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al of English educ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5초

학문으로서 영어교육의 현실과 위상 : 그 카니발을 위하여 (English Education in Korea as an Academic Field: For Its Carnival.)

  • 이병민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1권1호
    • /
    • pp.119-143
    • /
    • 2001
  •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practices in Korea in the broad context of research and academia. Furthermore, it attempts to uncover why English education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as a field of science in English-related departments and consequently what has been neglected and what issues should be dealt with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to create a mor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society. First, the author deals with the influence of ‘folk science’ views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by touching on some widely held perceptions and issues. Second, by dealing with the alienation of English education and examining the phenomenon of seeing English education as a secondary field of science in English related departments, an attempt was made to reveal underlying epistemological dualism rooted in Asian cultures. Third, the paper deals with a critical issue related to English education: Exposure and Time. By reviewing and reinterpreting some of basic and fundamental literature with respect to language learning, exposure, and time, the author raises a new issue in English education and proposes new interpretation and an alternative more relativistic viewpoint; he also investigates what should be done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on the basis of research and science in order to deal with the needs and problems of society.

  • PDF

ESL Standards: 언어와 학문영역의 통합을 위한 영어교육 목표 (ESL Standards: Goal of English education for the integration of language and academic area)

  • 이종복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2호
    • /
    • pp.243-26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Korean teachers and researchers ESL standards for TESOL students developed by TESOL association in 1997. The standards were designed to be useful for teachers and other educators who want to incorporate them in their educational programs for ESOL students in mainly the USA. These standard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ticulate the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needs of ESL learners and provide directions to educators on how to fulfill the needs of ESL students. Also. they emphasize the major role of language in the attainment of other content area standards. In this paper the author introduced not only the theoretical backgrounds. construct. meaning of the standards, and the ways of implementation but also their lessons to our Korean situation.

  • PDF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English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 Chang, Bok-Myung;Owada, Kazuhar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56-63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reflect English education policies for improving the English language learners' cultural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ethod of analyzing English textbooks was used because English textbooks are an important tool that most specifically reflects the English policy of a country.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six English textbooks, thre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currently used in Korea and three in Japan. We analyzed nouns/pronouns related to culture presented in the reading section included in each unit, and compare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ty included in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countries experienced cultural diversity through English education and introduced their cultural pride to Western culture to realize the goal of strengthening global capabilities. This textbook analysis results show that English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depend on American/British cultures and norms. The cultural contents of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tend to focus on geography, food and drink, festivals and activities, family and education systems, etc. And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include the cultural sections in each lesson, but they don't suggest how to relate these cultural sections into the learners' real experience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the motives from which both countries develop English education policy and textbooks in the future.

Cultural diversity and National identity in English Textbooks of Korea

  • Chang, Bok-M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48-253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nglish textbooks in Korea reflect English education policies for improving the English language learners' cultural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ethod of analyzing English textbooks was used because English textbooks are an important tool that most specifically reflects the English policy of a country.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15 English textbooks currently used in South Korea. We analyzed nouns/pronouns related to culture presented in the reading section included in each unit, and compare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ty included in English textbooks in Ko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uth Korea has tried to cultivate Korean learners' cultural competence through English education and introduced their cultural pride to Western culture to realize the goal of strengthening global capabilities.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영어교육 실태와 어려움 (Realities and Difficulties of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 조혜영;김미경;이문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01-228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어려움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201명이며, 영어교육의 실태에 대한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자녀에게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만 3세 이전에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어교육을 시키는 가장 주된 이유는 같은 또래들이 영어교육을 받고 있기 때문인 경우가 많았다. 자녀의 영어교육을 위한 도움제공은 10분 미만이 가장 많았고, 유아 혼자 복습을 하게하거나, 숙제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영어교육을 시킬 때의 어려움은 비용부담, 정보부족, 영어교육을 시킬 시간부족, 불만족스러운 영어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한 달 영어교육비용은 3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영어교육을 위한 지출은 가계에 부담이 된다는 응답이 많았다.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in an English-Mediated College Science Course: Design-Based Research on Four Semesters Instruction

  • LAHAYE, Rob;LEE, Sang-eu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9권2호
    • /
    • pp.229-254
    • /
    • 2018
  • Universities in Korea have driven universities' new attempts to adopt more learner-centered and active learning in English.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one of the well-known constru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in higher education. Our research goal was to design and develop the optimal PBL practices for a college physics course taught in English to promote learning and course satisfaction. For four semesters, we have tried and adjusted PBL components, and looked at the trend of the exam scores and group work achievement in each semester. We found that the number of problems and the duration of problem solving are th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 of PBL in a college physics course taught in English by going through iterative implementation. The iterative process of applying, designing, and constructing PBL to physics classes was meaningful not only in that we have found the optimal PBL model for learning a college physics course, but also in that we have been reflecting on the continuous interaction with learners during the course.

영.유아를 위한 영어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 고찰 (Study of English Edutainment Animation for Preschoolers)

  • 김한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4호
    • /
    • pp.107-133
    • /
    • 2011
  • 오늘날의 세계화 도래와 함께 국제적, 사회적으로 영어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체감하며 자란 7, 80년대생이 자녀를 가지기 시작하면서 영어 조기교육 열풍이 점점 확산 되고 있다. 이는 최근 자녀수가 감소함에 따라 자녀의 환경과 교육에 아낌없이 투자하려는 심리와 맞물려 부모들의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기대가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초등학교 교육과정까지 영어교육을 도입한 공교육을 선두로 조기에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학자들의 주장이 힘을 입어 그 대상을 영 유아까지 포함하게 된것이다. 이처럼 어린 연령대의 아이들을 위한 영어조기교육의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올 수도 있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올 수 있어도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교육지침의 설립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습득의 이론적 배경들을 설명하여 영 유아의 조기언어교육 타당성을 제시하고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교육적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2 ~7세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DVD 타이틀 가운데 이미 베스트셀러로 인정받고 있는 영어교육용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들을 유형별로 묶어 비교해보았다. 더 나아가 여러 유형 중 참여 유도형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분석 및 진행형식,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선택된 스토리텔링 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영어교육용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 비교해보고 분석하여 언어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타이틀을 유아들의 수준과 연령에 맞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장치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하이퍼미디어 도구와 디지털 미디어 활용 영어 쓰기 (Hypermedia Tools and Digital Media on English Writing)

  • 이일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29-736
    • /
    • 2014
  • 영어 교육에서 멀티미디어 통합 교육은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디오 스프트웨어, 파워포인트, Flash 애니메이션, 비디오 같은 멀티미디어 도구들의 사용이 영어 교육에서 영향력이 어느정도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학생들을 대상을 한 실험상의 연구는 영어 교육에서 다른 멀티미디어를 사용하는 교사 중심의 분석, 학생 중심의 분석, 그리고 응답 기반 분석으로 구분된다. 교사 기반 분석은 예측과 후향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 글에서 멀티미디어 도구가 의도된 효과를 성취하는 여부의 분석과, 멀티미디어 도구가 어떤 종류의 효과를 성취할 수 있는지 기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도구가 학교 수업시간에 얼마나 유용한지 또한 얼마나 효과적인지 입증하고자 한다.

EPIK프로그램 분석: 오리엔테이션 및 교육 프로그램에 VR 활용방안의 가능성을 중점으로 (Investigation of English Program in Korea: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VR use in orientation and training programs)

  • 박성만;임희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59-166
    • /
    • 2021
  • 영어 교육에서 의사소통적 접근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한국 학생과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1995 년 교육부는 영어 원어민 화자를 모집하여 영어 교사로 활용하는 한국 영어 프로그램(EPIK)을 도입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7개 나라에서 모집된 영어 원어민 교사들은 한국의 공립학교에서 한국인 영어교사와 함께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EPIK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를 통해 EPIK의 효과와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의 현재 상태, 문제점 및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논문은 EPIK프로그램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오리엔테이션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VR 사용가능성을 포함한 몇 가지 가능한 대책과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린이집의 영아조기영어교육 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인식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Current Condition and Perspectives of Directors and Teachers toward Early English Education for Infants -Focusing on Busan Area-)

  • 배미숙;서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10-521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시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영아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어린이집 원장 108명과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X^2$ 검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조기영어교육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적합한 교사, 교사의 자질, 개선점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적합한 교재, 어린이집 교육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린이 집의 영아조기영어교육의 실태를 살펴 본 결과 실시하게 된 계기는 원장의 교육관에 의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실시방법은 간단한 회화 중심으로 주 1~2회 정도로 횟수로 실시하고 있는 곳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조기영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