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Cause of Landslide -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I) - 발생원인(發生原因)을 중심(中心)으로 -

  • Park, Jae-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Jin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Kyung (Korean Society of Forest Environmental Research) ;
  • Bae, Jong Soon (Dept. of Civil Eng., Division of Construction Eng., College of Eng.,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Gyeongsan National University) ;
  • Ma, Ho-Seop (Division of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Hak (Ubi System)
  • 박재현 (진주산업대학교) ;
  • 최경 (한국산지환경조사연구회) ;
  • 배종순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토목공학과, 경상대학교 공학연구원) ;
  • 마호섭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 이종학 (유비시스템)
  • Received : 2005.04.11
  • Accepted : 2005.05.09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recipitation,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factors from the landslide area occurred in Maeri, Sangdong-myeon, Gimhaesi, Gyeongsangnam-do. The landslide was affected by geo-topographical factors. Talus which is infiltrated easily by runoff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landslide area. Concave areas on back- and toe-slope were built up colluvial materials and weathered soils. The colluvial materials were consisted of less weathered pebbles and stones (diameter: 10~100 cm) which are easily infiltrated during rainfall events. Also the landslide was mainly affected by an ascending of ground water table which is low in summit and high in toe-slope due to ge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area.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the landslide was a lacking of drainage system of ground water despite the high infiltration rates of ground water in talus area during rainfall events.

이 연구는 김해시 상동면 매리 산사태지의 발생특성을 밝히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본보에서는 강수량 및 지형, 지질적인 요인을 조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 지역의 산사태 발생의 주된 원인은 지형, 지질적인 요인이다. 지형적으로 지표수가 침투되기 쉽게 너덜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산록부 하장사면의 요(凹)부는 붕적토층과 풍화토층이 깊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붕적토층 내에는 직경 10~100 cm 정도의 원마도가 매우 불량한 자갈 및 전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강우시 침식이 용이하다. 또한, 지하수위 상승에 의해서도 산사태가 발생하었다. 즉, 산정상부의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가깝고 산 하부에서 깊게 분포하는 등 지형 및 지질적 특성으로 인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여 산사태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강우로 인한 상부 너덜지대에서 많은 지표수가 침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붕적층에 대한 지하수 배제시설이 미비되어 산사태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03. 산사태 발생원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산림청. 563pp
  2. 기상청 . 2004. 강우자료. http://www.kma.go.kr/index.jsp
  3. 朴在鉉, 崔敬, 李壽坤, 麻鎬燮, 李宗學, 禹保命 2003. 內三里 땅밀림형 山沙汰의 發生特性에 관한 分析 (I) -地形및 地質特性을 中心으로-. 한국임학회지 92(3) : 246-253
  4. 朴在鉉, 崔敬, 裵鍾淳, 麻鎬燮, 李宗學 2005 매리 땅밀림형 山沙汰의 發生特性에 관한 分析 (I) - 地形 및 地質特性을 中心으로-. 한국임학회지 94(2) : 인쇄중
  5. 우보명, 박재현, 최형태, 전기성, 김경훈. 1996a. 휴석동 땅미끄러짐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I) - 땅미끄러짐 산사태지구의 지형 및 지표층위특성. 한국임학회지. 85(4) : 565-570
  6. 우보명, 박재현, 최형태, 전기성, 김경훈. 1996b. 휴석동 땅미끄러짐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II) - 땅미끄러짐 산사태지구의 지질 및 수문특성. 한국임학회지. 85(4) : 571-576
  7. 이영남. 1991. 산사태(지반공학과 자연재해 II). 대한토질공학회지. 7(1) : 105-113
  8. 임업연구원. 2003. 산지개발에 따른 산사태 발생특성 및 산지토사재해 예지 시스템 개발. 농림부. 306pp
  9. 전성기. 2001. 실무자를 위한 사면안정화 설계실무편람. 과학기술. 278pp
  10. 최 경. 2001.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 방재연구 3(4): 15-27
  11. 池谷浩. 2004 土石流災害. 岩波新書. 222p
  12. 廣住富夫, 阿部宗平, 野田猛, 瀬戸俊彦. 1990. トウマングン(インドネシア)の地すべり災害. 新砂防 42(6) : 57-59
  13. 久保同宏. 1985. 平谷地すべり地内における水路工の破壊 の現況と補修. 治山林道研究發表論文集 20 : 203-209
  14. 矢野 勝. 1983. 小豆島當賓地區北原地すべり. 治山林道研究發表論文集18: 200-203
  15. 中村俊彦. 1981. 地すべり發生豫知についての研究(I). 治山I林道研究發表論文集 16: 162-163
  16. 土木施設防災工法研究會. 1984. のり面及ぴ斜面災害復舊工法. 山海堂
  17. Varnes, D. J. 1984. Landslide hazard zonation: A review of principle and practic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pp. 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