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topographical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 - 지형(地形) 및 지질특성(地質特性)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Ge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

  • 박재현;최경;배종순;마호섭;이종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29-134
    • /
    • 2005
  • 이 연구는 김해시 상동면 매리 산사태지 1.5 ha에서의 발생특성 및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한 것으로써 지형 및 지질적인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의 모암은 섬록암이며, 상부사면 및 주변은 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너덜(Talus)이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산사태는 2004년 4월 19일에 발생되었으며, 산사태 발생 전 3일 동안의 연속강우량은 74 mm이었으나, 강우가 직접적인 영향이라기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지역 땅밀림 산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깊게 형성된 붕적토층과 풍화토층 등 지질 지형적인 특성과 사면하단부 절취라 판단된다. 이 지역의 산사태 유형은 지하수에 의한 요(凹)지형 붕적토 땅밀림형 산사태에 해당한다.

기하학적 형상 및 지형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암반사면 안정성 평가항목의 유효성 평가 (Effectiveness Estimation of Rock Slope Stability Evaluation Items for Geometrical Configuration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 이용희;김종열;이진수;강권수;김낙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61-69
    • /
    • 2008
  • 일반적으로 암반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평사투영해석, 한계평형해석, 수치해석, 안정성 평가표에 의한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안정성 평가표에 의한 방법은 평가법의 제안기관이나 자국의 특성에 따라 그 평가항목이 상이하며, 또한 안정성 평가표상의 개개의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15개소의 고속도로 암반사면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암반사면의 안정성 평가항목중 기하학적 형상(사면높이, 사면경사 및 경사방향, 주불연속면의 경사 및 경사방향, 사면과 주불연속면의 방향차이) 및 지형학적 특성(지형의 집수가능성, 상부자연사면 경사, 사면형상)에 대한 이상치(abnormal value) 분석을 통하여 암반사면 안정성 평가항목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 PDF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I) - 발생원인(發生原因)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Cause of Landslide -)

  • 박재현;최경;배종순;마호섭;이종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43-251
    • /
    • 2005
  • 이 연구는 김해시 상동면 매리 산사태지의 발생특성을 밝히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본보에서는 강수량 및 지형, 지질적인 요인을 조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 지역의 산사태 발생의 주된 원인은 지형, 지질적인 요인이다. 지형적으로 지표수가 침투되기 쉽게 너덜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산록부 하장사면의 요(凹)부는 붕적토층과 풍화토층이 깊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붕적토층 내에는 직경 10~100 cm 정도의 원마도가 매우 불량한 자갈 및 전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강우시 침식이 용이하다. 또한, 지하수위 상승에 의해서도 산사태가 발생하었다. 즉, 산정상부의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가깝고 산 하부에서 깊게 분포하는 등 지형 및 지질적 특성으로 인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여 산사태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강우로 인한 상부 너덜지대에서 많은 지표수가 침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붕적층에 대한 지하수 배제시설이 미비되어 산사태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geo-hazards triggered by the 5.12 Wenchuan Earthquake in China

  • Runqiu, Huang;Weile, Li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225-1234
    • /
    • 2009
  • As the Wenchuan Earthquake was of high magnitude and shallow seismic focus, it caused great damage and serious geo-hazards. By the field investigation and remote-sensing interpretation after the earthquake and by using means of GIS, the distribution of geo-hazards triggered by the earthquake was analyzed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earthquake geo-hazards showed the feature of zonal distribution along the earthquake fault zone and linear distribution along the rivers; (2) the distribution of earthquake geo-hazards had a marked hanging wall effect, for the development density of geo-hazards in the hanging wall of earthquake fault was obviously higher than that in the foot wall and the width of strong development zone in the hanging wall was about 10 km; (3) the topographical slope was a main factor which controlled the development of earthquake geo-hazards and a vast majority of geo-hazards were distributed on the slopes of 20 to 50 degrees; (4) the earthquake geo-hazards had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the elevation and micro-landform, for most hazards happened in the river valleys and canyon sections below the elevation of 1500 to 2000 m, particularly in the upper segment of canyon sections (namely, the turning point from the dale to the canyon). Thin ridge, isolated or full-face space mountains were most sensitive to the seismic wave, and had a striking amplifying effect. In these areas, collapses and landslides were most likely to develop; (5) the study also showed that different lithologies determined the types of geo-hazards, and usually, landslides occurred in soft rocks, while collapses occurred in hard rocks.

  • PDF

기상과 지형자료를 통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기법 개발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Developing Forecast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Area by Integrat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nd Topographical Data -A Case Study of Uljin Area-)

  • 조명희;조윤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
    • /
    • 2009
  • 최근 대규모 산사태, 산불등과 같은 산림재해로 인한 산림환경 훼손은 산림 농가 피해뿐만 아니라 산림생태계에도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매우 민감한 환경문제로서 국민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여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형 GIS 자료와 위성영상자료에 기반을 둔 주제도뿐만 아니라 산사태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강우량 자료를 고려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지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지형자료와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고 GIS 중첩분석을 통하여 평가기준을 검토 한 후 산사태 발생가능 위험지역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아울러 고해상 위성영상 자료에서 획득한 산사태 피해 지역과의 가시적 비교를 통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지 예측 방법 기술을 확보 하였다.

  • PDF

지형분할 격자크기에 따른 토석류 흐름 특성 (Characterization of Debris Flow at Various Topographical Division Sizes)

  • 진현우;황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55
    • /
    • 2015
  • 토석류가 발생할 때는 강우패턴, 강우강도 및 해석을 위한 지형여건에 따라 토석류의 발생량과 흐름의 속도가 달라진다. 지형여건의 고려는 일정규모의 격자로 지형을 구분하고 구분된 격자 내의 지형경사는 평균경사로 가정하여 계산하므로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는 분할되는 격자를 세분할수록 실제와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해석알고리즘 및 컴퓨터 계산능력, 해석수행 시간 등의 한계로 인해 지형분할 격자를 상당히 크게 구분하여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토석류 해석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지형구분 격자크기를 가급적 작게 하여야 하므로, 실무적 접근을 위한 적절한 격자규모의 제안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었던 누가 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및 선행 강우량 등의 강우 특성 이외에 지형분할 격자크기가 토석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로부터 합리적이고 현실성 있는 지형분할규모를 제시하였다.

DOES LACK OF TOPOGRAPHIC MAPS LIMIT GEO-SPATIAL HYDROLOGY ANALYSYS?

  • Gangodagamage, Chandana;Flugel, Wolfgang;Turrel, Dr.Hag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2-84
    • /
    • 2003
  • Watershed boundaries and flow paths within the watershed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quired in watershed analysis. Most often the derivation of watershed boundaries and stream network and flow paths is based on topographical maps but spatial variation of flow direction is not clearly understandable using this method. Water resources projects currently use 1: 50, 000-scale ground survey or aerial photography-based topographical maps to derive watershed boundary and stream network. In basins, where these maps are not available or not accessible it creates a real barrier to watershed geo-spatial analysis. Such situations require the use of global datasets, like GTOPO30. Global data sets like ETOPO5, GTOPO30 are the only data sets, which can be used to derive basin boundaries and stream network and other terrain variations like slope aspects and flow direction and flow accumulation of the watershed in the absence of topographic maps. Approximately 1-km grid-based GTOPO 30 data sets can derive better outputs for larger basins, but they fail in flat areas like the Karkheh basin in Iran and the Amudarya in Uzbekistan. A new window in geo-spatial hydrology has opened after the launching of the space-borne satellite stereo pair of the Terra ASTER sensor. ASTER data sets are available at very low cost for most areas of the world and global coverage is expected within the next four years. The DEM generated from ASTER data has a reasonably good accuracy,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for hydrology application, even in small basin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use of stereo pairs in the generation of ASTER DEMs, the application of ASTER DEM for watershed boundary delineation, sub-watershed delinea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drainage flow paths in irrigation command areas. All the ASTER derived products were compared with GTOPO and 1:50,000-based topographic map products and this comparison showed that ASTER stereo pairs can derive very good data sets for all the basins with good spatial variation, which are equal in quality to 1:50,000 scale maps-based products.

  • PDF

2차원 연성모델을 적용한 불투과성 잠제 전면의 국부세굴 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Local Scour in Front of Impermeable Submerged Breakwater Using 2-D Coupled Hydro-morphodynamic Model)

  • 이우동;이재철;진동환;허동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84-497
    • /
    • 2016
  •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ography change in front of an impermeable breakwater, a coupled model for a two-way analysis of the existing LES-WASS-2D and newly developed morphodynamic model was suggested. A comparison to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he results computed using the 2-D hydro-morphodynamic model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wave form, pore water pressure in the seabed, and topographical change in front of a submerged breakwater. It was shown that the two-way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applicable to a morphological change in the seabed around a submerged breakwater. Then, using the numerical results, the topographical changes in front of an impermeable submerged breakwater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partial standing waves.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cour depths in front of them are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incident wave conditions, sediment qualities, and submerged breakwater shapes.

지형공간정보체계와 범용토양유실방정식을 이용한 유역의 토양유실 예측 (Prediction of Soil Loss in Watershed using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양인태;신계종;김동문;유영걸
    • 산업기술연구
    • /
    • 제19권
    • /
    • pp.147-154
    • /
    • 1999
  • The soil loss by rainfalls or runoffs has been one of the main environment problems in 20th century. The soil loss cause the various problems those are decreasing of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desolating of pasture land and disturbing of water flow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properly various factors those are affecting to soil loss and to recognize a seriousness of soil loss problem. In this study, we use the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s a basic approaching way for soil loss analysis in a watershed, and the GS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echnique is applied to evaluate for factors those are related to the US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sted of three parts those are to build up the various topographical information that is needed for analysis of wide area soil loss by using the USLE, to evaluate the factors those are needed to the USLE, to estimate the soil loss condition of subbasin in the watershed.

  • PDF

지리공간자료의 경제적 갱신과 교환체계를 위한 모형개발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Developing Framework Model for Economic Renewal and Exchange of Geo-Spatial Data -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 남형근;사공호상;엄정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8-154
    • /
    • 2008
  • 1996년부터 3단계 국가GIS 5개년 계획이 시행되고 있는 현재까지 지리정보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그 기술의 근간이 되는 지리공간자료의 최신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지리공간자료(수치지형도, 수치주제도)와 관련된 업무는 지형지물의 변화 발생에서 부터 자료수집, DB 구축, 유통, 공유 등 모두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개별구조를 하나의 흐름으로 연계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업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관성 있는 모형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지리공간자료의 경제적 갱신과 교환 방안을 제시하고, 기존의 업무수행 절차와 비교하여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