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Kim Sae-Hee (Dept. of Fashion Design, Busan Kyungsang Colleg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5, no.3, 2005 , pp. 33-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Data was collected from 280 men and women of their twentieth and analyzed using crosstab analysis, ANOVA, scheff'e test, x$^{2}$ test, and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interest group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visiting store, time spent for shopping, and monthly clothing expenditure)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low interest groups showed a lot of differences in both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between men and women. Third, several dimension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more influenced from fashion interest level rather than the gender of consumers, and other several dimensions, visiting store, and the time spent for shopping were more influenced from gender rather than fashion interest level.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gender of consumer has mediate effect on the behavior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and the consumers of same fashion interest level must be approached concerning the gender of consumers.
Keywords
fashion interest(; gender; clothing shopping of?orientation; clothing purchasing behav;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배정주, 이은영 (1989). 유행선도력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생활과학연구(서울대학교), 14, pp. 53-61
2 구은영, 조필교 (2001). 청소년의 유행 채택 행동, 복식문화연구, 9(4), pp. 592-601
3 이상희, 손원교, 김현식 (1997). 남녀 고등학생의 교복 만족도. 의복관심도,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2), pp. 383-395
4 Tigert. D. J.. Ring, L. J.. & King. C. W. (1976). Fashion involvement and buy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 pp. 46-52
5 정혜영 (1989). 패션 의견 선도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2-43
6 이경은 (2002). 직장여성의 유행태도가 의복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22-23
7 이경은 (2002). 직장여성의 유행태도가 의복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22-26
8 조윤정 (2000).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추구혜택의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9 전경숙 (2000). 남자 중고등학생의 유행선도력과 정보원 활용 및 의류구매행동과의 관계 연구(제2보). 복식, 50(7), pp. 5-14
10 김세희, 이은영 (2004). 의복 쇼핑 성향의 개념 규명을 위한 문헌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3/4), pp. 472-482   과학기술학회마을
11 김소영. 이은영 (1994).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3), pp. 429-439   과학기술학회마을
12 김보경. 김미숙 (2001). 동대문시장 이용자의 의복구매유형과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5(3), pp. 638-649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손민석, 박혜선 (2001).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청소년 집단들의 의복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5(6), pp. 1179-1190
14 Lumpkin. R. J. & Greenberg. B. A (1982), Apparel-shopping patterns of the elderly consumer. Journal of Retailing. 58(4), pp. 68-69
15 서민애, 박광희 (2001). 수입여성의류 구매유무에 따른 의복행동-쇼핑성향과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6), pp. 79-92
16 박민정 (2001). 남녀 대학생의 의복가격지각과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2
17 김세희 (2003). 의복 쇼핑 성향의 개념적 구조 규명과 측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7-148
18 이경은 (2002). 직장여성의 유행태도가 의복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34
19 Shim, S. & Bickle, M. C. (1994). Benefit segmentation of the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c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2), pp. 1-12   DOI   ScienceOn
20 정혜영 (1996). 여대생들의 의복쇼핑성향과 시장행동. 복식문화연구, 4(2),pp. 125-143
21 Goldsmith, E. R.. Flynn, R. L.. & Moore, A. M. (1996). The self-concept of fashion lead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4(4), pp. 242-248   DOI   ScienceOn
22 이영선 (1985). 유행 몰입과 의복 구매 행동. 충남과학연구지, 12(2),pp. 251-257
23 이명희 (1995). 소비자의 의복구매성향과 구매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5), pp. 75-88
24 신수연 (1999). 여대생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점포속성중요도, 정보원의 이용, 자기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6), pp. 54-67
25 박민정 (2001). 남녀 대학생의 의복가격지각과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8
26 정혜영 (1989). 패션 의견 선도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3
27 황선진, 송기은, 이윤경 (2003). 조정변수로서 소비자의 유행관여, 상표친숙성, 부정적 정보가 의류상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pp. 9-17   과학기술학회마을
28 고애란, 전병호 (1995). 상설할인 매장 애고 소비자의 구매성향. 상점속성 중요도 및 정보원 이용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1), pp. 104-114
29 Gutman. J. & Mills. M. K. (1982). Fashion life style. self 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ed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2), pp. 64-86
30 김찬주 (1998). 유행 선도력에 의해 세분화된 남성 소비자 집단의 특성 비교. 복식, 37, pp. 89-102
31 Kaiser, S. B. (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p. 498
32 Sproles, G. B. & King, C. W. (1973). The consumer fashion change agent: A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and empirical identificatio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Economic, and Management Sciences. November. Paper No. 433
33 이영선, 전지현 (2001). 의류점포의 서비스품질지각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6), pp. 1057-1068   과학기술학회마을
34 이화연, 이은영 (1989). 유행선도력에 관한 연구 II- 유행선도력에 따른 집단들의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13(1), pp. 67-77
35 박광희 (1997).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분석 -대구 여성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1), pp. 10-18   과학기술학회마을
36 정수진, 강경자 (1998).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여대생의 충동구매 예측변수에 관한 연구: 마케팅 자극요인과 정보원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4), pp. 708-723
37 류현주, 홍금희 (2001). 성인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상표이마지 및 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8), pp. 1367-1377
38 Summers, J. O. (1970). The identity of women's clothing fashion opinion leade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7, pp. 178-185   DOI   ScienceOn
39 Park, Kwanghee & Yoon, Sung Joon (1994). Gender differences in fashion awareness and clothing expenditures. 한국의류학회지, 18(5), pp. 682-691
40 김희숙 (1991). 의복범주와 유행성 및 착용자의 체형이 대학생의 대인지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41 Tigert. D. J.. Ring, L. J.. & King. C. W. (1976). Fashion involvement and buy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 pp. 46-52
42 Bruner. G. C.. II. (1988). Singles and sex-roles: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clothing prepurchase proc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7(1), pp. 3-9   DOI
43 김희숙, 최종병 (2001). 대학생의 의생활 및 의복 소.비 태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0(3), pp. 275-290
44 윤명 (2000). 신세대 남성 패션 매니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45 김귀연, 이경희 (1998). 패션전문점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점포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7), pp. 920-930
46 신수연, 박재옥 (1999). 백화점 주고객층의 쇼핑성향, 점포속성중요도, 자기이미지에 따른 의복 구매성향. 한국의류학회지, 23(6), pp. 841-852
47 박민정 (2001). 남녀 대학생의 의복가격지각과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3-44
48 차인숙, 안소현, 이경희 (1999). 백화점 소비자의 의복 쇼핑성향과 점포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2), pp. 284-295
49 구자명, 이명희 (1999). 성인여성의 가치의식과 의복 쇼핑성향 및 의복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3), pp. 459-470
50 Yah. E. (2001). Gender Differences of Mail-Catalog Shoppers in Shopper Tendencies. Patronage Motive Strength, and Patronage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9), pp. 1551-1562
51 원미숙, 강혜원 (1983). 유니섹스의복행동과 성역할과의 관계: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7(2), pp. 37-44
52 Baumgarten, S. A. (1975). The innovative communicator in the diffusion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2, pp. 12-18   DOI   ScienceOn
53 Shim, S. & Kotsiopulos, A. (1993). A typology of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segments among femal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1), pp. 73-85   DOI   ScienceOn
54 이영미, 이옥희 (2002). 직장 여성의 쇼핑성향과 의복 구매 특성에 관한 연구-전라남도 여교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2), pp. 87-100
55 김민희 (1998).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중상층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56 김윤희, 김미영 (2001). 의류점포의 서비스 개념 체계와 쇼핑 유형과의 관련성. 한국의류학회지, 25(1), pp. 183-194
57 최정, 이은영 (1996). 청소년의 의류점포애고행동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서울대학교), 21, pp. 105-119
58 Sturman, S. S. & Richards, E. A. (1977). Life-style segmentation in appare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Oct.. pp. 8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