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32초

생강과 마늘 즙 및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에 대한 증식저해작용 (Growth Inhibition of Food-borne Bacteria by Juice and Extract of Ginger and Garlic)

  • 김미림;최경호;박찬성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0-169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hibitory garlic and ginger against the growth of food born pathogenic bacteria. Juice was prepared from the raw spices by using an electric homogenizer and membrane filter. Dry-powdered spices were treated with double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to extract the antibacterial substances, respectively.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juice and extracts of the spices were monitored by using bacterial strains such as B. subtilis, L. moncytogenes, S. aureus,E. coli O157 : H7, P. aeruginosa, and S. typhimurium. On a solid medium where E. coli and S. aureus cells were grown, ginger juice formed inhibitory zone at the concentrations of 2-10% by paper disc test. The Bone formed by ginger juice was wider and more transparent than that formed by garlic juice on the same concentration.1. monocytogenes and B. subtilis were more sensitive to garlic juice than others, and stopped growing at 2% garlic juice. Ginger juice showed the growth inhibition by 30-50% at 1.0% concentration. On the contrast, P. aeruginosa which resisted to the garlic juice was the most sensitive to ginger juice. Water extract of garlic was not effective to inhibit the bacterial growth, while 2% ginger extract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and S. aureus. Alcohol extract of ginger inhibited the growth of bacteria at the concentration of 0.3%. This growth inhibition is almost 10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garlic extract. It was clear that ginger had more potential than garlic as an inhibitor to control the growth of the indicator organisms.

  • PDF

분자압축탈수 방법과 탈수액을 이용한 건조생강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Ginger Dried using a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ethod or Employing a Dehydration Liquid)

  • 이현석;김병삼;차환수;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78-486
    • /
    • 2010
  • 최적화된 분자압축 탈수건조 생강에 열풍건조, 동결건조, 재사용 탈수액을 사용한 탈수건조 생강을 비교하여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품질평가항목은 일반성분, 색도,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 총당, 환원당, DPPH 항산화활성 측정, gingerol 함량 측정을 통하여 생강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열풍건조 및 동결 건조한 생강보다는 낮았지만 이는 탈수액으로 성분이 용출되는 공정의 특성의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이였다. 색도에서는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다른 건조조건의 생강보다 원물의 상태의 색을 유지하였다.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에서는 열풍 건조된 시료가 수분흡수지수가 가장 높았고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시료는 표면수분을 적용한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판단할 때 분자압축 탈수공정을 적용한 생강이 수분흡수지수(WAI)와 수분용해지수(WSI)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총당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비교적 높았다. 환원당은 열풍 건조한 생강시료가 비교적 높았으며 이는 갈변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DPPH를 통한 항산화활성 측정에서 BHA, BHT 보다 낮았지만 다른 건조방법 보다는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Gingerol 함량 측정은 건조방법에 따라한 건조한 분말을 측정하였으며 동결건조가 가장 우수하였다. 하지만 분자압축 탈수건조한 생강의 경우 다른 건조방법 보다는 낮았지만 탈수액에 형성되는 gingerol이 발생하기 때문에 활용가치와 기능성면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이 처럼 모든 품질평가 항목의 결과를 통하여 분자압축 탈수건조가 이전에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시설과 가격에서 경쟁적으로 우수하며 활용가치와 기존의 건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 건조방법으로 판단이 되어진다.

냉동생강으로 제조한 다대기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Minced Ginger Prepared with Frozen Ginger during Storage)

  • 김동호;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43-9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냉동 저장된 생강으로 다대기를 포장방법별로 제조하여 유통조건에 따른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 $-20^{\circ}C$ 저장온도에서 다대기의 표면색도의 변화는 종합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안정적이었으며, 총 유리당 함량과 아미노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튜브포장처리구에서는 다른 포장처리구보다 감소 폭이 완만하였다. 향기성분 함량의 변화는 튜브포장 방법과 첨가물을 종합적으로 첨가한 처리군에서 향기성분 함량의 감소 폭이 완만하게 나타났다. 관능적 평가는 $5^{\circ}C$ 저장군에서 종합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색깔, 이취에서 저장 12주까지, 선호도에서 저장 8주까지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튜브포장처리구는 저장 12주까지 선호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0^{\circ}C$ 저장군에서는 대조구에서 저장 45주까지 포장방법별로 상관없이 색깔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취에 대해서는 저장 15주부터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15주 저장부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튜브포장처리구와 병포장처리구는 bag포장처리구 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종합처리구에서는 색깔, 이취, 선호도에서 튜브포장은 저장 45주까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아 다른 포장처리구보다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생강다대기 제품의 품질수명은 대조구의 경우 $5^{\circ}C$에서는 품질유지기간이 4주 정도에 불과 하지만 첨가물을 첨가한 경우는 12주까지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circ}C$ 저장군에서는 대조구에서 이취와 선호도의 저하로 품질수명이 15주정도로 짧게 나타났으나 첨가물을 첨가한 다대기는 저장 30주까지 품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특히 튜브포장 방법은 저장 45주까지도 품질변화가 거의 없어 안정된 품질수명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장성이 약한 생강의 품질변화를 최소화 하기위해 냉동생강으로 첨가물을 첨가한 생강다대기 제품을 튜브포장하여 제조하면 생강다대기의 품질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Maltodextrin을 처리한 생강 절편의 탈수, 건조 및 열풍 건조와 동결건조된 생강과의 비교 (Dehydration of Sliced Ginger Using Maltodextrin and Comparison with Hot-air Dried and Freeze-dried Ginger)

  • 김민희;김민기;유명식;송영복;서원준;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6-150
    • /
    • 2009
  • Maltodextrin 30, 50, 80%의 농도로 생강 절편을 처리하여 탈수, 건조하였는데 maltodextrin 농도가 높을수록 탈수효율이 좋았으며 80% maltodextrin 처리된 생강은 최종 수분함량이 9.21%로 가장 탈수율이 좋았다. Maltodextrin 처리로 건조한 생강을 복원율, gingerol 함량, 색도, 관능평가 측면에서 열풍, 동결건조된 생강과 비교한 결과, maltodextrin 80% 처리한 생강의 복원율이 7.91 g/g로 열풍, 동결건조한 생강보다 복원율이 뛰어났다. Gingerol 함량은 maltodextrin 농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많았는데 maltodextrin 80% 처리한 것이 1.19 mg/g로 가장 뛰어 났다. 색도의 L, a, b값은 maltodextrin 농도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대조구와 비교해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에서도 색도, 향, 조직, 외관, 종합적 기호도에서 maltodextrin 처리 시료가 다른 건조 방법에 비해서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 maltodextrin을 처리하여 탈수, 건조하는 방법이 생강 절편의 건조에 있어서 복원율 등 품질과 비용 측면에서 열풍건조나 동결건조 방법보다 우수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Retort-pouch 된장찌개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tort-pouch Soybean Paste Pot Stew)

  • 김경자;강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41-546
    • /
    • 1996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quality of retort-pouched conuiment food by adding garlic, ginger, redpepper in cooking soybean paste pot stew. Cooked and storaged retort-pouch soybean paste pot stew with four different levels of garlic, ginger, red-pepper (T$_1$garlic 2%, T$_2$: ginger l%, T$_3$: red-pepper 2%,T$_4$: garlic 2%+ginger 1 %) was tested for sensory evaluation, pH, TBA value, and microbiological number changes. 1) No systematic increase of total bacteria counts was detected during the storage periods for bowl or retort pouch soybean-paste samples. The inclusions of ginger extract did not pose any microbiological safty problem. 2)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fifteen university students as panelis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ive samples in color, flavour, and appearance and a notable preference for T$_1$ sample. 3) There was a slowly increase of TBA value during the first 5-7 days of storage in retort-pouch and bowl. The inclusion of ginger extract at 1.0% level tended to lower TBA values.

  • PDF

The Effect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Rhizome Rot and Wilt Disease Complex Incidence of Ginger Under Hill Agro-climatic Region of West Bengal

  • Sharma, B.R.;Dutta, S.;Roy, S.;Debnath, A.;Roy, M. D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98-202
    • /
    • 2010
  •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viz. organic carbon(OC), pH, electrical conductivity,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content) of ginger growing soil with incidence percentage of rhizome rot and wilt disease complex of ginger. Organic carbon content and pH of the ginger soil contributed significantly (93%) in the prediction of ginger rhizome rot and wilt disease complex incidence with negative correlation. Soil having weak acidic reaction with OC percent greater than 2.25 was observed to have the lower average incidence of the disease.

재사용 탈수액을 탈수제로 이용한 생강의 탈수 및 품질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hydrated Ginger Rhizomes Prepared using Recycled Dehydrating Liquid as an Alternative Dehydrating Agent)

  • 이현석;권기현;김병삼;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58-364
    • /
    • 2010
  • 분자압축 탈수공정에 의한 색도변화는 재사용 탈수액을 적용한 건조공정에서 원물과 유사한 색도를 나타내었다. 수분 및 수분활성도에서도 유의적 경향이 일치하였다. 탈수액의 농도와 첨가량에 의한 탈수율과 복원율의 변화에서는 탈수액의 농도 차이에 따라 탈수율은 달라졌으며 농도가 커질수록 탈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복원율 역시 탈수액 농도가 낮을수록 완만한 복원율을 나타내었고 탈수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복원율이 높았다. 탈수액의 첨가량에 의한 탈수율과 복원율에 변화에서는 첨가량이 다른 탈수제 차이에 따라 탈수율과 복원율이 달라졌으며 첨가량이 커질수록 탈수액 농도와 같이 뚜렷하게 탈수율이 증가하고 복원율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를 통하여 탈수액의 농도와 첨가량별 탈수액을 적용하여 분자압축 탈수건조한 생강시료를 비교 하였을 때 모든 항목에서 열풍건조가 가장 낮았고 외관의 경우에서는 동결건조한 시료가 우수하였지만 전체적인 평가에 있어서 탈수액을 이용하여 건조한 생강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 처럼 모든 품질평가 항목의 결과를 통하여 탈수액을 적용한 건조방법이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시설과 가격에서 경쟁적으로 우수하며 활용가치와 기존의 건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 건조 방법으로 판단이 되어진다.

생강즙 및 집청이 약과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ger and Soaking on the Lipid Oxidation in Yackwa)

  • 이주희;박금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3-97
    • /
    • 1995
  • 한국 고유의 후식인 약과에 생강즙을 첨가하여 관능검사와 저장에 의한 지방의 산패를 조사하였다. 생강즙의 첨가량은 밀가루 1cup에 0tea spoon(t.s)에서 2t.5이 반죽으로 가능하였으며, 질감, 모양, 색에서는 유의적인 치지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향 맛, 전체적인 선호 In에서 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강즙 1t.5, 1.51 j, 2.0 1.5를 첨가한 약과들은 위의 세가지 평가 부문에j,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들 사이에서는 향에 대한 평가만을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강즙의 첨가는 튀김과 저장시 일어나는 지방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 효과는 생강즙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시럽이나 꿀로 집청하여 저장한 약과가 집청하지 않고 저장한 약과보다 지방의 산화가 억제되었다. 이 효과는 꿀로 집청한 약과가 시럽으로 집청한 약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생강즙의 첨가와 시럽이나 꿀로 잡청함으로써 약과를 상온에서도 좋은 품질로 유지하면 서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생강 추출물 투여가 마우스 면역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Extracts on Mice Immune Cell Activation)

  • 류혜숙;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1호
    • /
    • pp.23-30
    • /
    • 2004
  •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has been used as a raw material in many traditional preparations since the ancient time. As a component of traditional health products, Ginger is known to be effective as appetite enhancer, anticold and anti-inflamm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ive effects of Ginger in mouse, using in vitro and ex vivo experiments. In vitro experiment, the mice splenocytes proliferation and three kinds of cytokines (IL-1 $\beta$, IL-6, and TNF-$\alpha$) prodution by peritoneal macrophages cultured wi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Ginger were used to indicate the immunomodulative effect. In order to elucidate the immunomodulative effects of Ginger ex vivo, water extract of Ginger was orally administrated into mice, and isolated splencytes and macrophages were used as experimental model. Ex vivo experiment, six to seven week old mice were fed ad libitum on a chow diet, and water extract of finger was orally administrated every other day for four weeks at two different concentractions (50 and 500 mg/kg B.W./day). In vitro study,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was increased when water extract was supplemented in the range of 50-500 $\mu$l/ml concentration. In case of cytokines production, IL-1 $\beta$, IL-6 and TNF-$\alpha$ released by activated peritoneal macrophages were augmented by the supplementation of water extract of the Ginger. Ex vivo experiment, the highest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production of cytokines by activated peritoneal macrophages were seen in the mice orally administrated at the concentration of 500 mg/kg B.W./da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Ginger extracts may enhance th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and enhancing the cytokine prodution capacity by activated macrophages in mice.

생강을 이용한 샐러드드레싱 제조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 Salad Dressing)

  • 정현아;박숙현;김안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5
    • /
    • 2013
  • 본 연구는 생강 첨가량 0, 3, 6, 9, 12%를 첨가한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4^{\circ}C$에서 21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 색도, 당도, 염도, 관능검사를 평가하였다. pH 값은 생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p<0.001), 산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 a, b 값은 모두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당도 측정 결과 생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염도 값은 증가하였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라 염도 값이 증가하였다(p<0.01). 관능평가결과, 저장 초기에는 9%와 12% 첨가군이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나, 관능 평가의 결과 총 7개의 항목으로 저장기간에 따라 공통적으로 전체적으로 6%의 기호도가 높았다. 전체적으로 생강 첨가량 6%가 생강 샐러드 드레싱 제조 시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