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ze tracking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4초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비교 연구 -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 (Comparative Study on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s Evaluation - Focusing on the Nightscape of a University Campus -)

  • 강영은;김송이;백재봉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8-48
    • /
    • 2018
  •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평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결과,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한 아이트래킹 평가 결과에서는 '눈 깜빡임 수(Blink count)', '눈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 평균', '시선의 급격한 이동시간(Saccade duration) 평균'과 경관 형용사 중 '아름다운', '흥미로운', '접근성이 높은', '만족하는', '안전한' 형용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캠퍼스 야간경관의 관심지역 분석 및 비교에서는 경관 특성별 관심영역이 달라지는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문', '표지판' 등 특수 경관 요소에 집중하여 시선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아이트래킹 분석 방법이 '경관 요소'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라고 판단하였으며, 기존 개념으로만 제시되었던 경관 선호 이론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도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객관적인 경관 평가 기법으로서 아이트래킹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 결과의 축적으로 경관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시선의 도약거리 추출 기법과 공간탐색 특성 - 백화점 스포츠 매장 공간을 대상으로 - (The Saccades Distance Extraction Technique of Sight and the Spatial search Characteristics - Target Department Sports Store Space -)

  • 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83-92
    • /
    • 2017
  • This research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ccades that occurring in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spatial. The size of the saccades is the visual activity for acquiring the information, and the search trace that left by the spatial visitor. Reviewed over the saccade through the analysis of observation process that appeared in the eye-tracking experiment of sports store from the department store, the saccade is defined as the sight movement in the process of finding a component to view in the spatial. If some spatial component induces saccade, and able to know which specific component acquired through the saccade, then the designer will have a clue which able to provide the spatial desired by the consumer.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cess in the deriving the spatial component and saccade characteristic from industrial space,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The first, the average fixed number of [IN].[OUT] zone appeared similarly, and it leads to knowing that the time used for attention with one frequency is about 0.3 seconds. Second, there were more saccades toward [$IN{\rightarrow}OUT$] (13 persons, 76.5%) than [$OUT{\rightarrow}IN$] (4 persons, 23.5%). The Los Angeles area has lots of interesting things to watch, so it able to thinks to begins with small saccade and then occur to bigger saccade activity to find new interests shortly after [OUT] saccade. Third, according to time range changes, keep ey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accade, [IN].[OUT] frequency has slightly decreased the changes of viewing ti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n average number of observations. This means that the frequency and the number of observations are decreased togethe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acquired (frequency) is decreased (count) as the observation time elapses.

시각적 이미지 안에서 삼각형 높이의 개념 이미지에 대한 인지적 처리과정과 인지적 부하 (Cognitive process and cognitive load about the concept image of triangle altitude in visual image)

  • 이미진;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305-319
    • /
    • 2017
  • 삼각형 높이를 찾는 과정에서 눈 움직임 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의 삼각형 높이에 대한 이해와 그에 대한 삼각형 유형별, 배치별 인지부하 알아보고자 하였다. 6학년 26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삼각형 높이에 대한 삼각형 유형별, 배치별 문항에서 사전 검사에 대해 사후검사에서 정답률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아울러 각 문항별 AOI(Area of Interest)에서 시선 데이터의 빈도(FC)와 머무름(FD)이 사후검사에서 더 적게 나타났다. 주관적 인지부하는 밑변이 지면에 평행한 삼각형 보다는 회전된 삼각형 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시선 추적 데이터에서는 직각삼각형과 예각삼각형의 회전 배치된 쪽에서 더 많은 빈도와 더 많은 머무름이 감지되었다. 이를 통해 시선추적 기술은 교수설계의 피드백을 위한 학생들의 인지적 부하의 객관적인 측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조점을 이용한 응시점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Detecting a Gazing Point Based on Reference Points)

  • 김성일;임재홍;조종만;김수홍;남태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50-259
    • /
    • 2006
  • The information of eye movemen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sychology, ophthalmology, physiology, rehabilitation medicine, web design, HMI(human-machine interface), and so on. Various devices to detect the eye movement have been developed but they are too expensive. The general methods of eye movement tracking are EOG(electro-oculograph), Purkinje image tracker, scleral search coil technique, and video-oculograph(VO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body the algorithm which tracks the location of the gazing point at a pupil. Two kinds of location data were compared to track the gazing point. One is the reference points(infrared LEDs) which is effected from the globe. Another is the center point of the pupil which is gained with a CCD camera. The reference point was captured with the CCD camera and infrared lights which were not recognized by human eyes. Both of images which were thrown and were not thrown an infrared light on the globe were captured and saved. The reflected reference points were detected with the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ved images. In conclusion, the circumcenter theory of a triangle was used to look for the center of the pupil. The location of the gazing point was relatively indicated with the each center of the pupil and the reference point.

효과적인 학습경험을 위한 실시간 원격강의 플랫폼 사용성 연구 -ZOOM UI디자인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ability of Real-Time Remote Lecture Platform for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 -Focused on ZOOM UI design layout-)

  • 정승재;이연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95-401
    • /
    • 2021
  •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코로나19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국내 교육기관은 실시간 원격강의 플랫폼을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사용 경험 문제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어 사용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ZOOM의 UI디자인 레이아웃에 따른 시선추적과 학습경험을 측정하여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하고 레이아웃과 학습효과에 대한 규명을 입증하여 제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총 30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여 학습 시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그리드 레이아웃이 다른 레이아웃보다 감성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참가자가 그리드 레이아웃에 가장 많은 주의를 집중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높은 학습경험을 위해서는 그리드 레이아웃과 참가자를 시각적으로 부각시키고 소통을 유도하는 레이아웃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가상주행실험 기반 운전자 시각행태에 따른 옐로카펫 설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Yellow Carpet Installation according to Driving Behavior with Eye Tracking Data)

  • 주성갑;김도훈;문혜민;최호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3-52
    • /
    • 2023
  • 옐로카펫 보급된 이후 어린이 교통사고는 감소세이나 아직 옐로카펫 설치와 교통사고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기존의 실차조사연구에서 상황 구현의 어려움이나 위험성 등의 이유로 수행하지 못한 다양한 상황을 VR시뮬레이션 실험을 활용하여 옐로카펫 효과를 더욱 심도있게 분석하였다. 실제 옐로카펫이 설치되어있는 대상지를 선정하고, 가상환경으로 구현한 후 시선측정장비를 착용하고 시뮬레이터에 탑승하도록 하였다. 옐로카펫 설치 전·후의 시각/주행행태를 비교하였고, 통계적 검증을 위해 t-test 분석을 수행,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선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휠체어 시스템

  • 김태의;이상윤;권경수;박세현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미래 IT융합기술 및 전략
    • /
    • pp.88-9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시선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휠체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지능형 휠체어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전동휠체어가 장애물을 감지하여 회피할 수 있게 하고, 조이스틱을 움직이기 힘든 중증 장애인을 위해 시선인식 및 추적을 이용하여 전동휠체어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지능형 휠체어는 시선인식 및 추적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애물 회피 모듈, 모터 제어 모듈, 초음파 센서 모듈로 구성된다. 시선인식 및 추적 모듈은 적외선 카메라와 두개의 광원으로 사용자 눈의 각막 표면에 두 개의 반사점을 생성하고, 중심점을 구한 뒤, 동공의 중심점과 두 반사점의 중심을 이용하여 시선 추적을 한다. 시선이 응시하는 곳의 명령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달 받고, 모터 제어 모듈은 하달된 명령과 센서들에 의해 반환된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로 모터제어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좌우 모터들을 조종한다. 센서 모듈은 전등휠체어가 움직이는 동안에 주기적으로 센서들로부터 거리 값을 반환 받아 벽 또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 회피 모듈에 의해 장애물을 우회 하도록 움직인다. 제안된 방법의 인터페이스는 실험을 통해 시선을 이용하여 지능형 휠체어에 명령을 하달하고 지능형 휠체어가 임의로 설치된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보다 정확하게 장애물을 회피 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사람과 로봇간 원격작동을 위한 몰입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Immersive user interfaces for visual telepresence in human-robot interaction)

  • 장수형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406-410
    • /
    • 2009
  • 사람과 로봇간 인터페이스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감에 따라 원격으로 로봇을 조종하고 그 로봇을 통해 환경정보를 제공받는 텔레프레전스 시스템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로봇이 움직임 따라 자연스러운 텔레프레전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행동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이전에 제안되었던 텔레프레전스의 사용자의 이동 인식 시스템은 개발이 어려우며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사용자와 로봇간의 상호작용에 많은 한계를 보여왔다. 본논문에서는 닌텐도의 게임기 WII 의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및 시선을 파악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원거리의 로봇(Sony 의 AIBO)을 움직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HMD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2007·2009 개정 초등 과학 교과서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편집디자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ual Attention on the Editorial Desig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in the 2007·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 신원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4호
    • /
    • pp.428-43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atten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editorial design of the 2007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For this purpose, eye movements were collected whi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watching real textbooks wearing mobile eye tracker. The BeGaze 3.7 program of SMI company was used analyzing eye movements. Twenty-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voluntarily in mobile tracking research. Elementary students learned the contents of textbook related to 'digestive organ' and 'respiratory organ' by using double reading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e- and post-knowledge tes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 between 2007 revised and 2009 revised textbook editing design.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d to give more visual attention to text than textbook illustrations. Third, the selective attention and persistent attention of elementary students showed a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940), but the selective attention and self-control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499). Fourth, students with high level of attention and low level showed high visual occupancy in text than in illustrations. Fif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 to the 2007 revised.

피로 인식을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 (Bayesian Network Model for Human Fatigue Recognition)

  • 이영식;박호식;배철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9C호
    • /
    • pp.887-89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피로를 인식하기 위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확률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적외선 조명을 조사하여 눈거풀의 움직임, 시선 방향, 얼굴의 움직임 및 얼굴 표정 같은 얼굴특징정보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얼굴특징정보만으로 생체 피로를 결정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생체 피로를 확률적 추론하기 위하여 가능한 많은 피로 원인에 대한 정보와 얼굴특징정보들로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을 구성하여 BN 피로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BN 피로지수의 문턱치값은 MSBNX 시물레이션 결과 0.95로 산출되었다. 실험 결과 BN 피로지수와 TOVA 응답 시간을 비교한 결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여 제안한 피로인식모델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