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재숙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정성진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22.03.30
  • Accepted : 2022.05.12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iddle-aged women's gender role conflict,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model of resilience on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8 to August 5, 2021 for 302 middle-aged women aged 40-65 years. The Gender Role Conflict Scale specialized for middle-aged Korean women, internal traits subscale of Ahn's Resilience Scales, and Ryff'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PROCESS Macro 3.5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revealed that the middle-aged women's gender role confli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iddle-aged women's resil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Because both the direct effect of the middle-aged women's gender role confli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indirect effect through resili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middle-aged women's resilience was partially mediating their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 적응유연성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적응유연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만 40-65세 중년 여성 302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28일부터 8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 중년 여성에게 특화된 성역할 갈등 척도, 적응유연성 내적 요인 척도 및 Ryff의 심리적 웰빙 척도를 사용하였다.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형 4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은 적응유연성 및 심리적 웰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중년 여성의 적응유연성은 심리적 웰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중년 여성의 심리적 웰빙에 대한 성역할 갈등의 직접효과와 적응유연성을 통한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중년 여성의 적응유연성은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S. Gordon-Salant, R. D. Frisina, D. Robert, R. R. Fay, and A. Popper, The Aging Auditory System, New York, N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
  2. 송진영, "중년 취업남성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2권, pp.59-81, 2009.
  3. 정민승, 임진영, 이지혜, 생애발달과 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4. F. J. Bourgeois, P. A. Gehrig, and D. S. Veljovich, Obstetrics and Gynecology Recall,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5. L. Johansson, X. Guo, T. Hallstrom, M. C. Norton, M. Waern, S. Ostling1, C. Bengtsson, and I. Skoog, "Common psychosocial stressors in middle-aged women related to longstanding distress and increased risk of Alzheimer's disease: A 38-year longitudinal population study," BMJ Open, Vol.3, No.9, e003142, 2013. https://doi.org/10.1136/bmjopen-2013-003142
  6. P. Bansal, A. Chaudhary, R. K. Soni, S. Sharma, V. K. Gupta, and P. Kaushal,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middle-aged women: A community-based study," Journal of Family Medicine & Primary Care, Vol.4, No.4, pp.576-581, 2015. https://doi.org/10.4103/2249-4863.174297
  7.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02616145588938. 2023.02.23.
  8. H. S. Choi and K. S. Kim, "Effects of somatic, depression symptoms, and sedentary time on sleep quality in middle-aged women with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Healthcare, Vol.9, No.10, e1378, 2021.
  9. P. Perrig-Chiello, S. Hutchison, and F. Hoepflinger, "Role involvement and well-being in middle-aged women," Women & Health, Vol.48, No.3, pp.303-323, 2008. https://doi.org/10.1080/03630240802463517
  10. 김광옥, "중년 여성의 일상스트레스, 우울감,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제보건미용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21, 2002.
  11. R. J. Joiner, C. S. Bergeman, and L. Wang, "Affective experience across the adult lifespan: An accelerated longitudinal design," Psychology and Aging, Vol.33, No.3, pp.399-412, 2018. https://doi.org/10.1037/pag0000257
  12. 전선영, 정성석, 노정옥, "전북지역 중년 여성의 건강염려,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제53권, 제6호, pp.613-628, 2020. https://doi.org/10.4163/jnh.2020.53.6.613
  13. 김경미, 양혜영, "성역할 개념의 발달과 분화: 다차원적 관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8권, 제3호, pp.1-20, 2005.
  14. 임나현,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30-24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230
  15. J. M. O'Neil, B. J. Helms, R. K.Gable, L. David, and L. S. Wrightsman,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s, Vol.14, No.5, pp.335-350, 1986. https://doi.org/10.1007/BF00287583
  16. 최윤정, "대졸 기혼직장 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다중역할 현실성에 따른 집단분류와 일-가족갈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6권, 제2호, pp.219-241, 2011.
  17. 한인영, 홍선희, "여성의 성역할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6권, 제4호, pp.477-498, 2011. https://doi.org/10.18205/KPA.2011.16.4.004
  18. 진해옥, 염은이,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796-80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796
  19. 염은이, 서금숙,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간호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794-80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794
  20. J. M. Fragoso and S. Kashubeck, "Machismo, gender role conflict, and mental health in Mexican American men,"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1, No.2, pp.87-97, 2000. https://doi.org/10.1037//1524-9220.1.2.87
  21. 하정혜, 김지현, "중년 여성 한부모의 성역할 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4호, pp.1023-1046, 2016.
  22. H. J. Wolfram, G. Mohr, and J. Borchert, "Gender role self-concept, gender-role conflict, and well-being in male primary school teachers," Sex Roles, Vol.60, No.1, pp.114-127, 2009. https://doi.org/10.1007/s11199-008-9493-4
  23. G. Simonsen, C. Blazina, and C. E. Watkins,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gay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1, pp.85-89, 2000. https://doi.org/10.1037/0022-0167.47.1.85
  24. M. J. Sharpe and P. P. Heppner, "Gender role, gender-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8, No.3, pp.323-330, 1991. https://doi.org/10.1037/0022-0167.38.3.323
  25. A. B. Rochlen and J. R. Mahalik, "Women's perceptions of male partners' gender role confli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Vol.5, No.2, pp.147-157, 2004. https://doi.org/10.1037/1524-9220.5.2.147
  26. R. M. Ryan and E. L. Deci,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Psychology, Vol.52, No.1, pp.141-166, 2001.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141
  27.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28. C. D. Ryff, "In the eye of the beholder: View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Vol.4, No.2, pp.195-210, 1989. https://doi.org/10.1037/0882-7974.4.2.195
  29. G. E. Richardson, "The metatheory of resilience and resilienc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58, No.3, pp.307-321, 2002. https://doi.org/10.1002/jclp.10020
  30. B. L. Fredrickson, M. M. Tugade, C. E. Waugh, and G .R. Larkin, "A prospective study of resilience and emotions following the terrorist attacks o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th, 2002,"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2, pp.365-376, 2003. https://doi.org/10.1037/0022-3514.84.2.365
  31. 서경현,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문제성 음주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6호, pp.301-320, 2018.
  32. 안태용,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14권, 제5호, pp.2751-2781, 2013. https://doi.org/10.15703/KJC.14.5.201310.2751
  33. 박민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 간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93-40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93
  34. 봉원영, 정구철, "기독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영적 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566-57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566
  35. 변해심, 노재현, "초등학생의 방과후 학교 여가스포츠 참가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4권, 제1호, pp.479-492, 2011.
  36. S. Sood and A. Sharma,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during COVID-19: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distress," Journal of Health Management, Vol.22, No.4, pp.606-617, 2020. https://doi.org/10.1177/0972063420983111
  37. 이주연, 지명원,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91-20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91
  38. 한지언, 박남희, 조정현, "임상간호사의 성역할갈등, 회복탄력성,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6권, 제3호, pp.248-258, 2020. https://doi.org/10.5977/jkasne.2020.26.3.248
  39. 서선숙, 백진아,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8호, pp.301-310,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8.301
  40. S. B. Galligan, R. V. Barnett, M. A. Brennan, and G. D. Israel, "The effects of gender role conflict on adolescent and emerging adult male resiliency," The Journal of Men's Studies, Vol.18, No.1, pp.3-21, 2010. https://doi.org/10.3149/jms.1801.3
  41. S. Lyubomirsky and M. Della Porta, "Boosting happiness, buttressing resilience: Results from cognitive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In J. W. Reich, A. J. Zautra, J. Hall (Eds.). Handbook of adult resilience: Concepts, methods, and appli- cations.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08.
  42. 하정혜, 김지현, "한국 중년 여성 성역할 갈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6호, pp.2987-3007, 2012. https://doi.org/10.15703/KJC.13.6.201212.2987
  43. 정대봉, 감정노동자의 인센티브여행 체험이 심리적 웰빙과 회복탄력성,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4. 한승연, 중년 기혼여성의 성역할 갈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5. 홍선경,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우울 간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46. N. Hajloo and K. Moghaddasi, "Correlates of student's gender role conflict: Can gender role conflict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Fundamentals of Mental Health, Vol.18, No.1, pp.29-34, 2016.
  47. 서경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및 행복감 간의 관계 :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1호, pp.137-157, 2016.
  48. 이희완, "한국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와 웰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제8권, 제2호, pp.3-1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