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ats

검색결과 884건 처리시간 0.029초

Studies on phosphorus deficiency in the Qianbei-Pockmarked goat

  • Shen, Xiaoyun;Chi, Yongkuan;Huo, Bin;Xiong, Kangn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96-903
    • /
    • 2019
  • Objective: Qianbei-Pockmarked goats are affected by a disorder locally referred to as 'Ruanguzheng Disorder', which is characterized by emaciation, lameness, muscular relaxation, stiffness of the extremities, and abnormal curvatures of the long bones. Our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order and phosphorus deficiency. Methods: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ffected and healthy animals, while soil and herbag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ffected and healthy pastures. Biochemical parameters were determined using an automatic biochemical analyzer (OLYMPUS AU 640, Olympus Optical Co., Tokyo, Japan). Mineral contents in soil, forage, and tissue were determined using a Perkin-Elmer AAS5000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Norwalk, CT, US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hosphorus contents in herbages from affected pastures were markedly lower than those from healthy areas (p<0.01), and the ratio of calcium to phosphorus in the affected herbages was 12.93:1. The phosphorus contents of wool, blood, tooth, and bone from affected animals were also markedly lower than those from healthy animals (p<0.01). Serum phosphorus values in affected animals were much lower than those in healthy animals, while serum alkaline phosphatase values from affected animals were markedly higher than those from healthy animals (p<0.01). Inorganic phosphorus values from affected animals were approximately half of that in the control group. Supplementation of disodium hydrogen phosphate prevented and cured the disorder.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Ruanguzheng disorder in Qianbei-Pockmarked goats is primarily caused by phosphorus deficiencies in herbage due to fenced pastures and natural habitat fragmentation.

Effect of ACADL on the differentiation of goat subcutaneous adipocyte

  • A Li;YY Li;QB Wuqie;X Li;H Zhang;Y Wang;YL Wang;JJ Zhu;YQ Li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829-839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one the mRNA sequence of the Acyl-CoA dehydrogenase long chain (ACADL) gene of goats and explore the effect of ACADL on the differentiation of subcutaneous fat cells on this basis. Methods: We obtained the ACADL gene of goats by cloning and use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to detect the ACADL expression patterns of different goat tissues and subcutaneous fat cells at different lipid induction stages. In addition, we transfect intramuscular and subcutaneous adipocytes separately by constructing overexpressed ACADL vectors and synthesizing Si-ACADL; finally, we observed the changes in oil red stained cell levels under the microscope, and qPCR detected changes in mRNA levels. Results: The results showed goat ACADL gene expressed in sebum fat.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CADL gradually increased from 0 to 24 h of culture, and decreased. Overexpression of ACADL promoted differentiation of subcutaneous adipocytes in goat and inhibited their differentiation after interference. Conclusion: So, we infer ACADL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positive regulating the differentiation process in goat subcutaneous adipocyte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y of the role of ACADL in goat subcutaneou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ays the foundation for final elucidating of its molecular mechanisms in regulating subcutaneous fat deposition in goats.

Feeding regimens affecting carcass and quality attributes of sheep and goat meat - A comprehensive review

  • Yafeng Huang;Lumeng Liu;Mengyu Zhao;Xiaoan Zhang;Jiahong Chen;Zijun Zhang;Xiao Cheng;Chunhuan Re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9호
    • /
    • pp.1314-1326
    • /
    • 2023
  • Sheep and goats can efficiently convert low quality forage into high-quality meat which contains specific nutrients and quality traits. Carcass traits and quality attributes of sheep and goat meat depend upon several factors and one of most effective strategies amongst these is feeding regimens. In this review, the major aspects of feeding regimens affecting growth rate, carcass traits and quality attributes of sheep and goat meat are thoroughly discussed, with a particular focus on physical-chemical composition, flavor profile, and fatty acid (FA) profile. Grazing lambs and kids receiving concentrate or under stall-feeding systems had greater average daily gain and carcass yield compared with animals reared on pasture only. However, growth rate was higher in lambs/kids grazing on pastures of improved quality. Moreover, the meat of grazing lambs receiving concentrate had more intense flavor, intramuscular fat (IMF) content, and unhealthy FA composition, but comparable color, tenderness, juiciness, and protein content compared to that of lambs grazed on grass only. In contrast, meat of concentrate-fed lambs had more intense color, greater tenderness and juiciness, IMF and protein contents, and lower flavor linked to meat. Additionally, the meat of kids grazed on concentrate supplementation had higher color coordinates, tenderness, IMF content and unhealthy FA composition, whereas juiciness and flavor protein content were similar. In contrast, kids with concentrate supplementation had superior color coordinates, juiciness, IMF content and unhealthy FA composition, but lower tenderness and flavor intensity compared to pasture-grazed kids. Thus, indoor-finished or supplemented grazing sheep/goats had higher growth rate and carcass quality, higher IMF content and unhealthy FA composition compared to animals grazed on grass only. Finally, supplementation with concentrate increased flavor intensity in lamb meat, and improved color and tenderness in kid meat, whereas indoor-fed sheep/goats had improved color and juiciness as well as reduced flavor compared to pasture-grazed animals.

한국 재래산양의 신정맥 분포에 관하여 (Distribution of Renal Vein within Kidney of Korean Native Goat)

  • 김종섭;박중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1-147
    • /
    • 1977
  • 한국 재래산양 50마리의 신정맥 vinylite를 주입하여 주형표본을 만들어 신정맥의 분포상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장의 구역정맥들이 모여서 신정맥지를 이루고, 신정맥은 $2\\sim 3$개의 신정맥지로서 구성되나, 2개의 신정맥지인 경우가 많았다. 2. 신정맥은 전지(Ramus cranialis)와 후지(Ramus caudalis)로 구성되는 경우, 배지(Ramus dorsalis)와 복지(Ramus ventralis)로 구성되는 경우, 전지 $\\codt$ 중지(Ramus medius)후지로 구성되는 경우 그리고 $배지\\cdot 중지 \\cdot 복지$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배지\\cdot 복지$로 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3. 정맥성 구역은 $좌\\cdot 우신$, $배\\cdot 복면$이 각각 $2\\sim 4$개 였으며 3개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4. 신장의 배면과 복면의 전단, 또는 후단 그리고 $전\\cdot 후양단$에서 공통구역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었다. 5. 신극정맥의 출현은 없었다. 6. 신정맥의 주행과 분포상태는 신동맥과는 현저히 달랐다.

  • PDF

미성숙 및 성숙 재래 산양의 과배란 처리에 의한 난자의 회수율 비교 (Comparison of Oocyte Recovery Rates between Prepubertal and Adult Korean Native Goats)

  • 윤윤진;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7-152
    • /
    • 2011
  •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재래 산양의 난포란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성숙 산양에 과배란 처리를 실시하여 체내 성숙 난자(배란된 난자) 및 난포란을 회수하여 공란산양의 성숙 여부가 난자의 회수율과 단위 발생란의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성숙 산양의 과배란 처리에 의한 체내 성숙 난자의 회수율에 있어서 과배란 처리 후 두당 황체수는 13.1${\pm}$6.5개로서 성숙 산양의 8.8${\pm}$2.4개와 차이가 없었다(p<0.05). 산양의 두당 회수율은 마성숙 산양이 9.l${\pm}$6.8개로서 성숙 산양의 9.8${\pm}$2.5개와 차이가 없었다. 공란산양으로부터 체내 성숙 난자 회수 후 난소의 난포로부터 채란한 난포란의 회수율에 있어서 산양 두당 난포 수는 미성숙 산양이 7.9${\pm}$6.5개로서 성숙 산양의 8.8${\pm}$2.4개와 차이가 없었다. 이들 황체로부터 회수한 난포란 수도 미성숙 산양이 5.6${\pm}$6.1개로서 성숙 산양의 6.3${\pm}$2.3개와 차이가 없었다.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에 있어서 1+II 등급 난포란은 미성숙 산양이 25.0%로서 성숙 산양의 52.4%보다는 낮았다(p<0.05). 4등급의 비율은 미성숙 산양이 39.3%로서 성숙 산양의 19.8%보다는 높았다(p<0.05). 미성숙 산양으로부터 회수한 체내 성숙 난자를 단위 발생을 유도하였을 때 분할율은 54.5%로서 성숙 산양으로부터 회수한 단위 발생 난자의 분할율 86.8%보다는 낮았다(p<0.05).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미성숙 산양이 23.3%로서 성숙 산양의 46.6%보다는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미성숙 재래 산양으로부터 난자의 생산은 난자의 확보 측면에서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으나, 회수란의 질 저하에 대한 문제는 공란 산양의 보다 적합한 연령, 실험 시기, 성선자극 호르몬의 양 및 공시 산양의 관리 등 앞으로 보다 세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 산양에 의한 몇 가지 건초의 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이용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and Energy Utilization of Some Hay by Dairy Goats (Saanen))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48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 4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환경조절축사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건초는 수입 Timothy 건초(수입건초), 혼합목건초 (목건초) 및 혼합 야건초(야건초)의 3처리이며 공시가축은 유 산양 (Saanen종, 평균체중 24.2 kg, male) 12두로 화학적 성분, 건물소화율, 건물섭취량과 질소 및 에너지이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목건초가 야건초나 수입건초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p<0.05), NDF, ADF, cellulose 및 lignin 함량은 반대로 수입건초와 야건초가 높았다 (p<0.05). 건물 섭취량은 목건초 (30.7 g/BWkg)가 야건초 (24.6 g/BWkg)와 수입건초 (24.4g/BWkg)에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p<0.05), 야건초와 수입건초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건물소화율은 목건초가 69.8%로 야건초(62.2%)와 수입건초 (60.8%)에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그러나 야건초와 수입건초간에 건물소화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외관상 생물가는 목건초가 56.0%으로 야건초 (49.2%), 수입건초 (47.7%) 순으로 나타났다 (p<0.05). 외관상 대사에너지 축적률은 목건초가 63.4%로 야건초 (54.4%)나 수입건초 (53.6%)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p<0.05), 역시 야건초와 수입건초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유 산양에 의한 건물섭취량, 건물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의 이용성은 목건초가 가장 높았으며, 야건초는 수입건초에 비하여 건물소화율과 외관상 생물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 내 조농비율에 따른 생균제의 첨가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on Feed Intakes,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in Korean Black Goats Fed Two Diets Differing in Forage to Concentrate Ratios)

  • 황보순;조익환;송기준;이성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5-205
    • /
    • 2007
  • 본 연구는 흑염소의 보다 효율적인 사양관리 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을 각각 70:30과 30:70으로 달리 하여,이들 배합비율에 생균제를 첨가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생균제는 Lactobacillus case,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spergillus oryzae 및 Streptomyces griseus의 균종을 함유하는 혼합된 형태였고, 사료 내 첨가비율은 0.2%이었다. 12두의 흑염소(male)를 네 처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개별 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고, 실험기간은 21일간 지속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1일 두당 건물 섭취량은 조농비율 및 생균제의 첨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가소화 건물 섭취량은 사료 내 조사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사체중당 건물 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 섭취비율은 건물 섭취량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조농비율 및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소 소화율은 조사료 비율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은 소화율을 나타내었고(p<0.05),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뇨를 통한 질소 배설은 조사료 비율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생균제 첨가 효과는 두 사료에서 공히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 축적은 조사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두 사료 내 생균제의 첨가는 질소 축적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 내 조농비율이 다른 두 사료에 생균제의 급여는 사료 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흑염소에 대한 이들 변수는 생균제에 의한 결과라기보다는 조농비율에 의하여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돼지-염소 모델에서 신선 동결된 이종 경동맥 이식편의 시간 경과에 따른 조직병리학적 변화 (Time-related Histopathologic Changes of Fresh Frozen Vascular Xenograft in Pig-to-goat Model)

  • 장지민;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180-192
    • /
    • 2007
  • 배경: 최근 이종 심장 이식에서 이종항원 및 항체로 인한 초급성 또는 급성 거부반응이 중 또는 대구경의 혈관이나 판막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고들이 있다. 이는 이런 부위에서 이종 항원의 발현이 다른 부위보다 낮고 내피세포에 미치는 전단력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보고를 바탕으로 돼지-염소 모델에서 중 또는 대구경의 혈관에 해당하는 경동맥을 이용한 이종 동맥 이식을 시행하고 정해진 기간 경과 후 이식편을 적출하여 이종 이식 혈관의 생체 내 중, 장기 개통성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 양상을 관찰하여 이종 혈관 이식의 생체 내 장기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쌍의 돼지-염소 조합을 실험군으로 하여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및 12개월의 정해진 기간으로 나누어 각 기간마다 2마리의 돼지에서 양측 경동맥을 채취하여 얻은 4개의 경동맥편을 다른 처리를 하지 않고 $-70^{\circ}C$에서 보존한 후 2마리의 염소의 양측 경동맥에 각각 이식하였다. 보존 기간은 2일에서 7일로 대부분 7일 이내에 동물 실험을 시행하였다. 이식 후 주기적인 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개통성을 평가하였고, 정해진 기간이 경과한 후에 염소에서 이식된 혈관 도관을 적출하여 관찰한 후 hematoxylin-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였다. 또한 T 임파구 표식자와 von Willebrand factor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실험군 중 1주와 1년으로 정해진 2마리의 염소가 실험 과정과는 무관한 이유로 사망하였고, 나머지 8마리가 실험 종료시점까지 생존하였다. 생존한 8마리의 염소 가운데 3개월로 지정된 염소에서 일측 경동맥의 폐색이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염소에서는 혈관의 개통성이 잘 유지되었으며, 동맥류를 형성한 이식편은 없었다. 정해진 기간 별로 적출하여 관찰하였을 때 혈관 문합부위는 잘 보존되어 있었고, 석회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이식편의 혈관 내피세포는 이식 1주 후에는 소실되어 있었고, 1개월째에는 수용체인 염소의 내피세포로 재세포화 되는 양상을 보였다. 중막 및 외막에도 염증반응과 함께 수여자의 섬유아세포 및 근섬유아세포가 침윤되는 양상을 보였다. 재내피세포화 과정은 양측 문합 부위에서 시작하여 이식된 혈관의 중간 부위로 진행되는 양상이었으며, vWF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이식 후 1개월에 이식편의 전체에 걸쳐 재내피세포화가 이루어졌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신생 내막의 비후와 외막의 염증반응이 이식 후 3개월까지 심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이식 편에서 T 임파구 표식자인 CD3 양성인 세포들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결론: 신선 동결된 이종 동맥은 조직학적으로 이종 면역 반응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생체 내에서 장기 개통성을 유지하였다.

한국재래산양의 이유 후 초기 사료로 알팔파 건초의 이용 (The Use of Alfalfa Hay for Starter Diet of the Korean Native Goats)

  • 조익환;황보순;전하준;안종호;이주삼;한태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2
    • /
    • 2002
  • 본 시험은 알팔파 건초의 혼합비율을 60%(A), 50%(B), 40%(C) 및 30%(D)의 4가지로 달리하여 조제한 시험사료를 이유 후 한국 재래산양에게 급여하여 사료 섭취량과 소화율 및 증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이유 후 초기 사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본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사료의 화학적 조성분은 조단백질 함량을 모두 18%로 고정시켜 동일하였으며 ADF, NDF 및 조회분의 함량은 A구가 각각 26.1, 37.0 및 9.0%로 가장 높았고 D구가 20.3, 30.4, 6.6%로 가장 낮았으나 비구조적 탄수화물(NSC)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1일 두당 건물 섭취량은 A와 B구가 각각 414.4와 417.7g으로 가장 높았고 D구가 362.6g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대사체중 당 건물섭취량(DM g/kg of $BW^{0.75}$)은 A구가 73.9g으로 가장 높았고, D구가 64.0g으로 가장 낮았다. 일당 증체량과 사료 효율은 각각 33.3~48.7g과 8.1~13.4%의 범위로 처리간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조사료 혼합비율이 낮을수록 높았다. 재래산양에 의한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ADF, NDF, 조회분 및 NSC의 소화율은 농후사료 함량이 높은 처리구일수록 높고 조사료 함량이 높은 처리구일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다. 재래산양에 있어 서의 질소축적량과 질소축적율은 A구가 각각 1.8g과 15.5%로 가장 낮았고 D구가 각각 2.7g과 25.7%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어린 재래산 양의 초기사료로서 알팔파 건초를 조사료원으로 할 때 30~40%의 알팔파 건초의 혼합비율이 그 이상의 경우보다 산양의 일당 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우수하였으며 이 때 사료내 조단백질 함량을 18%로 유지하는 것이 이유 후 어린 재래산양의 성장에 효과적이었다.

수입건초의 품질 및 기호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Imported Hay and Straw)

  • 한상철;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82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 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과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가축은 유산양(Sannen, Capra aegagrus) 12두(female, $30{\pm}1.8kg$), 재래산양(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12두(female, $24{\pm}2.4kg$), 꽃사슴(sika deer, Servus nippon) 5두(female, $92{\pm}5.2kg$)를 공시하였다. 공시재료는 2006년에 미국에서 수입된 annual ryegrass straw, perennial ryegrass straw, tall fescue straw 및 Kentucky bluegrass straw 등 4종과, 2007년에 미국에서 수입된 alfalfa hay, bermudagrass hay, timothy hay, klein grass hay, oat hay 및 orchardgrass hay 등 6종 등 총 10종과 대조구로 국내산 혼합 목건초(mixed hay) 등 총 11종을 공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입건초는 종류에 따라 화학적 성분과 건물소화율(in vitro digestibility, IVDMD)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alfalfa hay와 orchard-grass hay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수입건초는 대조구에 비하여 조단백질(crude protein, CP)함량과 IVDMD가 낮은 반면에, NDF와 ADF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은 상당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RFV(relative feed value)는 수입건초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수입건초의 RFV는 $4{\sim}5$등급에 해당되었다. 유산양, 재래산양 및 꽃사슴에 의한 채식량과 기호성은 수입건초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공통적으로 orchardgrass hay와 bermudagrass hay가 높았던 반면에, Kentucky bluegrass straw, tal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및 perennial ryegrass straw 등은 채식량과 기호성 순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공시된 수입건초는 종류에 따라 품질과 기호성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수입건초의 품질평가에 대한 기준설정이 중요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