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ats

검색결과 884건 처리시간 0.032초

Microbiome-metabolomics analysis of the effects of decreasing dietary crude protein content on goat rumen mictobiota and metabolites

  • Zhu, Wen;Liu, Tianwei;Deng, Jian;Wei, Cong Cong;Zhang, Zi Jun;Wang, Di Ming;Chen, Xing Yo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0호
    • /
    • pp.1535-1544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creasing dietary crude protein content on rumen fermentation, mictobiota, and metabolites in goats. Methods: In an 84-day feeding trial, a total of twelve male Anhui white goat kids with initial body weight 15.9±1.13 kg were selected and random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feeding a normal crude protein diet (14.8% CP, NCP) or a low crude protein diet (12.0% CP, LCP).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trial (on day 84), six anima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group and were slaughtered to collect rumen fluid samples for the analysis of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microbiome, and metabolome.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nitrogen, total volatile fatty acid, acetate, and propionate were decreased (p<0.05) in the LCP group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NCP group. The abundances of genera Prevotella, Campylobacter, Synergistetes, and TG5, which were associated with nitrogen metabolism, were lower (p<0.05) in the LCP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NCP group. The levels of 78 metabolites (74 decreased, 4 increased) in the rumen fluid were altered (p<0.05) by the treatment. Most of the ruminal metabolites that showed decreased levels in the LCP group were substrates for microbial protein synthesis. Metabolic pathway analysis showed that vitamin B6 metabolis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rumen fluid between the two treatments. Conclusion: Decreased dietary protein level inhibited rumen fermentation through microbiome and metabolome shifts in goat kids. These result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ruminal bacteria and metabolites of goat fed a low protein diet.

State of the art on the physical mapping of the Y-chromosome in the Bovidae and comparison with other species - A review

  • Rossetti, Cristina;Genualdo, Viviana;Incarnato, Domenico;Mottola, Filomena;Perucatti, Angela;Pauciullo, Alfredo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9호
    • /
    • pp.1289-1302
    • /
    • 2022
  • The next generation sequencing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clarify the genome structure of many species of zootechnical interest. However, to date, some portions of the genome, especially those linked to a heterogametic nature such as the Y chromosome, are difficult to assemble and many gaps are still present. It is well known that th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is an excellent tool for identifying genes unequivocably mapped on chromosomes. Therefore, FISH can contribute to the localization of unplaced genome sequences, as well as to correct assembly errors generated by comparative bioinformatic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have starting poin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physically mapped genes on the Y chromosome of cattle, buffalo, sheep, goats, pigs, horses and alpacas. A total of 208 loci were currently mapped by FISH. 89 were located in the male-specific region of the Y chromosome (MSY) and 119 were identified in the pseudoautosomal region (PAR). The loci reported in MSY and PAR were respectively: 18 and 25 in Bos taurus, 5 and 7 in Bubalus bubalis, 5 and 24 in Ovis aries, 5 and 19 in Capra hircus, 10 and 16 in Sus scrofa, 46 and 18 in Equus caballus. While in Vicugna pacos only 10 loci are reported in the PAR region. The correct knowledge and assembly of all genome sequences, including those of genes mapped on the Y chromosome, will help to elucidate their biological processes, as well as to discover and exploit potentially epistasis effects useful for selection breeding programs.

Decadal analysis of livestock tuberculosis in Korea (2013~2022): Epidemiological patterns and trends

  • Yeonsu Oh;Dongseob Tark;Gwang-Seon Ryoo;Dae-Sung Yoo;Woo, H. Kim;Won-Il Kim;Choi-Kyu Park;Won-Keun Kim;Ho-Seong Cho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93-302
    • /
    • 2023
  •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pidemiological trends and challenges in managing tuberculosis (TB) in livestock in Korea from 2013 to 2022. Tuberculosis, caused by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is a significant zoonotic disease affecting cattle, deer, and other domesticated animals. Despite the initiation of a test-and-slaughter eradication policy in 1964, TB has continued to persist in Korean livestock, particularly in cattle and deer.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Animal Health Integrated System and provincial animal health laboratories to analyze TB incidence in various livestock including different cattle breeds and deer species. The results from 2013 to 2022 showed a peak in TB cases in 2019 with a subsequent decline by 2022. The study highlighted a significant incidence of TB in Korean native cattle and the need for amore inclusive approach towards TB testing and control in different cattle breeds. Additionally, the study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TB in other animals such as goats, wildlife, and companion animals for a holistic approach to TB eradication in Korea.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the test-and-slaughter strategy has been historically effective, there is a need for adaptation to the current challenges, and learning from successful eradiation stories on other countries like Australia. A collaborative effort involving an expanded surveillance system, active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and robust government support essential for the efficient eradication of TB in livestock in Korea.

Peste des petits ruminants virus infection induce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apoptosis via IRE1-XBP1 and IRE1-JNK signaling pathways

  • Shuyi Yuan;Yanfen Liu;Yun Mu;Yongshen Kuang;Shaohong Chen;Yun-Tao Zhao;You Li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1.1-21.15
    • /
    • 2024
  • Background: Peste des petits ruminants (PPR) is a contagious and fatal disease of sheep and goats. PPR virus (PPRV) infection induces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mediated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The activation of UPR signaling pathways and their impact on apoptosis and virus replication remains controversial.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PRV-induced ER stress and the IRE1-XBP1 and IRE1-JNK pathways and their impact on apoptosis and virus replication. Methods: The cell viability and virus replication were assessed by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assay, immunofluorescence assay, and Western blot. The expression of ER stress biomarker GRP78, IRE1, and its downstream molecules, PPRV-N protein, and apoptosis-related proteins was detected by Western blot and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ectively. 4-Phenylbutyric acid (4-PBA) and STF-083010 were respectively used to inhibit ER stress and IRE1 signaling pathway. Results: The expression of GRP78, IRE1α, p-IRE1α, XBP1s, JNK, p-JNK, caspase-3, caspase-9, Bax and PPRV-N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PPRV-infected cells, the expression of Bcl-2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Due to 4-PBA treatment, the expression of GRP78, p-IRE1α, XBP1s, p-JNK, caspase-3, caspase-9, Bax, and PPRV-N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Bcl-2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Moreover, in PPRV-infected cells, the expression of p-IRE1α, p-JNK, Bax, and PPRV-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Bcl-2 was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STF-083010. Conclusions: PPRV infection induces ER stress and IRE1 activation, resulting in apoptosis and enhancement of virus replication through IRE1-XBP1s and IRE1-JNK pathways.

Antioxidant activity and metabolic regulation of sodium salicylate on goat sperm at low temperature

  • Wenzheng Shen;Yu Fu;Haiyu Bai;Zhiyu Zhang;Zhikun Cao;Zibo Liu;Chao Yang;Shixin Sun;Lei Wang;Chunhuan Ren;Yinghui Ling;Zijun Zhang;Hongguo Cao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4호
    • /
    • pp.640-654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sodium salicylate (SS) on semen preservation and metabolic regulation in goats. Methods: Under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SS was added to goat semen diluent to detect goat sperm motility, plasma membrane, acrosome, antioxidant capacity,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metabonomic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at the 8th day of low-temperature storage, the sperm motility of the 20 μM SS group was 66.64%, and the integrity rates of the plasma membrane and acrosome were both above 60%,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in the sperm of the 20 μM S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alondialdehyd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MM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contents of Ca2+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rough metabonomics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metabolic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20 μM SS group. Twenty of the most significant metabolic markers were screened, mainly involving five metabolic pathways, of which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metabolic pathways were the most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S can effectively improve the low-temperature preservation quality of goat sperm.

맥주박을 첨가한 섬유질 배합사료가 번식흑염소의 영양소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Ration with Wet Brewer's Grain on Nutrient Utilization in Breeding Korean Native Goats)

  • 최순호;황보순;김상우;상병돈;김영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7-154
    • /
    • 2006
  • 본 연구는 섬유질 배합사료에 맥주박 수준을 달리 첨가하여 번식 흑염소의 사료 및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번식 흑염소의 사료로서 맥주박의 사료가치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번식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관행사료구, 맥주박 20, 30 및 40% 첨가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대사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주박 첨가 수준별 섬유질 배합사료의 일반 조성분은 건물 함량이 $61.46{\sim}65.81%$, 조단백질 함량은 $14.42{\sim}15.59%$의 수준이었으며, ADF 와 NDF 함량은 $28.32{\sim}28.52$$53.46{\sim}54.16%$로 나타나 맥주박 첨가 비율에 따른 섬유소 함량 의 차이는 없었으나, NFC 함량은 맥주박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NFC 함량이 낮아졌다. 건물 섭취량은 맥주박을 20%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조단백질과 가소화 조단백질 섭취량은 맥주박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NFC 섭취량과 가소화 NFC 섭취량은 대조구가 맥주박첨가구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맥주박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건물, ADF, NDF 및 NFC 소화율은 대조구가 맥주박 첨가구 보다 높았으며 (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맥주박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질소 축적율은 맥주박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흑염소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of Forage Use on the Goat Farming in Mountainous Pasture)

  • 문상호;김상우;최기준;장세영;박재현;전병태;김명화;김성진;오미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2-118
    • /
    • 2015
  • 본 연구는 흑염소 사육을 활성화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산지초지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흑염소 방목 이용 농가(20호)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초지로 이루어진 방목지의 경우 계절별 초지 생산성이 여름에 가장 높았으며(p<0.05), 봄철과 가을철에는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반면 목초지로 이루어진 방목지의 초지 생산성은 봄철에 가장 높은 생산성을 나타냈으며 가을철에 생산성이 다소 저하(p<0.05)되긴 하였지만, 대체적으로 계절별 생산성의 차이가 야초지 방목지에 비해 완만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계절별 방목지 초지의 사료가치 비교 결과 목초지의 경우 계절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건물함량을 나타냈고, 야초지는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목초지의 경우만 가을철에 증가하였고(p<0.05), 야초지의 경우에는 봄에 비해 여름과 가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목초지의 경우 야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지방 함량은 높고 조섬유소 함량은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계절에 따른 농장별 흑염소의 일당증체량은 농장별 초지 생산성 및 초지관리 기술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흑염소 사육의 활성화와 경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방목 야초지를 우수한 사료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계절별 생산성의 변화도 적은 방목 목초지로 갱신 및 조성을 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산지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 초지관리 기술의 메뉴얼화와 보급으로 초지 생산성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육 개월령이 재래흑염소의 육질과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ising Periods on Physicochemical Meat Properties of Korean Native Black Goat)

  • 김관우;김혜진;이진욱;이은도;김동교;이성수;장애라;이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435-442
    • /
    • 2020
  • 본 연구는 사육 개월령이 재래흑염소 고기의 육질과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4개월령과 48개월령의 재래흑염소 통영계통 암컷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24개월령과 48개월령간 수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48개월령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조지방은 24개월령이 더 높게 나타났다. 사육 개월령별 재래흑염소 고기의 pH는 24개월령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보수력도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육색 중에서 명도(L*)는 사육 개월이 증가할수록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 또한 사육 개월이 길어질수록 낮아졌다. 지방산 함량은 oleic acid(C18:1n9)가 47.7~53.2%로 가장 높았고, 사육 개월령이 증가할수록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C16:0)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stearic acid(C18:0)는 감소하였다. 필수지방산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는 linoleic acid(18:2n6)은 사육 개월령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높았다. 사육 개월령과 상관없이 재래흑염소 고기 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포화지방산의 함량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재래흑염소 암염소의 연령별 고기 육질 및 이화학적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암염소들의 도태 기준을 설정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난소제거된 염소에서 Progesterone 농도의 영향에 의한 LH surge 분비에 미치는 영향 (Emergences of LH Surge Affected by Different Progesterone Levels in Ovariectomized Goats)

  • 김승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LH surge 형태의 분비가 선행적으로 투여되는 각각 다른 Progesterone (P) 농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한 탐구이다. 선행된 연구에서 LH surge는 난포기(follicular phase)에서 보이는 P 농도에서만 발현되었고 황체기(luteal phase)와 아황체기(subluteal phase) P 농도에서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가설은 아황체기 P농도(스트레스, 황체형성부전)와 황체기 P 농도를 선행 처치 후 외인성 estradiol에 의한 LH surge 발현은 동시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난소가 제거된 Shiba 염소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난포기(non-P), 아황체기(low-P), 기능성황체기(high-P)의 P 농도 및 Estradiol (E) 농도를 유도하였다 (Day 0: P와 E 이식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매일 혈액을 채혈하였으며, Day 7에 각 그룹의 P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packet를 제거하고 E 처치용 capsule은 그대로 유지시켰다. 또한 Day 7에 P와 E의 농도변화를 세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12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채혈 후 검사하였다. LH surge 분비패턴은 P packet 제거 후 13시간부터 E를 3 ${\mu}g/h$ 농도로 36시간 동안 주입하고, 52시간 동안(E 주입 4시간 전부터 주입 후 48시간) 2시간 간격으로 채혈을 실시했다. 그 결과, 모든 3그룹의 염소는 LH surge가 발현되었지만 그 발현시간은 각 그룹마다 유의성있는 발현시간 차를 나타내었다. 즉, 각각의 선행된 P 농도 (non-P, low-P, high-p) 그룹은 외인성 Estradiol에 의한 LH surge 발현시간에 농도의존성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LH surge 발현에 대한 서로 다른 Progesterone 농도의 효과 (Effects of Priming Progesterone on the LH Surge Expressions in Ovariectomized Shiba Goats)

  • 김승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인성 Estradiol(E)에 의해 발현되는 LH surge가 다른 농도의 Progesterone (P)에 억제되고, 그 기전이 E의 존재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선행된 연구에서 E의 존재하에 LH surge는 P의 농도에 의해 LH surge 발현 시간은 점진적/유의성 있게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난소가 제거된 Shiba 염소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난포기(Non-P), 아황체기(Low-P), 기능성황체기(High-P)의 P 농도 및 Estradiol (E) 농도를 유도하였다 (Day 0: P와 E 이식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매일 혈액을 채혈하였으며, Day 7에 각 그룹의 P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packet과 E 처치용 capsule를 동시에 제거하였다. 또한 Day 7에 P와 E의 농도변화를 세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12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채혈 후 검사하였다. LH surge 분비패턴은 P packet 제거 후 13시간부터 E를 3-6 ${\mu}g/h$ 농도로 36시간 동안 주입하고, 52시간 동안(E 주입 4시간 전부터 주입 후 48시간) 2시간 간격으로 채혈을 실시했다. 그 결과, 모든 3그룹의 염소는 LH surge가 발현되었지만 그 발현시간은 Low-P와 High-P 그룹에서 유의성 없는 발현시간 차를 나타내었다. 즉, 각각의 선행된 P 농도 (Non-P, Low-P, High-p) 그룹은 외인성 Estradiol에 의한 LH surge 발현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E의 존재가 중요하며, E는 GnRH/LH surge-generating 시스템에 작용하는 P의 억제적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