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ceptions of Giftedness in Arts

예술영재성의 의미와 특성: 음악, 전통예술, 발레 분과를 중심으로

  • Won, YoungSil (Kore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Gifted in Arts)
  • 원영실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12.27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Exploring the conceptions of giftedness in arts is very important as the essential prerequisite to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and 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arts. So I have explored the conceptions of giftedness in western music, korean traditional arts(music, theatricals, dance) and ballet based on the results of various studies and cases. The three fields of performing arts mentioned above are operating in the present field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 have converged three or four factors on main psychological constructs of giftedness in arts. The giftedness in western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composed of three sub-factors: high ability in relevant domain, high creativity in general and specific areas, and high motivation including task commitment. However, the giftedness in traditional theatricals, dance, and ballet consists four sub-factors: the physical condition, high ability in relevant domain, high creativity in a specific area, and high motivation including task commitment.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arts mentioned above can be maximized through supporting external conditions like social environments including family and school, and crucial opportunity to meet the teacher who affects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영재성의 의미와 특성 탐색은 후속되는 영재 판별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즉, 체계와 내실을 갖춘 영재교육의 운영을 위해서는 특정 영재성의 의미와 세부 특성에 관한 분석이 우선적 과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예술영재성의 범주에 속하는 음악 및 전통예술, 발레 영재성 관련 국내외 문헌 및 사례를 중심으로 각 영재성의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고 비판적 시각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 결과, 음악 및 전통예술(전통음악, 전통무용, 연희), 발레 분야 영재성의 심리학적 구인과 세부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 영역 특성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예술영재가 지닌 내재적 특성 요인과 외재적 조건 요인을 수렴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예술영재성에 관한 논의 및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상 (2011). 예술영재교육의 정책과 제도. 예술영재교육 관리자연수(2011) 자료집,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서울: 계문사.
  2. 김기웅,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 (2004). 무용영재 판별도구 개발연구 II.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교육정책과제, 미간행.
  3. 김윤진 (2004). 무용성격 본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 박경빈 (2012). 한국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5. 박진희 (2003). 국내 최고 무용수의 형태학적 특성. 한국체육학회지, 42, 775-788.
  6. 성경희 (1993). 한국에서의 음악영재 발굴과 교육의 방향. 음악인력 양성을 위한 새로운 방향모색,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개소기념 심포지엄 발표자료.
  7. 신혜경, 정진원 (2012). 음악영재교육을 위한 음악창의성 프로그램의 개발. 음악교육연구, 41(1), 25-59.
  8.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 김기웅 (2005). 무용영재성의 요인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4(4), 745-752.
  9. 오레지나 (2009). 무용영재 판별을 위한 실기과제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 1-15.
  10. 원영실 (2009). 국악영재 판별을 위한 가락 및 리듬 인지능력 검사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1. 원영실 (2009). 국악적성검사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낭만음악, 21(3), 135-180.
  12. 원영실 (2010). 음악영재 진단평가 모형 개발-국악 및 서양음악 분야.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 보고서, 서울: 계문사.
  13. 원영실 (2011). 음악(국악)영재 판별을 위한 부모관찰정보지의 문항개발 및 적용. 음악교육연구, 40(1), 241-273.
  14. 원영실 (2011). 음악영재성 선별을 위한 교사관찰정보지의 개발 및 적용. 음악과 문화, 25, 147-176.
  15. 원영실 (2012). 음악(국악)영재성 선별을 위한 부모관찰정보지(OSPG)의 구인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2(1), 61-85.
  16. 원영실 (2012). 공연예술영재성 의미에 대한 심리학적 조명.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 보고서, 서울: 계문사.
  17. 원영실 (2013). 음악(국악)영재성 선별을 위한 교사관찰정보지(OSTG)의 구인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3(1), 1-24.
  18. 이진효 (2011). 무용성향의 본질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 이진효, 김현남 (2011). 무용영재성의 구성요인 및 평가기준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지, 9(2),77-95.
  20. 조은숙 (2003). 발레영재 판별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보고서, 미간행.
  21. 조주현 (2007). 발레영재성 구성요인의 탐색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8(1), 15-31.
  22.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6). 예술영재 교육과정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보고서, 서울: 계문사.
  23.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6). 예술영재교육 발전방향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보고서, 서울: 계문사.
  24.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6). 예술영재교육대상자 선발모형 개발 연구(I).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보고서, 서울: 계문사.
  25.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7). 예술영재교육대상자 선발모형 개발 연구(II).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보고서, 서울: 계문사.
  26.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8). 사례를 통한 전통예술 분야의 영재 개념 및 선발에 관한 기초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보고서, 서울: 계문사.
  27.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0). 무용영재 평가범주 개발.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보고서, 서울: 계문사.
  28. 현경실 (2004). 한국음악적성검사. 서울: 학지사.
  29. 한기순, 양태순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30. Gagne, F. (2003). Transform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In N. Colangelo & C. A. Davis(ed.),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60-74). Boston, MA: Allyn & Bacon.
  31. Gordon. E. (1982). Intermediate Measures of Music Audiation. Chicago: G.I.A. Pub.
  32. Gordon. E. (1986).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Chicago: G.I.A. Pub.
  33. Gordon. E. (1987). The nature, description, measurment, and evaluation of music aptitudes. Chicago: G.I.A. Pub.
  34. Gordon. E. (1989). The Advanced Measures of Music Audiation. Chicago: G.I.A. Pub.
  35. Haroutounian, J. (2002). Kindling the spa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6. McPherson, G. E. (2003). Giftedness and talent. In G. McPherson (Ed.), The child as musician (pp. 239-256).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7.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4, 261.
  38. Seashore. C. E. (1939). Seashore Measures of musical talent. New York: Columbia Phonograph company.
  39. Wing. H. D. (1960). Manual for standardized test of musical intelligence. Windsor: National Foundation Educational Research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