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extraction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33초

Validation on the Analytical Method of Ginsenosides in Red Ginseng

  • Cho B. G.;Nho K. B.;Shon H. J.;Choi K. J.;Lee S. K.;Kim S. C;Ko S. R.;Xie P. S.;Yan Y. Z.;Yang J. W.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91-501
    • /
    • 2002
  • A cross-examination between KT&G Central Research Institute and Guangzhou Institute for Drug Control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elect optimum conditions for extraction,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in red ginseng and to propose a better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insenosides.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of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were as follows: the extraction solvent, $70\%$ methanol; the extraction temperature, $100^{\circ}C;$ the extraction time, 1 hour for once; and the repetition of extraction, twice. The optimum separation conditions of ginsenosides on the SepPak $C_{18}$ cartridge were as follows: the loaded amount, 0.4 g of methanol extract; the washing solvents, distilled water of 25 ml at first and then $30\%$ methanol of 25 ml; the elution solvent, $90\%$ methanol of 5 ml. The optimum HPLC condi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were as follows: column, Lichrosorb $NH_2(25{\times}0.4cm,$ 5${\mu}m$, Merck Co.); mobile phase, a mixture of acetonitrile/water/isopropanol (80/5/15) and acetonitrile/water/isopropanol (80/20/15) with gradient system; and the detector, ELSD. On the basis of the optimum conditions a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insenosides were proposed and another cross-examin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validation of the selected analytical method conditions. The coefficient of variances (CVs) on the contents of ginsenoside-$Rg_{1}$, -Re and $-Rb_1$ were lower than $3\%$ and the recovery rates of ginsenosides were $89.4\~95.7\%,$ which suggests that the above extraction and separation conditions may be reproducible and reasonable. For the selected HPLC/ELSD conditions, the CVs on the detector responses of ginsenoside-Rg, -Re and $-Rb_1$) were also lower than $3\%$,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the calibration curves of ginsenosides were higher than 0.99 and two adjacent ginsenoside peaks were well separated, which suggests that the above HPLC/ELSD conditions may be good enough for the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 PDF

미생물이 생성한 식물조직부양효소를 이용한 인삼 Saponin의 추출 (Extraction of Ginseng Saponin by the Treatment of Microbial Macerating Enzyme)

  • 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9-137
    • /
    • 1981
  • 인삼엽 및 인삼피를 식물조직부양효소 (macerating enzyme)로 분리시킴으로써 인삼의 유효성분인 saponin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자 인삼부패균중 조직부양력이 강력한 1종의 G-211 균주를 선정하여 조제한 조효소로써 실험하였다. 조직부양작용의 최적 pH 는 인삼엽, 인삼피 공히 pH 5.0이었으며 가용성물질추출율 및 saponin추출율은 인삼엽이 pH4.5, 인삼피가 pH5.5에서 가장 효과가 컸다. 조직부양효소와 조 cellulase을 qudydd처리하므로써 인삼엽, 인삼피 각각 3.45%, 3.90%의 saponin을 추출할 수 있었는데 이 추출율은 전체 saponin 함량의 39.8%, 39.3%에 해당되는 수율이었다. 또한 추출된 saponin을 HPLC를 이용해서 각 ginsenoside별 pattern도 조사하였다.

  • PDF

추출조건(抽出條件)에 따른 인삼(人蔘)엑기스의 무기성분정량(無機成分定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pproach to the Extraction Method on Minerals of Ginseng Extract)

  • 조한옥;이중화;조성환;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5-106
    • /
    • 1976
  • 인삼중에는 약리학적면에서 뿐 아니라 생화학적 및 영양학적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무기질 및 미량원소가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생체를 구성하거나 각 조직의 기능을 촉진시키는 생물학적 활성물질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인삼 무기질의 효율적 이용을 목적으로 추출조건에 따른 엑기스의 수량과 추출된 인삼 엑기스의 무기질 및 미량원소를 미색법 및 원자흡광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장 효율적인 추출방법은 인삼원료량의 $10{\sim}20$배 되는 $60{\sim}80%$ ethanol로 60시간 이상 연속추출하는 것으로서 그 수량은 60% ethanol의 경우가 16.5%, 80%의 경우가 13.5%로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2. 6년근 수삼과 백삼및 미삼의 수분함량은 각각 66.37%, 12.61%, 12.20%였으며 회분은 1.56%, 3.52%, 6.04%였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20.75%, 61.00%, 45.00%였으며 조단백질은 6.30%, 13.69%, 12.69%였고 순단백질은 2.26%, 5.94%, 5.76%였으며 조지방은 1.11%, 2.02%, 2.50%였고 조섬유는 2.41%, 8.74%, 8.87%였다. 3. 무기질 및 미량원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함량은 미삼, 백삼, 수삼이 각각 1.318%, 1.362%, 0.713%였고 인삼엑기스의 그것은 미삼, 백삼, 수삼이 각각 0.038%, 0.063%, 0.036%로서 비교적 낮은추출율을 보이고 있다. 2) Ca함량은 미삼, 백삼, 수삼이 각각 0.147%, .238%, 0.126%이고 그 엑기스는 미삼, 백삼, 수삼이 0.023%, 0.011%, 0.016%여서 미삼은 15.6%이상이 ethanol로 추출된데 비해 백삼은 4.6%로 추출율이 극히 낮았다. 3) CI함량은 미삼 0.11%, 백삼 0.07%, 수삼 0.09%로 시료간에는 뚜렷한 함량차가 없었으며 미삼은 그 함량의 36.4%가 백삼은 67.1%가 ethanol로 추출된데 반하여 수삼은 84.4%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다. 4) Fe함량은 미삼이 125.0ppm으로 가장 많고 백삼은 32.5ppm, 수삼은 20.0ppm이었는데 그 추출수율은 극히 낮아서 미삼은 1.33%, 백삼은 0.83%, 수삼은 1.08%에 불과하였다. 5) Cu, Zn 및 Mn은 미량원소로서 이중 Mn은 미삼 62.5ppm, 백삼 25.0ppm, 수삼 5.0ppm으로 비교적 많은 양이 함유되었으나 ethanol로 추출한 엑기스에서는 정량되지 않았으며 Cu는 미삼, 백삼, 수삼이 각각 15.0ppm, 20.0ppm, 5.0ppm이고 인삼 엑기스에는 7.5ppm, 6.5ppm, 4.5ppm으로서 50%, 32.5%, 90%의 추출율을 보였다. Zn은 다른 작물체에 비하여 많은 양이 함유되었고 미삼이 47.5ppm, 백삼이 27.5ppm, 수삼이 5.5ppm이고 그 인삼 엑기스에는 각각 4.5ppm, 1.25ppm, 15.0ppm의 Zn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홍삼의 입자크기에 따른 사포닌 및 산성다당체의 추출 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Saponin and Acidic Polysaccharide Based on the Red Ginseng Particle Size)

  • 조장원;김상욱;노정해;이영경;김경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79-186
    • /
    • 2008
  • 홍삼의 분말화가 홍삼성분의 추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홍삼동체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방법과 홍삼을 분말화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비교 시험하였다. 서로 다른 입도분포를 가지는 3종의 홍삼분말 ($10{\sim}40$, $40{\sim}100$, 100 mesh 이상)을 제조한 후 원형홍삼 및 홍삼분말을 이용하여 48시간 추출실험을 한 결과 입도의 크기가 가장 큰 $10{\sim}40$ mesh 홍삼분말이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짧은 추출시간 (12시간)대에서 원형홍삼과 비교하여 큰 수율차이를 보였다. 홍삼의 분말화가 일반적인 연속추출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3차의 용매변경 연속추출방법(1차 추출: $70^{\circ}C$ 에탄올 12시간, 2차 추출: $70^{\circ}C$ 에탄올 12시간, 3차 추출: $70^{\circ}C$ 열수 12시간)을 이용하여 추출을 수행한 결과 3차 추출까지 끝낸 상태에서의 고형분 추출수율은 $10{\sim}40$ mesh 홍삼분말이 36.2%로서 원형삼의 29.9%에 비해 약 20% 이상의 수율 증가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삼분말 추출물내의 유용성분 분석결과 조사포닌, 총사포닌 모두 $10{\sim}40$ mesh 홍삼분말에서 추출수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사포닌의 경우 $10{\sim}40$ mesh 홍삼분말 추출물의 수율이 2.6%로서 원형삼 추출물의 1.77%보다 약 47%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를 이용한 사포닌 조성분석결과 모든 홍삼분말 추출물들이 비슷한 사포닌 조성을 나타낸 것으로 미루어 보아 분말화에 의한 사포닌 조성 변성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홍삼내의 다른 유용성분인 산성다당체의 경우에는 기존 원형홍삼에 비해 분말화된 홍삼들의 추출수율이 높아졌으며 가장 미세 분쇄된 100 mesh 이상의 홍삼분말에서 2.9%의 추출수율을 보여 원형삼 추출액의 1.37%에 비해 2배이상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추출공정에 분말화된 홍삼을 이용할 경우 추출시간의 단축 및 홍삼성분의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알콜음료용(飮料用) 인삼(人蔘) Ext.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of Red Ginseng Extract for Alcoholic Beverages)

  • 성현순;양재원;박명한;김만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40-49
    • /
    • 1981
  • 인삼(人蔘)Ext.를 원료(原料)로 하는 인삼주(人蔘酒)에서 저장시간(貯藏時間), 온도(溫度)등 외적요인(外的要因)에 따라 생성(生成)되는 혼탁(混濁) 또는 침전현상(沈澱現象)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 또는 방지(防止)하기 위(爲 )한 방법(方法)과 조건(條件)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인삼조(人蔘粗)Ext.의 수솔(收率)은 추출온도(抽出溫度)가 높고 용매주정(溶媒酒精)의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傾向)이 있으나 정제(精製)Ext.의 경우(境遇)에는 정반대(正反對)의 현상(現象)을 보였다. 혼탁(混濁)과 침전현상(沈澱現象)을 최소화(最小化)하기 위(爲)한 인삼(人蔘)Ext.의 추출(抽出)및 정제조건(精製條件)은 75% EtOH를 용매(溶媒)로 $50{\sim}70^{\circ}C$에서 추출(抽出)하고 정제시(精製時) 2차(2次) 희석주정(稀釋酒精)의 농도(濃度)를 최종제품(最終製品)과 동일(同一)하게 처리(處理)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정제시(精製時)의 처리온도(處理溫度)에 따라 사포닌의 안정화(安定化)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20^{\circ}C$ 처리(處理)의 경우(境遇) 사포닌의 일부분획(一部分劃)이 침전물(沈澱物)로 유실(流失)되었으나 $4^{\circ}C$의 처리(處理)에서는 정제과정(精製過程)과 장기저장에서도 사포닌의 유실(流失)이나 변이(變異)가 없이 안정(安定)하였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인삼의 Polyacetylene 성분 회수율 비교 연구 (Studies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Polyacetylene from Korean Ginseng)

  • 박찬엘;박창호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64-268
    • /
    • 2001
  • The extraction efficiencies of panaxynol and panaxydol were optimal at 80$^{\circ}C$ with soxhlet method. The extraction efficiencies increased up to 45$^{\circ}C$ with shaking method. Amounts of panaxynol and panaxydol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Extracted quantities of panaxynol and panaxydol using the shaking method increased over a period of 14 hours. The efficiencies of panaxynol and panaxydol extraction by soxhlet and shaking methods were higher for smaller particle sizes. Upon water swelling treatment, extraction efficiencies of panaxynol and panaxydol decreased gradually with time for both methods.

  • PDF

Effective Purification of Ginsenosides from Cultured Wild Ginseng Roots,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with Macroporous Resins

  • Li, Huayue;Lee, Jae-Hwa;Ha, Jong-M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1호
    • /
    • pp.1789-1791
    • /
    • 2008
  • This study was aimed (i) to develop an effective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ginsenosides for industrial use and (ii)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ginsenosides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dventitious root culture of Panax ginseng) with those of red ginseng (steamed ginseng) and white ginseng (air-dried ginseng). The crude extract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were obtained by using a 75% ethanol extraction combined with ultrasonication. This was followed sequentially by AB-8 macroporous adsorption chromatography, Amberlite IRA 900 Cl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Amberlite XAD16 adsorption chromatography for further purification.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s were increased from 4.1%, 12.1%, and 11.3% in the crude extract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to 79.4%, 71.7%, and 72.5% in the final products, respectively. HPLC analysis demonstrated that ginsenosides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were distributed in a different ratio compared with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저온에서 추출시간에 따른 홍삼 부위별 ginsenoside 함량 비교 (Difference of Ginsenoside Yields in Red Ginseng Parts According to Extraction Time at Low Temperature)

  • 한진수;강선주;남기열;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99-305
    • /
    • 2010
  • 본 연구는 홍삼의 가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추출 시간에 따른 홍삼 부위별 ginsenoside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동체, 지근 및 세근의 총 ginsenoside 최고 함량은 동제 21시간, 지근 18시간, 세근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23.04, 65.68 295.92 mg/100 ml이었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ginsenoside의 총량은 감소하였다. Ginsenoside $Rg_1$$Rb_1$의 최고 함량은 동제 21시간, 지근 15시간, 세근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5.76, 28.39, 117.83 mg/100 ml 이었고, $Rb_2$와 Re의 함량은 동체 21시간, 지근 18시간, 세근 9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5.76, 28.39, 117.83 mg/100 ml이었다. 홍삼으로부터의 총 ginsenoside의 추출비율은 동체 21.3%, 지근 21.1%, 세근 67.1%이었다.

홍삼의 알콜 농도별 추출 엑스의 수율과 사포닌 함량 (Extract Yields and Saponin Contents of Red Ginseng Extracts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thanol)

  • 고성룡;김석창;최강주
    • 생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4-28
    • /
    • 1992
  • Red ginseng extracts were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thanol. Extract yields were examined and saponins in the extracts were identified and determined by TLC and HPLC, respectively. Yields of the extracts, $19.7{\sim]50.3%$, were the highest in water extract and showed significant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ethanol concentration used for extraction. Contrary to the extract yields, saponin yields from red ginseng were conspicuous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ethanol concentration and were $3.47{\sim}5.13%$ of crude saponins and $1.28{\sim}1.93%$ of six major ginsenosides. Saponin contents in the red ginseng extracts were $6.9{\sim}24.2%$, of crude saponin and $2.57{\sim}9.22%$, of six major ginsenosides.

  • PDF

홍삼의 가열추출 과정중 유기산 중화에 의한 사포닌의 가수분해 억제 (Controls of the Hydrolysis of Ginseng Saponins by Neutralization of Organic Acids in Red Ginseng Extract Preparations)

  • 김천석;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205-210
    • /
    • 1998
  • Glucosidic bonds at the C20 position of the sapogenins were hydrolyzed easily in the lower pH, higher temperatures and longer times to give prosapogenins and sugars. The glucosidic bond of saponin at the C3 of ginsenoside-Rb1, which is secondary carbon, was relatively stable due to the low electron density of -0.2. But the bond of saponin at the C20 position, which is tertiary carbon with the relatively high electron density of -0.3, was liable to be hydrolyzed even in weakly acidic solution by the increase of heating time. On the other hand, red ginseng contained 13.34 mg/g of citric acid, 8.78 mg/g of malonic acid, 3.70 mg/g of oxalic acid, 2.13 mg/g of malic acid and 0.44 mg/g of succinct acid. Ginseng saponins were very stable in ginseng extract neutralized with sodium carbonate or sodium bicarbonate corresponding to the equivalent amount of the total organic acid in the red ginse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