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creativity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4초

여성 의류 시장에서 레깅스패션 상품의 마케팅 활성화 전략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of Marketing Activation Strategy of Leggings Fashion Product in Women's Clothing Market)

  • 이현창;진찬용;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45-350
    • /
    • 2014
  • 경제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의 자기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그중에 특히 여성 의류시장에서 패션에 대한 관심은 매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으로써 여성들의 패션 마케팅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만큼 여성 패션 시장이 확대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패션 시장을 중심으로 여성 패션에 대한 마케팅 활성화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전략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략에 따른 구축 사례를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여성 패션 활성화 전략을 통해서 여성패션 마케팅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술영재성의 의미와 특성: 음악, 전통예술, 발레 분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ceptions of Giftedness in Arts)

  • 원영실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919-945
    • /
    • 2013
  • 영재성의 의미와 특성 탐색은 후속되는 영재 판별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즉, 체계와 내실을 갖춘 영재교육의 운영을 위해서는 특정 영재성의 의미와 세부 특성에 관한 분석이 우선적 과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예술영재성의 범주에 속하는 음악 및 전통예술, 발레 영재성 관련 국내외 문헌 및 사례를 중심으로 각 영재성의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고 비판적 시각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 결과, 음악 및 전통예술(전통음악, 전통무용, 연희), 발레 분야 영재성의 심리학적 구인과 세부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 영역 특성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예술영재가 지닌 내재적 특성 요인과 외재적 조건 요인을 수렴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예술영재성에 관한 논의 및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우리나라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임원 특성과 경영 함의점 (Executives' Characteristics and Their Management Implications in Korean Entertainment Companies)

  • 김정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77-89
    • /
    • 2019
  • 한류열풍이후 급성장한 우리나라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경영을 이끌어온 임원들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어떤 경영 함의점을 추론할 수 있을까?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 엔터테인먼트 업종의 27개 상장사 임원 293명을 전수 조사해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티스트 주변의 제한된 인력에서 벗어나 경영인, IT 전문가, 회계사, 변호사, 아티스트 순으로 직업 경로별 인적 다양성이 높아졌다. 대표이사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한 회사도 전체의 33%였다. 이는 지속가능 경영의 맥락인 전문화, 투명 경영, 디지털과 네트워크 경영, 창의 경영, 동기촉진 경영을 하기 위해 기업이 노력해왔다는 점을 암시하는 데이터로 긍정적 측면이다. 그러나 전형적인 지식창조 기업인 엔터테인먼트 기업에서 창의성, 감수성, 진취성, 역동성과 같은 장점을 발휘하기 쉬운 20~30대 젊은 층과 여성의 임원 비율이 낮고 대표이사(CEO)의 평균 재임기간이 4.02년으로 비교적 길지 않은 것은 향후 개선 과제로 지적되었다.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과 임용의 실태 및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이 제안한 개선 방안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양찬호;곽영순;한재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45-35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전국 사범대학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 및 공통과학 교사의 임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학과에서는 공통과학 복수 전공이 필수가 아니었고, 학과별로 공통과학 교육과정 이수인원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다. 심화과학 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할 때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의 이수가 필수인 학과는 없었으며, 일부 학과만이 과학사와 융합교육, 과학창의성과 융합교육, 통합과학교육의 실제 등과 같은 통합과학적 성격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다.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복수전공 의무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통합과학 관련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통과학 전공 교사임용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공통과학 전공의 임용이 따로 필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화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설계단계별 학교시설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 민간투자사업 대상 학교의 도면 분석을 통하여 - (A Case Study on the Change of Space Organization of School Facilities on the Design Planning Step - By Analyzing on the Plan of Schools by PFI -)

  • 심영주;류호섭
    • 교육시설
    • /
    • 제14권4호
    • /
    • pp.53-65
    • /
    • 2007
  • The pres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rranged form, the number and kinds, the area, the location of the rooms and the variation on exterior designs, based on a layout and a ground plan of each step, which are general plan, VE proposal and the final negotiation, for 11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s that are designed in the way of BTL project. In consequence,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rooms. However, the changes are not exceeding the overall arrangement form. This could not have led to the original aim, which is to induce creativity by PFI. It can be supposed that it is because the BTL system is stick to the old process, the method of financial investment and it is true to say that there needs to be solution for that.

유아의 실내놀이행동 군집에 따른 예측변인 연구 (Clusters of Preschoolers' Play Behaviors)

  • 신나리;이형민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9-94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indoor play behaviors using cluster analyses. Methods: Data from 963 children (age 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phas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ing analyses, F-test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clustering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ive profiles: positive-theme oriented, general-exploratory/manipulative, and negative-exploratory/manipulative groups. Child characteristics, including cognition, language, and social level, and teachers' 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roups in a different way; the clusters were partially different in the gender and creativity of children, interaction level of teachers' interaction, classroom environment, and program types that children attended. Conclusion: Findings revealed three clusters of play behaviors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ecological variables that determined the clusters.

과학기술연구자(科學技術硏究者)의 업무수행도(業務遂行度) 및 생산성(生産性)에 관한 종합적(綜合的) 고찰(考察)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of Researchers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 A Review)

  • 장경;이진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7-69
    • /
    • 1979
  • This review focuses on the individual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of researchers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earchers in the paper a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inventors without organizational affiliation and researchers in the organization, which are distinguished by cosmopolitanic professionals and local institutionalists. The productivity of researchers is in general measured by different indicators or measurement scales such as: i) subjective evaluation of overall research performance, (ii)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reports and books, iii) the quality of research output (e.g. citation frequency), iv) originality of research ouput (e,g, patents), v) multiple measurement scales, etc. According to the literature based on empirical study, the productivity of individual reseacher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freedom, communication, diversity, dedication, and motivation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similarity, and satisfaction. However, other factors such as creativity, age, supervisory behavior and group characteristics have shown irregular direction of correlation.

  • PDF

수학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분석 (Intellectual, Emotional,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최영기;도종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4호
    • /
    • pp.361-372
    • /
    • 2004
  • 수학영재학생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잠재적 재능을 최대한 발현하도륵 교육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그들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구체적이고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수학영재교육의 행정적, 제도적 시행을 위해서는 수학영재학생들의 특성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실증적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5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분과에 소속된 학생들을 중심으로 실제 증명 사례, 수학적 성향 특성 검사, 사회적응 설문, 그리고 Torrance 창의성 검사(그림) 등을 통하여 수학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을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들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mart Work Centers in Korea

  • Koo, Sanghoe;Lee, Hyunhee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167-174
    • /
    • 2014
  • Smart Work is a way of working independent of time and space restrictions with the help of ICT. For past years, Korea has been promoting Smart Work to boost ICT industry, to overcome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ageing, and to implement Smart Korea. Three elements of Smart Work include people, technology and space. A lot of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people and technology for Smart Work. But it is hard to find research on space. In this paper, some representative smart work centers(SWCs)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design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personal spaces, group spaces, and support spaces. From this research, it is observed that current SWCs in Korea are good in providing personal work spaces and simple group meeting rooms as well as ICT environments. However, they lack of openness to the public and group spaces to encourage informal communications. It is also observed that personal space plans need to be multi-functional, and that novel supporting spaces are requir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creativity of workers.

트리즈의 모순분석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실습과정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TRIZ Contradiction Analysis)

  • 김태운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39-45
    • /
    • 2015
  • Many methods have been suggested for a creative problem solving approach. TRIZ approach is ranked top in its practical application because it is originated from the real patent analysis. This approach is assumed to be generic which can be applied to any types of problems regardless of problem type and its dom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reative problem solving approach using TRIZ's contradiction analysis, then introduce a case study of applying this approach to a creative design coursework. Main topic covers a creative problem solving approach, a problem definition using TRIZ contradiction analysis, finding invention principles, and problem solving from the generic approach. For the course project, Roborobo tool is adopted to implement the design concept. This coursework helps students finding a general problem solving approach, and applying a generic solution for their specific problem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