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bberellin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8초

근권에서 분리한 Bacillus sp.의 적용에 의한 토마토의 생장 촉진 (Growth Promotion of Tomato Seedlings by Applicaion of Bacillus sp. Isolated from Rhizosphere)

  • 이강형;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79-284
    • /
    • 2007
  • 식물호르몬(phytohormone)을 생성하며 불용성 인산 가용화능이 있는 세균을 근권에서 분리하여 각각의 생성능을 조사하고 토마토 씨앗에 적용하여 생장촉진 가능성을 조사함으로써 분리 균주의 생물학적 비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리 균주인 Bacillus sp. PS2와 RFO41은 첨가된 두 종류의 500 mg/L 불용성 인산을 약 80% 이상 가용화 시켰으며, 펩톤이 풍부한 생장배지에서 여러 가지 식물호르몬을 생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토마토 씨앗의 생장촉진 실험을 수행한 결과, PS2와 RFO41이 적용된 실험군의 발아한 토마토모종의 뿌리와 줄기의 길이 생장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6.8과 34.8% 및 45.5와 36.5%가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분리 균주인 Bacillus sp. PS2와 RFO41의 인산 가용화능과 식물호르몬의 생성능이 토마토 씨앗의 발아와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생물학적 비료로서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잔디종자의 발아촉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ethod for promoting the germination of sod seed)

  • 조재영;김봉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5-129
    • /
    • 1968
  • 수확후 시일이 오래 경과되지 않은 금잔디종자의 발아촉진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를 흡수시켜서 0~$2^{\circ}C$에 2~30일 냉장하는 것은 발아조장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2) 종자를 농유산에 넣고 유리막대로 잘 교반하며 1분 30쯤 경과한 다음 수세 파종하는것도 발아조장의 효과가 컸다. 그러나 처리가 지나쳐서 종자가 흑별할 저오닥 되면 도리어 해롭다. (3) 잔디종자의 발아는 광선이 투입될 경우에 조장되며 복토는 발아를 감퇴시킨다. (4) 혼사종피마상 및 선부절제도 약간의 발아조장효과가 있는 것 같다. (5) 지벨레린, $NH_4$ $NO_3$, NAA 등의 처리는 발아조장효과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땅콩 종자의 $GA_3$ 및 IAA 침지처리가 개화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ing Seed Treatment with $GA_3$ and IAA on Flowering and Yield Components in Peanut)

  • 이효승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1990
  • 땅콩의 종실체내 Gibberellin 및 IAA를 처리 침투시켜 Hormone의 활성을 자극시키므로서 배자의 발육을 촉진시키고 호분층내에 있는 e-amylase의 분필기능을 촉진시켜 땅콩의 발아상태를 호전시키고 초기 개화수 확보에 의한 결협상태를 개선코자 온실에서 서둔땅콩을 공시하고 약제처리는 GA$_3$ 10, 50, 100ppm과 IAA 50, 100, 200ppm 용액에 24시간 침지후 파종하였으며 출현 및 개화 그리고 수량구성 요소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출현요소 일수는 GA$_3$50ppm과 IAA 200ppm에서 모두 2일이 소요되었으며 무처리의 7일에 비하면 5일이 단축되었다. 2. 개화수를 보면 개화기까지는 GA$_3$ 및 IAA의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보다 11-17일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IAA 100ppm 처리의 경우 17일이 단축되었다. 3. 경시적 누적 개화수에서는 GA$_3$, IAA 처리 모두 개화후 30일까지 볼 때 초기 개화수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특히 IAA 100ppm 처리시 64화에 비하면 무처리의 경우 21화에 불과하였다. 4. IAA 100ppm 처리구에서는 주경장, 분지장, 주경절수 등이 어느 처리 농도에서도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무처리 보다는 월등한 생육 차이를 보였다. 5. IAA 및 GA$_3$ 모두 100ppm 처리구에서 완숙입비율이 주당 협실중 및 중실중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 PDF

Isolation of Gibberellins-Producing Fungi from the Root of Several Sesamum indicum Plants

  • CHOI, WHA-YOUL;RIM, SOON-OK;LEE, JIN-HYUNG;LEE, JIN-MAN;LEE, IN-JUNG;CHO, KANG-JIN;RHEE, IN-KOO;KWON, JUNG-BAE;KIM, JONG-G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22-28
    • /
    • 2005
  • Gibberellins (GAs) play important roles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Fifty-four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4 kinds of Sesamum indicum plants, and the production of GAs was spectrophotometrically examined. The number of GA-producing fungi was two strains from S. indicum, four strains from Gold S. indicum, and five strains from Brown S. indicum. Eleven fungi with GAs-producing activity were incubated for seven days in 40 ml of Czapek's liquid medium at $25^{\circ}C$ and 120 rpm, and the amount of each GA in the medium w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y (GC-MS). Penicillium commune KNU5379 produced more $GA_3$, $GA_4$, and $GA_7$ than Gibberella fujikuroi, Fusarium proliferatum, and Neurospora crassa which are known as GAs-producing fungi. GAs-producing activity of the P. commune KNU5379 was shown to produce 71.69 ng of $GA_1$, 252.42 ng of $GA_3$, 612.00 ng of $GA_4$, 259.00 ng of $GA_7$, and 202.69 ng of $GA_9$ in 25 ml of liquid medium. Bioassay of culture fluid of GA-producing fungi was also performed on rice sprout.

Diurnal Variation in Endogenous Gibberellin Levels of Rice Shoots

  • Hwang, Sun-Joo;Hamayun, Muhammad;Kim, Ho-Youn;Kim, Kil-Ung;Shin, Dong-Hyun;Kim, Jang-Eok;Kim, Sang-Yeol;Lee, In-Ju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63-166
    • /
    • 2007
  • Diurnal changes in levels of endogenous gibberellins(GAs) were investigated in three rice cultivars i.e. Sangjubyeo, Shingeumobyeo(photo-neutral) and Chucheongbyeo(photosensitive). The rice cultivars were grown under a 12-hr photoperiod and endogenous GA levels were assay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SIM) every 3 h for 24 h. The endogenous bioactive $GA_1$ and its immediate precursor $GA_{20}$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photosensitive and photo-neutral rice cultivars, though less pronounced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endogenous $GA_{12},\;GA_{53},\;GA_{19}$, and $GA_8$ levels with in the three rice cultivars. The levels of bioactive $GA_1$ and its immediate precursor $GA_{2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ucheongbyeo than in the other two cultivars. In Chucheongbyeo, the $GA_1$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1.00 to 17.00 o'clock, thus indicating a correlation with light. In Shingeumobyeo, $GA_1$ contents slightly increased during morning hours, while a similar hike in $GA_1$ contents was observed for Sangjubyeo during evening hours. $GA_{19}$ was found to be the most abundant GA form in the three rice cultivars. Our results suggested that GA production in rice depends upon the response potential of rice cultivars and that light positively correlated to GA production in photosensitive rice cultivar.

  • PDF

국내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 추출물이 벼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Native Plant Resources and Medicinal Plants on Early Seedling Growth of Rice(Oryza sativa L.))

  • 지기수;김용훈;박지성;김건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21-334
    • /
    • 2014
  • 국내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들의 식물 생장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4종 65점의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벼(Oryza sativa)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1종 12점의 쑥(Artemisia princeps) 경엽,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전초,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가지와 잎, 갈대(Phragmites communis) 줄기, 율무(Coix lacrymajobi var. mayuen) 전초, 싸리(Lespedeza bicolor) 가지와 잎, 산수국(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전초, 속단(Phlomis umbrosa) 전초,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근경, 감초(G. uralensis) 경엽, 당귀(Angelica gigas) 뿌리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근경 추출물은 벼 유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에 따라 상기 식물 종의 부위들은 식물 생장촉진용 농가 자가제조 액비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활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Overexpression of Brassica rapa GROWTH-REGULATING FACTOR genes in Arabidopsis thaliana increases organ growth by enhancing cell proliferation

  • Hong, Joon Ki;Oh, Seon-Woo;Kim, Jeong Hoe;Lee, Seung Bum;Suh, Eun Jung;Lee, Yeon-He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271-286
    • /
    • 2017
  • GROWTH-REGULATING FACTOR (GRF) genes encode plant-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containing two conserved QLQ and WRC domains and play critical roles in regula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ateral organs, such as cotyledons, leaves, and flowers. To explore the agricultural potential of Brassica rapa GRF genes (BrGRFs), the researchers isolated seven BrGRFs (BrGRF3-1, 3-2, 5, 7, 8-1, 8-2, and 9) and constructed BrGRF-overexpressing Arabidopsis thaliana plants (BrGRF-OX). BrGRF-OX plants developed larger cotyledons, leaves, and flowers as well as longer roots than the wild type. The increase in size of these organs were due to increases in cell number, but not due to cell size. BrGRF-OX plants also had larger siliques and seeds. Furthermore, BrGRF-OX seeds produced more oil than the wild type. RT-PCR analysis revealed that BrGRFs regulated expression of a wide range of genes that are involved in gibberellin-, auxin-, cell division-related growth processes. Taken together, the data indicates that BrGRFs act as positive regulators of plant growth, thus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y may serve as a useful genetic source for crop improvement with respect to organ size and seed oil production.

Effect of Nitrogen and Silicon Nutrition on Bioactive Gibberellin and Growth of Rice under Field Conditions

  • Hwang, Sun-Joo;Hamayun, Muhammad;Kim, Ho-Youn;Na, Chae-In;Kim, Kil-Ung;Shin, Dong-Hyun;Kim, Sang-Yeol;Lee, In-Ju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81-286
    • /
    • 2007
  • Gibberellins are growth hormone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Present investigations were carried to check the effect of nitrogen(N) and silicon(Si) on bioactive $GA_1$ and its immediate precursor $GA_{20}$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two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maturity traits. It was observed that the endogenous bioactive $GA_1$ level gradually increased during vegetative stage and anthesis stage of both Junghwabyeo(early flowering cultivar) and Daesanbyeo(late flowering cultivar). However, the $GA_1$ and $GA_{20}$ content start decreasing during the seed filling stage in both rice cultivars, which indicated a possible relationship of bioactive $GA_1$ and floral development. Our results also confirmed that early 13-hydroxylation pathway was operated at all developmental stages of rice plant. Variation in the levels of the endogenous gibberellins in rice shoots were measured by GCMS-SIM using $^2H_2$-labeled gibberellins as internal standards. Combined application of N and Si enhanced growth parameters and reduced lodging index of both rice cultivars. It was thus concluded that the level of physiologically active $GA_1$ increased during vegetative and early reproductive stage, but starts declining at seed filling stage.

  • PDF

Antisense gibberellin 3β-hydroxylase발현 형질전환벼 (Antisense GA 3β-Hydroxylase Gene Transferred to Rice Plants.)

  • 강용원;윤용휘;김길웅;이인중;신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44-649
    • /
    • 2004
  • GA 생합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GA 3$\beta$-hydroxylase를 pIG121-Hm 벡터에 GUS유전자를 빼고 antisense로 클로닝하여 이를 동진벼에 도입한 결과 17개체의 절간신장이 억제된 형질전환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일반 재배 동진벼를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을때 antisense GA 3$\beta$-hydroxylase 유전자가 형질 도입된 식물체의 획득형질은 평균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절간 신장의 억제가 확인되었다. 절간신장의 억제가 보인 개체의 엽육조직을 co취하여 Southen blot hybridization분석 결과 3개의 line에서 모두 single copy로 도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T_o$ 식물체 내에 antisense GA 3$\beta$-hydroxylase 유전자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antisense GA 3$\beta$-hydroxylase 유전자가 생체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GA 3$\beta$-hydroxylase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한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두채(豆菜)의 생육특성(生育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Grow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

  • 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7-252
    • /
    • 1981
  • 두채(豆彩)의 기호도(嗜好度)와 생산수율(生産收率)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는 재배(栽培)기술(技術)의 확립(確立)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 각(各) 품종별(品種別) 원두(原豆)를 침적(沈積) 및 재배시(栽培時) 생육특성(生育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원두(原豆)를 $18^{\circ}C$에서 4시간(時間) 침전후(沈澱後) 수분흡수율(水分吸收率)은 $167.0{\sim}194.5%$ 범위(範圍)였는데 발원율(發源率)과는 큰 관계(關係)가 없었다. 7일(日) 재배(栽培) 후(後) 구예태(求禮太)가 생산수율(生産收率)이 가장 높고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시(處理時) giberellin 1 ppm 처리구(處理區)가 가장 높은 수율(收率)을 얻었다. 또한 대량생산시(大量生産時)에는 $25^{\circ}C$ 이상의 물로 수주(水柱)할 때 발생(發生)되는 두채(豆彩)의 변질(變質)을 막기 위해 지하수(地下水)로 직접수주(直接水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