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aug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2초

LWDT와 Geogauge를 이용한 성토지반의 다짐관리 현장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stimation Compaction Method of Embankment using LWDT and Geogauge)

  • 임성윤;송호성;류희룡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4호
    • /
    • pp.85-95
    • /
    • 2016
  • PBT (Plate Bearing Test) is a commonly used compaction estimation used to provide basal support for embankments.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from experimental evaluations PBT, LWDT (Light Drop Weight Tester) test and Geogauge test with embankment materials which consist in sandy soil, crushed stone and roc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regression analyze results (r) from test results between Young's modulus and $k_{30}$, $E_v$ are 0.385 and 0.111~0.496, estimated very lack of correlation. The Geogauge is frequency vibration from machine to underground. Geogauge can not measure to accuracy test results when it is used on ground of the rock or crushed stone. The regression analyze results (r) from $E_v$ and Dynamic modulus are 0.502~0.847, different estimated by calculate method, as it were, when calculate $E_v$, least square method are appeared more accuracy than gradient of secant.

여러가지 다짐 평가장비의 적용성을 위한 실내시험 (Laboratory Tests for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Testing Devices for Measuring Degree of Compaction)

  • 유완규;임남규;김병일;김주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178-1187
    • /
    • 2008
  • Quality assurance for embankment compaction is one of very important procedures to guarantee high quality construction. However, only sand replacement method (KS F2312) and static plate load test (KS F2310) which are conventional and tiresome methods are used to evaluate degree of compaction at construction fields. Recently, new types of devices such as the geogauge and the light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LFWD), the soil impact hammer (CASPFOL) and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etc. which are able to substitute for the conventional methods are begun to use to evaluate soil stiffness. In this study, a laboratory model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correlations among test results obtained from the new devices and to assess the potential use of them. All test results have correlations with relative density and water content. Especially,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E_G$ from the geogauge and $K_{30'}$ from the soil impact hammer and between $E_G$ from the geogauge and $E_{LFWD}$ from LFWD are more than 0.7 but those between the results from DCP and others are less than those between $E_{G{\cdot}}$ and $K_{30'}$ and $E_G$ and $E_{LFWD}$.

  • PDF

새로운 다짐도 평가기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New Degree of Compaction Evaluation Method)

  • 박근보;김주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5-14
    • /
    • 2012
  • 현장 다짐기에 가속도계를 이용한 연속다짐 평가장치를 부착하여 얻은 지반의 지지력 평가값 및 기존의 다짐도 평가장치의 결과 값들을 회귀분석하여 비교하였다. 회귀분석 평가 결과, 특정 성토재료에서 Geogauge와 동적콘관입시험은 기존 다짐도 평가(평판재하시험 및 다짐도시험) 결과와의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MV를 이용한 평가법이 기존 다짐도 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짐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속도계를 이용한 CMV는 다져진 지반의 강성 특성을 빠르고 편리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러 가지 다짐평가 장비의 적용성에 대한 모형 시험 (Model Tests for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Testing Devices for Measuring Degree of Compaction)

  • 백인철;유완규;김병일;김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52-1158
    • /
    • 2007
  • 현재 미국, 유럽, 일본 등을 중심으로 기존의 다짐평가시험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다짐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장비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이러한 다짐평가장비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모형지반에서 진동핸드로울러를 이용하여 다짐을 실시하고 기존 다짐평가 방법인 들밀도시험결과와 새로운 다짐평가장비인 지오게이지(geogauge), 간이지지력측정기(CASPFOL), 동평판재하시험기(LFWD), 동적콘관입시험기(DCP)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시험장비간 상관성 평가를 수행 하였다. 그 결과 상관계수는 $70{\sim}95%$로 대부분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양한 지반강성 평가장치를 이용한 현장 다짐도 예비 평가 (Evaluation of Various Soil Stiffness Test Equipments as Construction Control Tools)

  • 김주형;유완규;김병일;채광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636-6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오게이지, 동평판재하시험기 그리고 간이지지력시험기 등과 같은 지반강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시험장치와 현장 다짐도 측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평판재하시험을 다짐횟수, 함수비 그리고 다짐층 두께 등을 변화해 가면서 현장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잠정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 지오게이지와 동평판재하시험기 그리고 간이지지력 시험기에서 측정된 결과는 모두 다짐도 증가에 따른 지반 강성 증가 현상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함수비에 따른 지반강성 증감 현상은 지오게이지와 간이지지력시험 결과에서만 일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동평판재하시험이나 기준 시험인 평판재하시험은 함수비 증감에 따라 지반강성 증감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 다짐충 두께 변화에 따른 지반강성도 평가시험 결과 본 시험에서 수행한 지오게이지, 동평판재하시험, 간이지지력 시험은 물론 기준시험인 평판재하시험의 경우에도 일정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고 신속한 시험이 가능한 다양한 지반강성평가 시험장치를 이용해 현장에서 다양한 조건의 지반에 대해 다짐도 평가 시험을 수행한 결과, 함수비 및 다짐두께가 일정한 경우 다짐횟수 증가에 따라 모든 시험 결과가 지반강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다양한 지반조건에 대해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여 다짐도 및 지반강성도의 연관성에 대한 자료가 축적된다면, 본 시험에서 수행한 시험방법으로도 현장 다짐도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동평판 재하시험을 이용한 정적 및 동적 변형계수 비교 (A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Deformation Modulus by Dynamic Plate Test)

  • 박용부;정형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335-342
    • /
    • 2003
  • 지반 변형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중에서 원위치 시험법은 반력으로 대형 장비가 필요하고 많은 측정시간이 소요되므로 시험횟수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고 보다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비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즉, Falling Weight Deflectometer(FWD), Light Drop Weight Tester(LDWT), Geogauge등이 있다. 이중에서 Light Drop Weight Tester(LDWT)는 경부 고속철도 공사에 ‘철도공사를 위한 경량 낙하 시험기’라는 명칭으로 적용된 이래로 여러 기관에 도입되어 노반의 품질관리 및 성토관리용으로 국내 조건에 맞는 기준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지반변형계수를 쉽게 측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독일 Stendal의 동적 평판 재하시험 장비(Light Drop Weight Tester(LDWT))인 ZFG 02를 이용하여 현장과 토조에서 동적변형계수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지반에서 실시한 평판재하시험 결과에 의한 정적 변형계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속 다짐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Intelligent Compaction Evaluation)

  • 박근보;김주형;조삼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722-729
    • /
    • 2010
  •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development for degree of compaction for intelligent compaction. In practice, any direct or indirect method can be used as a intelligent compaction method. A series of field tests was conducted using an accelerometer. This is quick and simple indirect methods of measuring soil stiffness. Each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a plate load test. A prototype device for intelligent compaction was developed, and we evaluated its performance.

  • PDF

현장시험을 통한 다양한 지반강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Various Soil Stiffness Evaluation Methods with Field Test)

  • 유완규;김병일;김주형;박근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73-1380
    • /
    • 2010
  • 현재 우리나라의 다짐관리와 평가에는 주로 평판재하시험, 현장에서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럽, 미국 등을 중심으로 연속다짐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새로운 다짐평가장비인 지오게이지, 동평판재하시험기, 동적콘관입시험기 등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다짐평가장비들을 기존 다짐평가방법을 보완, 대체할 수 있는 시험방법으로 활용하고자 시험성토를 통하여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속다짐평가 장비인 컴팩토미터와 동평판재하시험기의 경우 기존 다짐도 평가 방법인 평판재하시험, 현장들밀도시험결과와 경향이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판재하시험과 다양한 다짐시험 장비를 활용한 지반계수 추정방안 (Estimation of Ground Coefficient according to PBT and Various Compaction Test Devices)

  • 박병현;이준헌;채창우;이주형;이명구;최영철;송창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747-75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improve the technology by various testing devices for measuring degree of compaction. The methods for quality control for compaction are very various. But, normally the specifications have provided PBT(Plate Bearing Test) method when inspector tested quality control. In spite of the PBT has a few weak points to reduce process and cost. In order to improve quality control method, analyzed in-situ test results between PBT and other devices.(LWDT and Geogauge).

  • PDF

진동주파수 해석을 통한 지반강성 평가방법 (Soil Stiffness Evaluation using Vibration Frequency)

  • 김주형;유완규;김병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987-99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반 반발력을 측정하는 상용 컴팩토미터와 일반가속도계에서 얻은 진동가속도를 분석하여 도출한 다양한 다짐도 평가 값 (CMV-A, CCV1, CCV2, PWRI)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모형시험지반의 자연함수비는 최적함수비 보다 약 20%가량 커 기존 다짐도 평가방법인 들밀도시험으로 구한 건 조단위중량이 다짐횟수의 증가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나타나 잘 다져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오게이지와 동평판재하시험으로 구한 강성계수 $E_G$, $E_{LFWD}$ 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진동가속도에 대한 주파수 분석으로 구한 다양한 다짐도 평가 값과 컴팩토미터에서 얻은 CMV-C 값 모두 들밀도시험, 지오게이지, 동평판재하시험 그리고 동적콘관입시험 결과와 동일하게 다짐횟수 증가에 크게 상관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다양한 지반조건에 대한 시험 결과를 축적, 분석하여 기존 다짐도 평가방법과의 정량적 상관관계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