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perspective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8초

남녀 노인의 우울과 소득의 종단적 상호관계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come among Korean Older Men and Women)

  • 이정;전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51-46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incom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Methods: Using 2015 to 2019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we studied 6,070 older adults (2,394 men and 3,676 women) aged 60 years over in 2015.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was employed to explore the effect of an individual income on depression and the reverse causal link-that of depression on income. Results: The study fou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and depression. Incom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Higher-income was linked to decreased risks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ores among older adults (B = - 0.121, p < 0.001). Estimates of the reverse causal link show that higher CES-D scores were also linked to income redu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B = - 0.007, p < 0.001). In addition, we also observed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income on depression but not in the reverse causal link. Income has more detrimental to psychological consequence for older men (B = - 0.108, p < 0.001) than older women (B = - 0.057, p < 0.001). Conclusion: The finding implies that both psychological and social protection policies for the elderly are needed in view of gender perspective.

Chinese Consumers' Intention to Use Re-Commerce Platforms - Perspective Based on the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2) -

  • Yu Sun;Ho Jung Choo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4-40
    • /
    • 2023
  • Contemporary consumers' acceptance of second-hand products has been increasingly improving worldwide, especially in China. Based on the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we developed and empirically validated a research framework to predict consumers' motivation to use re-commerce platforms. We explored the diverse factors influencing mobile commerce usage through re-commerce platforms.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gender differences as a factor moder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veral constructs and the intention to use re-commerce platforms. A total of 226 consumer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edonic motivation, performance expectancy, consumer habits, social influence, and price value affect consumers' attitudes toward re-commerce platforms. The effects of the attitude toward re-commerce platforms on the intention to use these platform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effort expectancy, hedonic motivation, and consumer habits in re-commerce platform usage increase, male consumers' attitude toward its usage, in particular, also increases. Meanwhile, when performance expectancy, hedonic motivation, and consumer habits in re-commerce platform usage increase, the attitude toward its usage increases among female consumers. Moreover,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gender groups present different characteristics regarding re-commerce platform usage. Therefore, this study offers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analyses of second-hand trade.

우리나라 국민연금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Gender Sensitive Anaylsis on National Pension of South Korea)

  • 유지영;성문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1-12
    • /
    • 2013
  • 우리나라의 사회보험제도는 외형상 성중립성 및 보편주의를 지향하는 제도로 확대되어 왔다. 그러나 남성부양자모델에 기초하여 가정 내의 성별분업 및 노동시장의 성차별적 지위를 그대로 반영함으로써 여성들의 종속적 지위를 유지 및 강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면의 한계상 우리나라 사회보험의 대표 격인 국민연금을 성인지적으로 분석한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규정을 보면 남성정규직 임금노동자 중심이어서 정규직 임금노동자로의 진입에 제한받는 여성들을 국민연금에서 배제하거나 주변화 되게 한다. 그리고 여성들의 가사 및 보살핌 노동은 권리자격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성인지적 분석 결과를 기초로 국민연금의 성차별적 속성을 파악하고 이 제도가 보다 성인지적이고 성평등적인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행위자-관찰자 관점에서의 운전분노 차이: 운전 시뮬레이션 연구 (Differences in Driver Anger as a Function of Gender, Driving Experience, and Actor-Observer Perspective: A Driving Simulation Study)

  • 이재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2호
    • /
    • pp.107-1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 위험 운전상황의 유형(성향요인이 강조된 끼어들기 상황 vs. 상황요인이 강조된 급정거 상황), 그리고 운전분노 평정관점(행위자 관점 vs. 관찰자 관점)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분노 수준 차이를 운전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차이를 운전상황 유형이나 운전분노 평정관점을 함께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차이가 각각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행위자-관찰자 효과는 도로여건 등과 같은 상황변인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강조된 급정거 상황보다는 상대운전자의 의도가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조건인 끼어들기 상황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셋째,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 그리고 운전분노 평정관점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살펴본 결과 운전경력이 짧은 여성운전자의 경우 타인의 끼어들기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분노를 경험하는 반면, 자신의 끼어들기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상대운전자가 운전분노를 경험할 것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운전분노에서의 차이가 위험 운전상황의 유형과 행위자- 관찰자 관점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성별에 따른 젠더 관련 이슈 인식 격차 감소를 위한 대학 교육의 필요성: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Reduce the Perception Gap on the Gender-Related Issu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전승봉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09-417
    • /
    • 2023
  • 본 논문의 목적은 K대학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젠더 관련 이슈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대학 교육 체계 내에서의 대응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남성은 여성에 대한 구조적 차별은 존재하지 않고 역으로 남성이 차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이와는 반대되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둘째, 여성의 노력 정도 및 소득이 낮은 이유, 취업 후 업무능력등에 대해서도 남녀는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나타낸다. 셋째, 남성들의 경우 여성에 비해 페미니즘에 대해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넷째, 남성들이 여성 할당제와 페미니즘에 대해 적대적 태도를 보이는 이유로는 남성에게 부과되는 전통적인 성 역할 모델의 영향과 구조적 불평등에 대한 남녀의 관점 차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실 인식의 남녀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고찰,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쟁점 교육, 실수 친화적 공간 마련을 통한 쟁점의 공론화, 그리고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대학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그리스 시대의 남성복과 여성복에 표현된 젠더(gender) 특성 분석 (Analysis on Gender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Male and Female Costume During the Ancient Greek Age)

  • 이명희;최윤미
    • 복식
    • /
    • 제63권4호
    • /
    • pp.84-100
    • /
    • 2013
  • Ancient Greece was a patriarchal society that distinguished gender roles between men and women. Although their costumes were composed of simple rectangular fabric without any technical complications in itself, the Greeks did try to express gender differences in their clothing. The final look of the Greek costume was dependent on the way the cloth draped onto its wearer as well as the wearer's identity. Greeks costume could just be seen as a rectangular fabric when it was not draped on a person's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gender differences were expressed in the ancient Greek drapery costume, which was made by using a completely different technical process, compared with the modern tailored costume. There are four elements of the costume that give the costume its formative shape, which are the wearer's body, the rectangular fabric (material as the first formative costume), the way the fabric is draped, and the final appearance as the second formative costu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rer's body and the costume) and this study analyzes these elements individually.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gender characteristics and how each element appear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ism, an analytical method that considers a phenomenon as a total sum of the element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and representative sculpture, painting and pottery, were used between the Archaic Period (B.C. 800~500) and the Classical Period (B.C. 500~323). The results show that the gender differences appear in each formative element of costume: First, the body was distinguished by the ancient Greek custom. The man's nudity was accepted while the woman's body was concealed. Second, in regards to the first formative costume, which was the rectangular fabric, men's were made with thick high quality wool because their involvement in outdoor activities meant that they needed clothes to stay warm, while the women wore clothes made of thin wool or hemp cloth, because their most of their activities were at home. Third, the way to drape the fabric shows the gender differences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clothing and its design ; men's short khiton was practical for big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clothing exposed the man's body. The woman's doric khiton diversified its decoration by the size of the apotigma and by using the belt. Finally the second formative costume reflected the Greeks' social distinction between a man's body and a woman's body. The man's costume naturally exposed the man's body. On the other hand, the woman's long costume has a variety of shapes on the ground, that concealed her lower body, while the ornamental function was more accentuated than the man's costume. The gender differences expressed in Greek costume fundamentally reflected the point of view of the male and female body and their social roles in society.

초·중·고등학생의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성차 분석 (An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wareness)

  • 김귀식;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105-11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차를 분석하는 것이다. 과연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성차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언제부터 성차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I 광역시 초등학생 198명(여학생 98명, 남학생 100명), 중학생 265명(여학생 166명, 남학생 99명), 고등학생 114명(여학생 58명, 남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성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성차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로 학령이 높아질수록 확고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모든 단계에서 여학생은 아직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성이 그리 높지 않고, 차별 금지에 대한 우려가 남학생에 비해 크며, 예술 등의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인간 영역에의 진입 허용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학령과 성별의 상호 작용 효과는 안정성 및 신뢰성, 그리고 허용과 한계 범주에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인공지능 교육 활동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성차가 생기지 않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양성 평등적으로 접근하는 교육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활용한 수업실태 분석 및 효과 연구 (Studies of the Analysis of Class Condition and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Gender-Sensitive Teaching Strategies)

  • 홍경선;김동익;구수연;안진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34-5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에서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활용한 수업실태를 분석하였고,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공과대학 학생의 수업 만족도와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활용한 수업실태를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항목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편이었다.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 인지적 교수전략을 활용한 수업은 전체 실험집단 공대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험집단 가운데 B1 실험집단의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활용한 수업은 실험집단 공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하위요인인 학습전략적 측면과 실험집단 공대남학생의 자기주도성 총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인 B1집단 공대학생과 공대남학생의 자기주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PDF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Do Gender Role Attitudes Affect on Depression?)

  • 한인영;홍선희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6권4호
    • /
    • pp.477-498
    • /
    • 2011
  • 본 연구는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여성의 성역할인식과 우울의 매개효과로서 자아존중감과 가족생활만족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복지패널 2009년 4차년도 자료로서, 20-50대 여성 3,791명과 남성 3,46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여성과 남성의 우울과 성역할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성역할인식과 우울의 관계 및 매개효과는 여성만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성역할을 인식하는데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과 성역할인식에 있어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도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여성의 전통적인 성역할인식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아존중감, 가족생활만족도는 성역할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높을수록 가족관계만족도 중에서 가족생활만족도는 낮아지나 배우자관계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의 고정화되고 이분화된 성역할 인식이 우울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낮은 자아존중감과 가족생활만족을 통하여 우울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여성 우울에 대해 여성 친화적이고 수용적인 개입과 상담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성인 남성의 성구매 경험에 따른 성매매와 성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Men's Thinking and attitudes on Prostitution and Gender: Based on the Previous Experience of Buying Sex)

  • 이은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3호
    • /
    • pp.377-398
    • /
    • 2009
  • 본 연구는 남성들의 성구매 경험에 따른 의식차이를 비교 조사하여, 성매매에 대한 의식전환을 위한 운동과 추후연구를 계획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로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19세 이상 남성 1328명을 대상으로 성매매에 대한 의식과 태도, 성행위에 대한 허용도, 성 역할 평등의식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구매 경험에 따라 구분된 집단은 성구매 경험 집단이 향후 성구매 의향이 더 많고 부부나 애인관계의 성적만족도가 낮으며, 성지식 습득 경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 비교 연구결과 성구매 경험자들이 성구매 무경험자들 보다 성매매에 대해 남성중심의 왜곡된 고정관념을 가지고, 성행동에 대해 허용적 태도를 가지며, 성역할에 대한 전통적 사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구매경험과 성매매에 대한 고정관념, 성행위 허용도, 성역할 평등의식 하위요인들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성매매 여성에 대한 피해자 인정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성구매 경험이 성매매, 성행동과 성역할에 대한 전통적이거나 남성중심적 사고와 관련이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과 함께 연구의의와 제한점을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