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ional conflic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청년세대의 연령주의 유형화 및 연령주의 유형과 세대갈등·노인복지정책 인식의 관계 (Identifying subgroups of ageism among young adults, and its relationship to perceptions of generational conflict and elderly welfare policy)

  • 이선희;김미리;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25-846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의 20~39세 청년층을 중심으로 연령주의 유형을 파악하고, 나아가 이 유형이 세대간 갈등 및 노인복지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8년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에서 수행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년층의 연령주의 유형을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교차분석 등을 통해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령주의 유형이 세대간 갈등 및 노인복지정책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년층의 연령주의 유형은 '노화인식 양가감정·적극적 노인차별형', '노화불안 중수준·소극적 노인차별형', '노화불안 저수준·탈 노인차별형'이 도출되었다. 연령주의 유형은 세대갈등 인식 및 노인복지정책 인식에 있어 공통적 영향요인이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노인복지정책 인식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 통합 구현을 위해 노화인식에 대한 교육 활성화 및 세대간 통합을 위한 교류 확대, 세대간 상생을 위한 사회분위기 쇄신 등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조부모와의 세대차이에 관한연구: 미국 이민 가족 내의 한국청소년과 미국청소년간의 비교연구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their Perceptions of Generational Gap between their grandparents and themselv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American and American Adolescents)

  • 김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4호
    • /
    • pp.65-80
    • /
    • 1997
  • Korean-American and American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OP Scale) and their perception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GN GAP) were compared to fi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ace. Adolescents' perceived generational gap wa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their attitudinal differences. Adolescents regardless of face showed a somewhat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they perceived generational gap a little positively. Adolescents' age and sex were found not to be related with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generational gap. For the Korean-Americans birth-orde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generational gap percepti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grandparents was the crucial factor influencing adolescents' perceptions on generational gap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directly. Grandparents' health and age affected 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 Additionally adolescents' favorite g andparent was found to be maternal grandmother and their relation style and conflict area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ace.

  • PDF

세대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tudy of Generations)

  • 박재홍
    • 한국인구학
    • /
    • 제24권2호
    • /
    • pp.47-78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세대 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들을 만하임의 시각을 중심으로 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함에 있다. 여기에서 검토할 쟁점들은 1) 세대의 개념, 2) 세대 형성의 기반, 3) 세대의 내적 분화, 4) 세대간 경계선 설정의 문제, 5) 세대차이와 세대갈등 개념에 관련된 쟁점 등이다. 이러한 쟁점들의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세대문제에 관한 만하임의 개념과 이론이 매우 유용하고 지식사회학적인 통찰력이 돋보인다는 점이다. 둘째, 그의 이론이 사회운동을 설명하기에는 적절하지만 그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세대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개념과 이론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만하임의 이론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 새로이 제시한 점은 1) 세대의 보다 일반적 수준에서의 개념화, 2) 세대내 분파 개념의 도입, 3) 세대차이·세대갈등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개념적 이해의 필요성 제시, 4) 현재적-잠재적 세대갈등의 개념 구분 등이다.

  • PDF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Public Perceptions of Aging Korean Societ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 정순둘;정윤경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41-557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가치체계와 세대차이의 맥락 속에서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을 대상으로 할당표집을 통해 추출된 20세 이상 성인남녀 1,498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령화 사회 인식의 8개 영역 중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영역은 세 개 이하였다. 노화에 대한 지식, 부양인식, 노후불안, 세대 갈등으로 측정된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변수들 중, 노후에 대한 불안이 모든 연령 집단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65세 이상 연령 집단이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이 20~44세, 45~64세 집단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대갈등 변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대 갈등적인 인식은 20~44세와 45~64세 집단들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나 65세 이상 집단에서는 두 요인 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의 고령화 사회 인식의 전환의 방향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호텔기업의 조직문화와 세대 갈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M세대, Z세대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gener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tel companies : Focusing on M Generation and Z Generation Differences)

  • 김명용;심주리;강정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43-650
    • /
    • 2024
  • 현재 한국은 구인난과 구직난이 공존하는 모순된 상황을 겪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퇴직자들은 상사/동료와의 갈등과 조직문화 불만족을 가장 큰 퇴사원인으로 삼고 있으며, 이는 특히 MZ세대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학자들은 MZ세대의 조직문화와 다른 변수간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선행연구들을 진행하여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MZ세대를 하나의 그룹으로 보는 MZ세대론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두 세대를 구분하여야 한다는 실무자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텔기업 종사원을 M세대와 Z세대로 구분하여 두 집단간 변수간 영향관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세대 170명, Z세대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AMOS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세대에게 위계지향문화와 세대갈등이 유의한정의 관계에 있으며, 세대갈등은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세대는 관계지향문화가 세대갈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Z세대에서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과 같은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M세대와 Z세대간 영향관계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가족돌봄기능과 관련된 세대갈등 가능성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Possibility of Generational Conflicts Related to Family Care-giving Functions)

  • 차성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4호
    • /
    • pp.111-13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enerational conflicts around adult children's taking care of elderly parents and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responsibility of the parents' generation is much more intense than that of the parent care responsibility of the children's generation. Second, the norm of parent care has changed from be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eldest son to being the responsibility of all of the children, which had led to an increased probability of conflict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due to the differences in expectation and reward. Third, the bilateralization of the kinship increases the responsibility of women in taking care of their familie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conflict among women of different generations. Finally, the generational conflicts related to family care appear across different social classes.

조직 내 세대차이 극복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에 관한 연구 - LX하우시스 세대공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Overcom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Organizations - Focusing on LX Hausys Generation Empathy Program)

  • 김성건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1-122
    • /
    • 2022
  • Many companies are now studying these generational conflict issues and seeking countermeasures. As seen in the recent performance-based pay issue, the MZ generation is boldly showing their intention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study focuses on LX Hausys' education program to overcome the generation gap. As a representative field education program of LXHausys, it is a longevity education program that was developed and operated at the end of 14 years and has been in operation so far. By acknowledging and understanding the generation gap through this educational program, it was possible to see that they could sympathize and accept each other one step further, and that trust in each other was formed on the basis of it. The success factors of the generation empathy program were identified as the willingness to share perception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active participation of members, and overcoming generation empathy. Through such education, the organization should continuously raise the issue of generational empathy and allow members to recognize it as an object to overcome. To this end, efforts should be made to overcome generational differences.

Ordinary People's Tragedy: Comparative Study of Plays of Arthur Miller and Beomsuk Cha

  • Lee, Yong-Hee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1호
    • /
    • pp.67-85
    • /
    • 2007
  • The main concern of the study is the playwrights' perspectives to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rather than specific cultural or social circumstances. This study is justified in that the similarities of both playwrights not only provide an opportunity to bridge two different cultures, but they also help readers understand another culture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ir own culture in the map of international literature. In their plays, both Miller and Cha express an individual's or a family's frustration, conflict, pleasure, and hope as reflected in the social circumstances. The characters take ideas and values from their social world and thrive or fail. Specifically, I have focused on three elements--obsession, generational value systems, and alienation. With three common features, I examine how closely Miller and Cha deal with ordinary people's tragedies.

  • PDF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Integration in family)

  • 남순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2호
    • /
    • pp.1-15
    • /
    • 2004
  • 최근 급변하는 사회현상들로 인한 다양한 가족유형들은 가족에 대한 개념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가족내 세대간 가치차이를 야기하며, 가족갈등이나 사회문제로 파생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다양화, 다각화로 변모하고 있는 사회현상으로 인한 가족내 변화에 따른 가족내 세대간의 문제를 다루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사회의 가족구조적인 변화가 가족내 어떤 기능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들을 촉구하고 있었다. 첫째, 가족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변화이고, 둘째, 가족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애정, 보살핌과 같은 관계적 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속성의 요구이며, 셋째, 형식적 관계에서 벗어나 실질적 관계로의 전환, 및 마지막으로, 보다 명료한 의사소통망의 활용이었다. 또한 가족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른 부모-자녀관계의 상호작용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탐색해본 결과, 첫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족유형의 가변성을 수용하고, 변화하는 가족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여야 하며, 둘째, 각 세대가 지니고 있는 상호교환적인 가치를 수용하여 세대간 관계적 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셋째, 효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했다. 즉 가족기능의 세대간 전수는 가계와 가문형성의 근원이 될 수 있지만, 세대간의 상호작용없이 불가능하다.

  • PDF

분노조절문제를 가진 아동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Family Therapy for a Child with Anger Controling Problem)

  • 박태영;유진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119-133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nger of chil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nger of child, the therapeutic techniques of therapist to resolve the marital conflict as well as the anger of child and the changes of family members after getting family therapy. The data was consisted of recording transcripts and note-taking of 8 sessions family therapy. The study used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nd Miles & Huberman's matrix and network display as analysis method. The anger of child included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 temperament, fear, anxiety, and negligence of rule. The study revealed parental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and parental experiences from family of origin as factors influencing the anger of child. The study found therapist's self-disclosure, sharing and comparing with similar cases, explanation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explanation about similarity in 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and suggestion of new solutions as therapeutic techniques.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e alleviation of marital conflict, the amelioration in the anger of child, and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s of family members after getting family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