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f course gree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골프장 그린 토양에서 Metalaxyl의 흡ㆍ탈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Metalaxyl in the Green Soil of Golf Course)

  • 유병로;정경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7-234
    • /
    • 2002
  •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behavior of metalaxyl in environment which was used as pesticide in green soil of golf course and as func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 desorption and degradation in soil texture and organic matter contents. Acid water containing metalaxy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n adsorption, desorption and degradation. The adsorption of metalaxyl played more significant role in organic contents than clay contents, and pH Increases more pH 2.5 than pH 5.6. The desorption of metalaxyl from contaminants soil decreased higher organic contents LS-soil than S-soil, but the desorption amount of metalaxyl increased more pH 5.6 than pH 2.5. The rate of degradation of metalaxyl in green soil environmental increased higher organic contents LS-soil than S-soil and decreased more pH 2.5 than pH 5.6.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ehavior of metalaxyl of the green soil was affected the soil texture of the golf course. Increasing of organic contents, the adsorption amount of metalaxyl on soil increased. Moreover the decrease of the pH of solution increased adsorption amounts and decreased desorption amounts. As the results, the transportation of metalaxyl in soil decreased the acidic rates. The acidification of soil by the acid rain increased the adsorption amount of metalaxyl, but the degradation of metalaxyl de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stain contamination in run-off the stream and ground water by residuals in soil.

한국의 골프 코스 그린의 설계 및 시공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Design and Construction of Golf Courses in Korea)

  • 이상재;허근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1-19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green system, area, green slope, green turfgrass variety, green section, and particle size of green construction materials, and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Construction in Korean golf course gree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golf course into that of the international golf course held international tourna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reens of 129 Korean golf courses consisted of 2(two) green system and 1(one) green system. 2(two) green system was 50.8%, 1(one) green system was 40.7%, and 1+2 green system was 8.5% of them. 2. In 48 Korean golf courses, the green area of 2(two) green system was mostly 400~$600\m^2$(56.5%) and the green area of 1(one) green system was mostly 600~$800\m^2$(47.8%). In 48 Korean golf courses, 1.5~3% green slope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50.0%) and the next was 3~5%(29.4%). 3. Penncross variety was the highest frequency(71.2%). The next was mixed variety (Penncross+Crenshaw, Penn A-1, Pennlinks, or Penneagle/SR 1020+SR 1019) and the frequency of mixed variety was 7.6%. 4. In 48 Korean golf courses, 70~80cm total thickness of green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36.1%), 10~20cm thickness of green mixed sandy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43.6%), and 10~20cm thickness of green coarse sandy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55.6%). 0~10cm thickness of green gravel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67.6%), 20~30cm thickness of green drain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52.8%), and 20~30cm width of green drain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44.4%). Below 1mm sand diameter used in green mixed sandy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46.2%), below 2mm or over 2mm sand diameter used in green coarse sandy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31.4%). 20~40mm coarse gravel diameter used in green gravel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43.2%) and 0~20mm fine gravel diameter used in green gravel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65.8%). 20~40mm gravel diameter used in green drain layer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64.1%).

  • PDF

골프장 putting green 근권(根圈)에서의 이산화탄소 $(CO_2)$ 함유량 ([ $CO_2$ ] Content in Golf Green Rhizosphere)

  • ;;;옥창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7-104
    • /
    • 2004
  • Putting green의 높은 이산화탄소 함량은 많은 골프장 관리자들에게 있어서 green 관리시 항상 난제로 여겨져 왔다. 무기성 토양은 green 근권(根圈:토양 중에서 뿌리의 영향이 미치는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자유산소를 제한하며 그로 인하여 뿌리발달을 방해하며 잔디성장을 위한 영양분이 용도를 제지시킨다. 이 실험은 현 운영되는 골프장 (South illinois, Carbondale, U,S,A) 에서 선택 되어진 아홉 개의 green 에서 근권의 $CO_2$ 함유량과 잔디품질 (Turf qualify Index) 사이의 관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행되어졌다. 아홉개의 putting green에서 각 green 의 다섯 곳의 소구획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1998년 8월 부터 1999년 8월 까지 일곱번의 반복으로 잔디품질, $CO_2$ 함유량, 수분함량과 수분 침투율 (Infiltration rate) 을 측정하였다. $CO_2$ 함유량은 이른 봄 보다 늦은 여름에 높았으며 $CO_2$ 함유량이 높아짐에 따라 잔디품질은 급격히 낮아졌다.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CO_2$ 함유량이 높았으며 반대로 수분 침투율은 낮아짐을 보였다. 높은 수분 침투율은 $CO_2$ 함유량을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알맞은 토양의 물리적 조건(수분 함량과 침투율)이 $CO_2$ 함유량과 잔디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잔디품질의 향상을 위해 putting green root zone의 알맞은 배수와 함께 근권의 공기 조건이 매우 중요함이 이 실험을 통해 조사되었다.

혼용된 2종의 살균제 살포 농도 및 간격에 따른 잔디 동전마름병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n Dollar Spot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under Different Application Rates and Intervals with Two Mixed Fungicides)

  • 장석원;정석우;김세훈;박종현;이지영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408-412
    • /
    • 2013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일반적이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잔디 병 중 하나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 그린에서 propiconazole과 boscalid를 혼합제로 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혼합제의 약량은 기준량과 기준량의 1/2량, 2/3량으로 하였고, 살포간격은 각각 10일과 15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다. 동전마름병은 2개 포장의 무처리구에서 각각 반복별 평균 48.3, 60.0%의 발생을 보였다. 각 처리구는 1개의 처리구(기준량의 1/2 처리구로 15일 간격 살포)를 제외하고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농약회사에서 추천하는 기준량의 농도보다 낮은 농도(기준량의 2/3 및 1/2 농도)로 15일 간격으로 살포하게 될 경우 기준량에 준하는 약효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살포 농약량, 인력,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 등을 낮추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골프 코스에서 한지형 잔디의 활용방안 (A Study on the Utilizing of Cool-season Turfgrass of Golf Courses in Korea)

  • 이상재;심경구;허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7-84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tilizing of cool-season turfgrass in areas, excluding greens, of Korean golf courses. Data collected from 120 golf course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d T-test analysis using SPSSWI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eventy eight golf curses were utilizing cool-season turfgrass in areas except of the greens. At thirty five golf courses (46.0%) of them, the area utilized appeared tee, green collar, green approach etc. (tee>green collar>green approach). At 37 golf courses(48.7%), a mix of Kentucky Bluegrass and Perennial Ryegrass was utilized and the ratio of the mix was 70:30(v/v). At 57 golf courses(76.0%), seed sowing was utilized. 2) In Korean golf courses, the cognition of utilizing cool-season turfgrass depended on the existence of the practice. The cognition of the experienced was more´ affirmative´ than that of the inexperienced. 3) In the experienced, the preference was determined by turfgrass quality and good appearance and recuperative rate of cool-season turfgrass. In the inexperienced, the preference was determined by turfgrass quality god appearance. 4) The experienced recommended the mix of Kentucky bluegrass and Perennial Ryegrass. 5) It seems that the golf courses having used cool-season turfgrass have difficulties in the maintenance in summer while the golf courses without using cool-season turfgrass have difficulties in the maintenance in summer and the selection of turfgrass variety.

  • PDF

경기도 산림지역 골프장의 연접개발 문제점 및 친환경성 개선방안 (A Study on Problems of Combined Development and Environment-Friendly Improvements of Golf Course in Forest Areas in Gyeonggi-Do)

  • 황소영;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3-155
    • /
    • 2011
  • Recently, in forest areas of Gyeonggi-Do where golf courses are developed indiscriminatel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two and three golf courses are being concentrated and combined to develop and it's occurring lots of problem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their problems and propose environment-friendly improvements of combined development, by analyzing laws related to golf course's loc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stat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when analyzing related laws, it was found that unified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regulation of the external conditions of golf course sites and individual index. Secondly, standards of a proper separated distance are needed, when developing golf courses. Thirdly, we need to preferentially preserve areas where should be protected environmentally, and establish criteria approving golf courses built close to the boundary of a buffer area only, by introducing the concepts of a buffer area based on the UNESCO MAB. Lastly, we have to set up criteria considering Network elements for maintaining the connectivity of the ecosystem.

골프 코스관리 비용 분석 (Analysis of Maintenance Expense in various Golf Courses)

  • 유민준;이재필;주영규;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76
    • /
    • 2009
  • 본 연구는 골프장의 적정 코스관리 비용을 구명하고 국내 골프장 29개의 홀당 내장객당 비용과 골프장 8개의 항목별 및 장소별 비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홀 당 내장객이 증가할수록 홀 내장객당 비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2. 골프장 코스관리 비용을 결정하는 인자는 연 내장객, 코스면적, 운영형태, 코스자동화 시설 등이다. 3. 골프장의 단위면적당 코스관리 비용은 869원이었다. 4. 8개 골프장의 홀 당 평균 코스관리 비용은 44,325,000원이었다. 5. 골프장 코스관리 비용 중 인건비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인건비중 그린의 볼마크 보수 인건비가 홀 당 평균 4,163,000원 (26%)으로 가장 높았다. 6. 골프장 총 코스면적의 평균 30% 정도를 차지하는 페어웨이에 사용되는 재료비가 총 재료비용의 $22%{\sim}44%$이며 그중 수입비료, 병충해 방제농약, 배토용 모래등의 구입비가 가장 많았다. 7. 총 코스면적의 평균 2% 정도를 차지하는 그린에 사용되는 재료비가 총 재료비용의 $28%{\sim}36%$이며, 입자형 비료, 미량원소비료, 토양개량제 등의 수입 제품으로 인해 그 구입비가 가장 많았다. 8. 농약 대용으로 미생물, 키토산 등의 친환경제제가 대신 사용된 경우 비용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잔디 동전마름병의 발생정도가 다른 골프장 그린 조건에서 살균제 혼용살포에 의한 상승적 방제 효과 (Synergistic Interaction of Fungicides in Mixtur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Dollar Spot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 장석원;정석우;김세훈;박종현;이지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6-101
    • /
    • 2012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잔디병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 그린에서 propiconazole, thiophanate-methyl, chlorothalonil, trifloxystrobin, boscalid를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propiconazole과 다른 4개의 약제를 각각 혼용하여 단용처리구 대비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동전마름병은 2개 포장의 무처리구에서 각각 평균 18.3, 66.7%의 발생을 보였다. 약제의 약효는 병 발생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살균제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방제 효과는 발병도가 높았을 때보다 낮았을 때 우수하였다. 처리된 살균제 중 boscalid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살균제 혼용처리구에서는 propiconazole + thiophanate-methyl 처리구를 제외하고 단독처리구 대비상승효과가 발견되었으나, 2개 포장 모두 혼용처리구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장에서 동전마름병 방제 시 병 발생 조건에 따라 방제전략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에서 국제 골프 토너먼트 규격에 맞는 빠른 그린 관리 방법 - 레이크사이드 컨트리 클럽을 사례로 - (Management to Prepare Fast Green Suitable for International Golf Tournament in Korea - A Case Study of the Lakeside Country Club -)

  • 장유비;김진관;박장혁;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6-7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andard putting green management program to prepare fast green suitable for international golf tournaments, and to conform whether the reported green speed model can be applied to the real field situations. The west course of Lakeside Country Club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This study was initiated on August 1st, 2001 and continued through October 4th, 2001.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llowing the long-term schedule, 'penncross' creeping bentgrass turf was mowed at 5.0mm(37days), 4.5mm(8days), 4.0mm(4days), 3.5mm(2days), 3.2mm(2days), 3.0mm(2days), 2.8mm(2days) and the mowing direction was changed daily. Variation of mowing height was reduced to a minimum range. Core aerification with deep tines was applied 19 days prior to the first practice round. Dry sand maintenance was top-dressed 2 times at 1.5mm/$m^2$ on the 17th day and 1.0mm/$m^2$ on the 10th day. Minimum irrigation was applied to keep the turf alive. During the tournament preparation week, dew on the putting greens was removed by using a sponge roller. Following the dew removal, the greens were cut once each morning at a height of 2.8mm. The mower used was the 21 inch working behind mower equipped with a tournament bedknife and 11 reel blades. Following the mowing, the peens were rolled with a light-weight roller in one direction in the morning. Rolling was used as a finishing technique to ensure that the surface was as smooth as possible, and to provide true ball roll and maximum green speed. In conclusion these management practices satisfied the daily green stimpmeter readings required for USGA championship play. 2. During the period of tournament preparation, no damage was observed on the green, but scalping in green edge appeared in about 0.39% of the total area of 18 greens in the west course.

잔디 엽병을 유발하는 잠재인자로서의 남조류(Blue-Green algae)에 대한 관찰보고 (Blue-green algae as a Potential agent Causing Turf Leaf Disease)

  • 박대섭;이형석;홍범석;최병만;전재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0
    • /
    • 2008
  •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는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2008년 7월 경기지역 골프장내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식재된 티잉그라운드에서 흑갈색 얼룩 반점병을 일으킨 잎조직이 발견되면서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요인과 대책을 조사하였다.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반점 염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남조류(blue-green algae)가 관찰되었고, 흑갈색 반점이 형성 부위의 엽몸, 엽귀, 그리고 엽집에서 남조류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이병조직 이외의 개체내 건전부위와 줄기에서도 남조류 파편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남조류는 Oscillatoria 계통이 많았다. 2. 잔디밭에서 남조류는 토양 내 뿌리나 지제부에서 관찰되는데, 이번 관찰시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얼룩반점 병반부위인 상단 엽조직에서 남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병조직 주위의 건전한 부위에서도 작은 파편형태의 남조류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현재까지 식물조직 내 남조류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지만 조직 내에서 남조류의 이동 가능성도 있다. 3. 흑갈색 얼룩반점이 형성된 켄터키 블루그래스 뿐만 아니라 황화현상이 발생한 벤트그래스 퍼팅그린의 잔디 잎에서도 남조류가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초종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한 세부연구가 수행되어져 야 할 것이다. 4. 약제처리로 조류 억제와 흑갈색 얼룩 반점 경감효과를 가져왔는데 프로피코나졸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프로디온과 아족시스트로 빈 순으로 조류 억제가 관찰되었다. 6.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조류 방제가 어렵고 적절한 조류억제제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조류에 대한 일반적 관리에 머무르기보다는 더 적극적인 방제 방안 및 사전 예방 관리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6. 끝으로 향후 조류의 잔디 조직 내 이동 및 감염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