경영 실태의 파악이 어려우며, 이를 기초로 경영진단과 장래의 경영 계획 또한 어렵게 된다. 경영 기록의 중요성이 이와 같이 명백한 반면 학계에서의 관련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경영기록과 관련된 현재 농업인의 실태를 파악하고, 기록 관련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인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별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농업경영 기록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짓(Logit) 분석, 순위프로빗(Ordered Probit) 분석 등 통계적 분석을 이용하여 기록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인의 특성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다수의 농업인들이 경영기록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회계 지식이 다소부족하고 적절한 기록 매체가 부족하여 농업경영기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관련 교육 또한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농업인들이 사용하기 쉬운 농업경영기록장을 개발하고 농업경영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농업경영기록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