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culture study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35초

문화원형을 활용한 모바일 기능성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 사천왕(四天王)을 틀린그림찾기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Case of Smart phone based Serious Gamed Application with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s : Focused on the game "Find the wrong picture on Sacheonwang(四天王)")

  • 이영숙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5호
    • /
    • pp.271-289
    • /
    • 2014
  • 본 연구는 사천왕(四天王)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용 기능성 게임을 제작하였다. 현재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하여 모바일콘텐츠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한국적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게임콘텐츠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속화 되어있는 한국불교문화에 등장하는 사천왕(동방 지국천왕, 북방 다문천왕, 남방 증장천왕, 서방 광목천왕)을 고찰하고 한국형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용 기능성 게임콘텐츠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천왕(四天王) 캐릭터 4종을 현대화하여 재조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천왕(四天王) 4종 캐릭터를 게임콘텐츠에 적합하도록 2등신 SD 캐릭터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사천왕캐릭터와 불교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천왕(四天王) 틀린그림찾기 모바일 기능성 게임의 기획과 개발과정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의 불교문화의 콘텐츠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전통문화의 저변확대 및 한국토착 전통문화로 소통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불교문화캐릭터를 개발하여 게임콘텐츠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불교문화콘텐츠를 통하여 한국 전통 캐릭터 개발 및 게임콘텐츠에 활용 가능한 대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온라인 게임의 오버 밸런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ver Balance in Online Game)

  • 송인호;이종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199-20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메이플스토리, 오버워치, 리그 오브 레전드 등 여러 온라인 게임의 오버 밸런스에 관한 실태를 알아보고 오버 밸런스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오버 밸런스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오버 밸런스의 사례와 문제점에 대해서 제시한다. 그리고 현재 게임사에서는 이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오버 밸런스를 게임사에서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고령자를 위한 쌍방향 전통문화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ve Game for Traditional Culture Plays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the Elderly)

  • 조동민;정성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5-22
    • /
    • 2008
  • 최근 생활여건이 개선되고 의학수준이 향상되면서 우리나라의 국민의 평균수명은 연장되고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 시대에 직면하면서 사회가 필연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또 하나의 변화는 노인의 심리적. 사회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1] 노인의 심리적 변화는 노인의 생활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활동적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인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자신의 생활을 제어하는 건강조절능력과 자신의 자립적 사고의식이 쇠퇴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적극적 사회활동 참여가 가능한 활동 레크레이션(Recreation)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문화유산을 통한 놀이문화사업은 보존 복원 대상으로만 여겼던 우리 고유문화를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려는 것이며, 우수한 콘텐츠를 보유하고도 시장의 열악한 여건으로 발전이 어려운 문제를 개선함은 물론, 대중문화에서 비롯된 한류를 한국문화 전반으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과거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속에서 타문화와 차별화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멀티미디어적 요소들을 선별하여 이를 놀이 체험문화로 해석, 재구성하여 문화콘텐츠의 개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연구의 내용과 목적으로 삼는다.

  • PDF

MMORPG에서의 내러티브와 NPC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NPC and Narrative in MMORPG)

  • 이동현;장민준;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79-80
    • /
    • 2019
  • 기술이 발달하고 게임에 대한 유저의 인식이 높아지면서 내러티브는 게임의 강력한 경쟁 수단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국내 게임, 특히 온라인 게임에서는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등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과 MMORPG에서의 내러티브에 대해 설명하고 MMORPG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러티브 요소로 NPC와의 상호작용을 강화시킬 것을 제안한다.

  • PDF

FPS 배틀로얄 장르의 특징과 무기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Firearms in the FPS Battle Royale Genre)

  • 유경근;박민규;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681-684
    • /
    • 2020
  • 2017년, '플레이어언노운스 배틀그라운드' 얼리 액세스 버전의 큰 성공으로 슈팅 게임 장르의 크나큰 변화가 일어났다. 수많은 유저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압박해오는 전장과 1등에 근접할수록 높아지는 긴장감, 치열한 접전 끝에 1등을 차지하는 희열에 매료되어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유저들의 평균적인 게임 이해도와 실력이 늘어남에 따라 한번 실수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 장르 특성상 모험보단 안전을 추구하고자 하였고 많은 배틀로얄 게임들이 전략의 고착화, 사용 장비의 고착화가 점점 심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배틀로얄 장르의 고착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수치와 통계를 통해 설명하고 효율적으로 고착화를 타파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 PDF

얼리액세스 게임의 성공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 Strategy of Early Access Games)

  • 장준희;임형철;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685-68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게임 개발의 한 형태이자 새로 도입된 개발 형태 중에 가장 떠오르고 있는 얼리액세스 개발 형태에 대해 서술하며, 얼리액세스 개발 방식의 공통적인 성격과 성공했던 게임들의 사례를 통해 앞으로 게임 개발자들에게 지양해야 할 부분과 반영해야 할 부분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으며, 어떤 방향의 개발을 거쳤던 게임이 흥행하지 못했는지를 연구, 분석을 통해 얼리액세스 만의 방식을 통해 개발자, 소비자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게임에서 확률형 아이템의 고시 확률과 실제 확률의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ability and Actual Probability of Probabilistic Items in Mobile Games)

  • 오종민;김정선;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521-524
    • /
    • 2020
  • 국내 모바일 MMORPG 시장에서 구글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의 매출 순위를 보면 순위 안에 있는 게임 중에 가챠 시스템이 없는 게임을 찾기가 힘들 정도로 모바일게임에서 가챠 시스템은 게임의 전체 매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과거 가챠 시스템으로 인하여 사행성과 과금 유도가 너무 심해져 2015년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이 발의되어 현재까지 게임회사들은 확률을 공개해왔다. 하지만 공개된 확률에는 유저들이 모르는 큰 오류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 그 오류를 알아보고 모바일 게임 가챠 시스템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패션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게임과 대중 스타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On-line Game and Popular Stars - Focused on Fashion -)

  • 손이정;이인성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11-82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on the most noticeable game industry in a digital era, and on the definition and feature of post-digital generation enjoying it, along with the relations with the game. Especially, this paper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game characters' fashion and pop singers' fashion targeting post-digital generation enjoying gam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on-line game's popularity affected popular culture and game business and popular stars have close interrelation. In addition, through variosus objective surveys, the game characters' fashion was classified into five images before being analyzed; fighter's image, retro image, surreal image, sensual image, and unisexual image. The game characters' fashion wasn't only analyzed also studied correlation between on-line game character's fashion and pop singers' fashion by five images. Consequently in case of game characters' fashion, it influenced on pop singers' fashion targeting teens and twenties enjoying games, which meant fashion connections between game characters and pop singers.

귀신문화에 기반한 일본풍의 캐릭터 디자인 분석 및 캐릭터 제작 연구 - 중국 모바일 게임 <음양사>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apanese-style Character Design combined with Ghosts and Gods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according to Proposal - Focused on Chinese mobile game 'Onmyoji')

  • 왕혜영;이동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9-128
    • /
    • 2022
  • 본 논문은 귀신문화에 기반을 둔 일본풍 캐릭터 디자인을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을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중국에서 성공한 일본풍 모바일 게임 <음양사>의 식신(Shikigami) 캐릭터의 디자인 요소를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형태는 부분이 아니라 전체적인 체계화를 통해 지각되며 작은 디자인적 요소가 전체 스토리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확인하였다. 캐릭터의 디자인적 요소가 시각화 되는지를 분석하고 스토리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디자인적 요소가 이야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새로운 캐릭터 디자인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문화 콘텐츠를 응용한 중국 온라인(MMORPG)게임 디자인 연구 -돈황벽화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Design of Chinese Online Games in the Application of Cultural Content)

  • 유영초;윤영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08-617
    • /
    • 2018
  • 기존 게임기라고 불리던 Microsoft X-box, SONY Playstation, Nintendo 등에서 PC로 게임 시장이 전환되어지고,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성능이 고사양화 됨에 따라서 모바일 게임시장의 성장세가 높아지고 있다. 게임시장의 확산은 전 세계적인 추세이고, 게임 소재의 발굴은 게임회사에게 많은 고민을 주고 있다. 애니메이션과 게임의 종주국이라고 불리는 일본은 전통문화 콘텐츠를 이용하여 많은 캐릭터와 게임 스토리 제작에 활용하고 있으며, 후발 주자인 중국 역시 중국의 전통문화를 이용한 게임 콘텐츠 제작 소재 발굴에 노력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 롤 플레잉 게임으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게임으로 당시대의 복식에서 부터 벽화에 나타난 당 시대의 모습을 게임 속에 가상공간으로 재현함으로서 게임사용자들에게 전통문화를 가상체험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문화유산인 돈황 막고굴의 벽화에 나타난 불교경전의 이야기를 소재로 게임화 한 <천녀유혼2>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