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bberellic acid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7초

Role of Temperature and Gibberellic Acid in Stimulating Embryo Elongation and Radicle Emergence of Hepatica asiatica Nakai Seeds

  • Chon, Young Shin;Jeong, Kyeong Jin;Lee, Sang Woo;Yun, Jae Gill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331-339
    • /
    • 2015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embryo growth and radicle emergence of Hepatica asiatica Nakai, a perennial herb native to Korea. Seed viability, embryo growth, and radicle emergence were monitored in seeds exposed to various temperatures (10, 15, $20^{\circ}C$ and $30{\rightarrow}15^{\circ}C$). Laboratory experiments at various temperatures revealed that (1) embryo elongation occurred effectively between 10 and $15^{\circ}C$; (2) radicle emergence occurred only at $15^{\circ}C$; (3) a warm stratification (2-8 weeks at $30^{\circ}C$) was not required for embryo elongation and radicle emergence, and led to inhibition of radicle emergence; (4) application of gibberellic acid ($GA_3$) promoted embryo growth, but not radicle emerge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 asiatica seeds have two separate mechanisms to overcome dormancy, either by $GA_3$ (morphological dormancy) or temperature (physiological dormancy), and warm stratification is not involved in breaking radicle dormanc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 asiatica seeds hav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Gene expression involved in dark-induced leaf senescence i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 Cheng, Xiaoxia;Dai, Xiaomei;Zeng, Huiming;Li, Yunxia;Tang, Wei;Han, Liebao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4호
    • /
    • pp.285-292
    • /
    • 2009
  • Zoysiagrass (Zoysia japonica) is one of the important turfgrass species. Extending green period of zoysiagrass via delaying leaf senescence will make this species have more potential in the turfgrass industry. In this study, we found that zoysiagrass seedlings treated with $GA_3$ could delay the leaf senescence induced by darkness. To study expression of genes responsive to staying green in zoysiagrass,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was used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non-$non-GA_3-treated$ and $GA_3-treated$ seedlings subjected to darkness. A total of 307 ESTs were generated, of which 226 ESTs clustered into 54 contigs and 81 were singlet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selected by subtraction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putative functions generated by BLAST analysis. Expression of five selected genes, Met, SAM, V-ATPase, Cry (Cryptochrome gene), and An (diphthine synthase gene) were examined by RT-PCR and Real-time PCR. Both RT-PCR and Real-time PC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tial expressions of these genes were attributable to delaying senescence by exogenously applied gibberellic acid. This is the first genome-wide study of senescence in a species of turfgrass.

Non-deep 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Euphorbia jolkinii Boiss. native to Korea

  • Oh, Hye Jin;Shin, Un Seop;Lee, Seung Youn;Kim, Sang Yong;Jeong, Mi J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174-181
    • /
    • 2021
  • Background: Euphorbia jolkinii Boiss. is a perennial species native to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Particularly on Jeju Island, the yellow flowers of E. jolkinii Boiss. have a high ornamental value because of their contrast with basal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temperatures (5, 15, 20, and 25 ℃) and gibberellic acid (GA3) concentrations (0, 10, 100, or 1000 mg/L) on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E. jolkinii.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seed dormancy type and compared types with those of other species in the same genus. Results: The number of seeds with viable embryos and endosperms was approximately 66%.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s at 5, 15, 20, and 25 ℃ were 51.7%, 83.5%, 2.6%, and 0.0%, respectively. In GA3 concentration experiments,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s of 0, 10, 100, and 1000 mg/L were 83.5%, 91.7%, 79.1%, and 83.4%, respectively, at 15 ℃ conditions, and 0.0%, 6.9%, 13.2%, and 27.3%, respectively, at 25 ℃. Conclusions: Germination improved at temperatures of 15 ℃ or lower. Furthermore, GA3 treatment effectively reduced germination times. Thus, the seeds of E. jolkinni were classified as having non-deep physiological dormancy.

Plant regeneration of Korean wil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mutant lines induced by ${\gamma}$-irradiation ($^{60}Co$) of adventitious roots

  • Zhang, Jun-Ying;Sun, Hyeon-Jin;Song, In-Ja;Bae, Tae-Woong;Kang, Hong-Gyu;Ko, Suk-Min;Kwon, Yong-Ik;Kim, Il-Woung;Lee, Jaechun;Park, Shin-Young;Lim, Pyung-Ok;Kim, Yong Hwan;Lee, Hyo-Ye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220-225
    • /
    • 2014
  • An efficient in vitro protocol has been established for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let conversion of Korean wil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Wild-type and mutant adventitious roots derived from the ginseng produced calluses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and 0.3 mg/L kinetin; 53.3% of the explants formed callus. Embryogenic callus proliferation and somatic embryo induction occurred on MS medium containing 0.5 mg/L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The induced somatic embryos further developed to maturity on MS medium with 5 mg/L gibberellic acid, and 85% of them germinated. The germinated embryos were developed to shoots and elongated on MS medium with 5 mg/L gibberellic acid. The shoots developed into plants with well-developed taproots on one-third strength Schenk and Hildebrandt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0.25 mg/L 1-naphthaleneacetic acid. When the plants were transferred to soil, about 30% of the regenerated plants developed into normal plants.

Gibberellic acid와 여러 가지 제초제와의 혼합처리가 메귀리에 대한 제초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s of gibberellic acid and several herbicides on the herbicidal activity against wild oat (Avena fatua L.))

  • 김진석;최정섭;홍경식;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07-116
    • /
    • 1998
  • Gibberellic acid에 대한 밀과 메귀리간에 차등반응을 이용하여 제초제에 gibberellic acid를 첨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메귀리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조합을 찾고, 그 효과증대의 생리적 원인을 조사하고자 실험하였다. 밀은 $GA_{3}$에 대한 낮은 신장반응을 보였으나, 메귀리는 이보다 $4{\sim}5$배 높은 반응을 보였다. $GA_{3}$에 침지된 메귀리 종자를 파종한 후 토양처리했을 때는 isoproturon, trifluralin의 효과가 증진되었다. 경엽처리의 경우 $GA_{3}$는 tralkoxydim fenoxaprop-ethyl, metsulfuron-methyl, metribuzine, isoproturon의 효과를 증진시켰으나, oxyfluofen과 paraquat의 효과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경엽처리조건에서 체계처리를 할 경우 tralkoxydim처리 이전에 $GA_{3}$를 처리하면 tralkoxydim의 효과를 증진시켰으나, tralkoxydim처리 이후에 $GA_{3}$를 처리하면 효과가 낮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GA_{3}$를 어느 시기에 처리하여도 tralkoxydim의 신장저해효과를 증진 또는 경감시키지는 못하였고, $GA_{3}$가 처리된 잎의 과산화작용 화합물에 대한 반응은 무처리와 비교하여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 보아 $GA_{3}$가 일부 제초제의 효과를 증진시킨 것은 조직의 연화(세포신장 촉진)에 의한 높은 제초반응 때문이라기보다는 제초제 흡수, 이행의 변화 또는 제초작용 발현과 관련한 체내대사의 촉진 때문으로 추정된다.

  • PDF

대구지방에서의 뽕나무 휴면타파를 위한 생장조절제 처리 효과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the Dormancy of Mulberry (Morus alba L.) Winter Buds in Taegu, Korea)

  • ;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5-83
    • /
    • 1988
  • 본 실험은 한국 대구지방에 있어서의 뽕나무의 휴면기간 및 휴면의 깊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장촉진제 및 억제제를 경시적으로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구지방에서는 일본 동경지방에서보다 자발휴면은 약하게 나타났으나, 타발휴면은 강하게 나타났다. 약휴면이 시작되는 시기도 이본과는 다르게 9월 하순부터 시작되었으며, 10월 상순부터 10월 하순까지는 깊은 휴면상태를 유지하다가 11월 초순부터는 벌써 동아의 자발유면이 각성되어 동면기(타발휴면)에 들어갔다. 휴면전 9월 초순에 지배렐린, 아브시스산, 나프탈렌산 및 요소를 잎에 처리한 결과, 지배렐린 10ppm을 처리한 뽕나무는 휴면이 크게 타파되었으며, 요소 0.5%도 지배렐린보다는 낮으나 휴면을 타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나프탈렌산 0.02%는 휴면을 크게 촉진시켰으며, 아브시스산 20ppm은 휴면을 촉진하는 효과가 없었다. 특히, 지배렐린을 처리한 삽수는 다른 처리에 비해 발아가 가장 빨랐다. 뽕가지의 부위에 따른 휴면의 강도는 가지의 중간 부위가 가지의 상부와 하부에 비해 휴면이 약했다. 지베텔린을 처리한 다음 삽수를 $30^{\circ}C$하에서 휴면타파를 조사할 때 가장 적당한 처리기간은 15일이었다.

  • PDF

HPLC/UV-vis을 이용한 과일류 중의 지베렐린 산 분석 (Analysis of gibberellic acid from fruits using HPLC/UV-vis)

  • 마경나;조현우;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26권1호
    • /
    • pp.19-26
    • /
    • 2013
  • 자외선 흡광도가 거의 없는 농작물의 생장 조절용 농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베렐린(GAs) 중 하나인 지베렐린 산($GA_3$)은 발색단이 미약해서 자외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기가 어려운 물질이다. 액체-액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과일류로부터 지베렐린 산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시료의 pH와 추출용매에 대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페나실 브로마이드를 유도체화 시약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검출기에 선택적이며 감도가 좋은 $GA_3$-유도체 화합물을 만들었으며, 최적의 유도체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서 반응온도 및 시간, 유도체화 시약의 양, 염기의 양 등을 변화시켜주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유도체화 된 $GA_3$는 C18 컬럼을 사용하여 방해물질이 없이 HPLC/UV-vis로 효과적으로 분석되었으며, HPLC/ESI-MS를 사용하여 유도체화된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사과의 경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08 mg/kg, 0.027 mg/kg로, 배의 경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03 mg/kg, 0.012 mg/kg로 낮은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보였다. 확립된 유도체화 방법은 과일류 중에 존재하는 $GA_3$의 효과적이고 편리한 분석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엽연초에 대한 Gibberellin의 영향 -양건종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IBBERELLIC ACID ON TOBACCO. "The influence on the growth sun-curing tobacco varieties.")

  • 제상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2-35
    • /
    • 1963
  • 양건종 담배의 생육에 미치는 Gibberellin의 영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경북지방 장려품종 청주엽, 태야, 향초들을 포장에서 절간신장초기에 100, 200, 300 P.P.M.으로 3회산포하여 발전기에 형태적변화를 조사하였고 각기 적기에 수확건조하여 생엽종과 건조중을 비교하였다. 1. 경엽의 신장은 300 P.P.M.에서 최고이었고 경은 33.05%∼55.22%, 엽은 16.96∼50.69% 증가괴었으며 경엽과 엽폭은 감소되어 엽폭은 최소 70.42∼83.66%로 감소되었다. 2. 엽수는 모든 품종이 Gibberellin처리로 증감이 없었다. 따라서 간장의 증가는 주로 절간장의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3. 생엽종의 증가는 엽신장의 증가에 일치하지 않고 200P.P.M.에서 최고로 12∼13.9% 증가하였으며 엽색은 신장에 따라 희박하여졌다. 4. 건엽종도 200 P.P.M.에서 최고에 달하여 9∼12.2% 증가되었으며 건조화율은 엽신장에 따라 감소되었다.

  • PDF

Gibberellic acid 처리가 Kentucky bluegrass와 Tall fescue 잔디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Seed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and Tall Fescue Turfgrass)

  • 강점순;김용철;최인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2-39
    • /
    • 2007
  • 발아율이 저조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 와 Tall fescue종자를 식물생장조절제인 $GA_3$와 BAP를 처리하여 발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였다. Kentucky bluegrass 초종에서는 $GA_3$ 처리는 농도에 관계없이 BAP 단독 또는 및 $GA_3$와 BAP혼용처리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높았으며, 처리기간은 6일 처리가 3일 처리보다 좋았다. 따라서 최적 처리조건은 $GA_3$ $1000{\mu}M$농도로 6일간 처리였으며, 무처리보다 발아율을 $10{\sim}38%$ 향상시킬 수 있었다. Tall fescue 종자는 생장조절제를 처리하면 발아율이 향상되는 경향이나 현저한 수준은 아니었다. 최적 생장조절제 처리조건은 $GA_3\;1000{\mu}M$용액으로 3일간 처리였는데, 무처리 종자에서 비해 발아율을 10%증진시켰다. $GA_3$ 처리된 Kentucky bluegrass와 Tall fescue 종자는 묘출현율이 무처리에 비해 $8{\sim}9%$ 향상되었고, 묘출현속도는 1.2일 빨랐다. 또한 건물 중, 초장 및 뿌리생장 등 초기생육이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