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Manufacturing of Red Ginseng Extract for Alcoholic Beverages

알콜음료용(飮料用) 인삼(人蔘) Ext.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 Published : 1981.03.31

Abstract

A study was designed to produce a self-stable and clear Red Ginseng wine using ethanol solution for Red Ginseng extraction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 on the extract before packaging. Extraction of Red Ginseng at high temperature using low ethanol concentration caused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rude Red Ginseng extract and a decrease of purified Red Ginseng extract. Extraction with 75% ethanol at $50{\sim}70^{\circ}C$, followed by dilution of the extract to the ethanol concentration of final product, resulted minimum precipitation in the Red Ginseng wine. Low temperature treatment at $4^{\circ}C$ retained all of the saponin content in crude extract while $-20^{\circ}C$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loss of saponin along with precipitation during purification.

인삼(人蔘)Ext.를 원료(原料)로 하는 인삼주(人蔘酒)에서 저장시간(貯藏時間), 온도(溫度)등 외적요인(外的要因)에 따라 생성(生成)되는 혼탁(混濁) 또는 침전현상(沈澱現象)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 또는 방지(防止)하기 위(爲 )한 방법(方法)과 조건(條件)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인삼조(人蔘粗)Ext.의 수솔(收率)은 추출온도(抽出溫度)가 높고 용매주정(溶媒酒精)의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傾向)이 있으나 정제(精製)Ext.의 경우(境遇)에는 정반대(正反對)의 현상(現象)을 보였다. 혼탁(混濁)과 침전현상(沈澱現象)을 최소화(最小化)하기 위(爲)한 인삼(人蔘)Ext.의 추출(抽出)및 정제조건(精製條件)은 75% EtOH를 용매(溶媒)로 $50{\sim}70^{\circ}C$에서 추출(抽出)하고 정제시(精製時) 2차(2次) 희석주정(稀釋酒精)의 농도(濃度)를 최종제품(最終製品)과 동일(同一)하게 처리(處理)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정제시(精製時)의 처리온도(處理溫度)에 따라 사포닌의 안정화(安定化)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20^{\circ}C$ 처리(處理)의 경우(境遇) 사포닌의 일부분획(一部分劃)이 침전물(沈澱物)로 유실(流失)되었으나 $4^{\circ}C$의 처리(處理)에서는 정제과정(精製過程)과 장기저장에서도 사포닌의 유실(流失)이나 변이(變異)가 없이 안정(安定)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