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effect

검색결과 2,023건 처리시간 0.034초

유행 관심 수준에 따른 의복 쇼핑 성향과 의복 구매 행동에 성별이 미치는 매개적 영양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 김세희
    • 복식
    • /
    • 제55권3호
    • /
    • pp.33-4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Data was collected from 280 men and women of their twentieth and analyzed using crosstab analysis, ANOVA, scheff'e test, x$^{2}$ test, and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interest group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visiting store, time spent for shopping, and monthly clothing expenditure)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low interest groups showed a lot of differences in both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between men and women. Third, several dimension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more influenced from fashion interest level rather than the gender of consumers, and other several dimensions, visiting store, and the time spent for shopping were more influenced from gender rather than fashion interest level.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gender of consumer has mediate effect on the behavior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and the consumers of same fashion interest level must be approached concerning the gender of consumers.

배우자 사별과 우울감과의 관계에 있어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Widowhood and Depressive Symptoms: Widowhood, Social Particip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 민주홍;최희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4호
    • /
    • pp.67-82
    • /
    • 2015
  • The study examined whether informal and formal social participations ma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widowhood and depressive symptoms, and whether gender may moderate the mediated associations. The data consisted of men and women 65+ who participated in the $3^{rd}$ wave of the Kor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 N = 4,146). Findings suggest that first, widowed older adults experienced significantly hig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compared to their married counterparts. At the same time, the widowed individuals also reported more frequent contacts with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informal social participation), which contributed to narrowing the depression gap between widowed and married. Second, gender moderated the mediated association such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social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only for older widowed women. Further, no mediating effect was found of formal social participation (participation in social, leisure, religious groups) for widowed and married regardless of gender.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social participation may be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that attenuates the effect of widowhood on depressive symptoms. Building on existing research,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theoretical rationales for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in the way social participation may mediate the widowhood-depression linkage and evaluated statistically whether gender may moderate the mediated association.

의복단서, 지각자변인의 여자한복착용자의 인상형상에 미치는 영향(II) -지각자변인을 중심으로- (Effect of Clothing cues and Perceiver variables on Impression Formation of Female dressed in Korean Dress(PartII) -Focus on Perceiver Variables-)

  • 이현화;박찬부
    • 복식
    • /
    • 제37권
    • /
    • pp.119-132
    • /
    • 1998
  • Niveteen stimulus photographs varied in hue and color scheme of one clothing style of Korean dress worn by a female were us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ve effect of clothing cues(color, color scheme, structure) on impression formation and graduat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actor score, ANOVA and Scheffe-test. Results indicate perceptive effects of clothing cues on impression formation are influenced by gender-differences and major-difference of perceiver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ception of clothing cues on impression effec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clothing cues and gender. Significant major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ception of clothing cues on impression effec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clothing cues and perceiver's major. Female perceivers and perceivers of major-ing in Liberal Arts reacted to clothing cues on impression formation with greater sensitivity than male perceivers and perceivers of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Freque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ender and color of China (cool-warm color), between major difference and color scheme(related color harmony-contrasting color harmony) appeared on factors of impression effect. The influence of perceiver variables on their perception of clothing cues for impression effce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gender difference and perceiver's maforing backgroung in a social situation.

  • PDF

The Effect of Gender Composition of Research Teams on Individual Researchers' Performance in China

  • Ma, Ying
    • STI Policy Review
    • /
    • 제8권2호
    • /
    • pp.1-22
    • /
    • 2017
  •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composition of scientific research teams and scientists' individual performance. The gender composition of research teams is an important feature of workplace settings and influences the way people interact and communicate;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not directly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scientists' individual performance. Drawing on data collected on university faculties in China in 2016, this article tests several hypotheses about individual's performance in teams with different gender compositions. The results show that team gender composition has a clear gendered effect on scientists' individual performance. The effects of tokenism for women in men-majority teams is proven, but men in women-majority teams appear to be unaffected by tokenism. Moreover, the theories claiming that homogenous teams are more conducive to better individual performance than mixed teams are supported for men but not for wome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recruiting more women into the scientific workforce may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thereby help diminish the gender gap in performance. It also indicates that the Chinese preferential policies towards women in science formulated in recent years have had positive impacts. However, considering that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ers in the survey are working in men-majority teams, the task of narrowing the gender gap in performance remains a challenge. Further work is needed to explore the tensions and benefits of working with the opposite gender.

영재와 평재의 인지양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eld Independence Cognitive Styles of Gifted and Normal Children)

  • 나귀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21-138
    • /
    • 1995
  • A group of 84 young children were administered the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PEFT). A thre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utilizing giftedness (gifted, normal), gender, and year(4 year-old class, 5 year-old clas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giftedness main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ifted children were more effect not year main effe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iftedness and gender, between giftedness and year, between gender and year were not significant either.

  • PDF

항공 관련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성별, 연령, 이용 동기, 민감도와 정보수용의 융합적 영향 연구 (The Convergence Effect of Gender, Age, Motivation, Sensitivity and Information Acceptance of Aviation Related Social Media Users)

  • 홍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1-210
    • /
    • 2020
  • 본 논문은 항공 관련 소셜미디어의 정보수용에 있어 이용 동기와 민감도, 성별과 연령을 융합하여 이용태도와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소셜미디어 정보수용의 차이, 이용 동기와 민감도는 정보수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 19일부터 5월 3일까지 온라인 전국 패널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과 연령의 편중을 막기 위해 고른 분포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과 연령에서 여성과 연령이 낮을수록 소셜미디어 정보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용 동기는 정보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에는 정보수용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성별, 연령 등 이용자 계층과 이용 동기, 민감도가 정보수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민감도 요인의 부정적인 면도 파악할 수 있어, 항공 관련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 조직의 성차별 문화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cent Work of Women Employess: The mediation effet of career adaptability moderated by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gender prejudice on career adaptability)

  • 전소영;심예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353-372
    • /
    • 2022
  • 본 연구는 일의 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변인인 진로적응성과 맥락적 변인인 조직의 성차별 문화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여성 직장인 2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조직의 성차별 문화에 의해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Mplus 7.0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조직의 성차별 문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박재숙;정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79-787
    • /
    • 2022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 적응유연성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적응유연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만 40-65세 중년 여성 302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28일부터 8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 중년 여성에게 특화된 성역할 갈등 척도, 적응유연성 내적 요인 척도 및 Ryff의 심리적 웰빙 척도를 사용하였다.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형 4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은 적응유연성 및 심리적 웰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중년 여성의 적응유연성은 심리적 웰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중년 여성의 심리적 웰빙에 대한 성역할 갈등의 직접효과와 적응유연성을 통한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중년 여성의 적응유연성은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고등학생의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impact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 항항붕;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223-231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광동 지역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의표집한 고등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학습몰입, 행복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젠더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학습몰입은 젠더 및 학업성취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젠더가 조절 매개하였다. 즉,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증진을 위하여 그릿과 학습 몰입의 활용을 젠더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우 송아지 성비에 대한 수정년도, 종모우, 농가 및 빈우산차의 효과 (Effect of AI Year, Sire, Farm and Cow Parity on Sex Ratio in Hanwoo)

  • 이덕희;김상훈;김정상;임진규;여영근;박영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7-230
    • /
    • 2001
  • 송아지의 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고 이를 활용한다면 한우산업의 경쟁력을 재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송아지 성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의 효과를 분석하고 나아가서 원하는 성의 송아지를 선택할 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인공수정에 의해 태어난 송아지의 성비는 수정년도와 빈우의 산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종모우와 농가에 따라 송아지의 성비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원하는 성의 송아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정 종모우를 선택하여 인공수정하고 빈우를 적정 사양 환경에서 사육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