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l

검색결과 530건 처리시간 0.02초

밤나무 혹벌 유충의 유약호르몬 함량과 유약호르몬 에스테라제 활성 (Juvenile Hormone Titers and Juvenile Hormone Esterase Activity during Larval Stage of the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 김유경;이충언;이경로;신병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4-152
    • /
    • 1992
  • 재래종 밤나무와 저항성 품종 밤나무(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충에서 유약 호르몬과 유약호르몬 특이에스테라제의 활성도를 Gas liquid chromatohraphy (R ller et al.1965), Galleria cuticle wax 검사 (de Loof & van Loon 1981) 및 Liquid scintilation counter (Hammock & Sparks 1977)로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충에서 GLC로 분리한 유약호르몬은 양군 모두에서 유약호르몬 I(JH-I)로 동정되었다. 저항성 품종(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약호르몬 함량은 35,800 GU/g와 30,900 GU/g이고, 재래종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약호르몬의 함량은 28,600 GU/g으로 나타났다. 유약호르몬 특이 에스테라제 활성도는 저항성 품종(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은 1.48 n mole/min/ml와 1.63 n mole/min/ml, 그리고 재래종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은 1.89 n mole/min/ml로 측정되었다. 유약호르몬 함량은 재래종 밤나무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보다 저항성 밤나무(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에서 더 높았으나, 유약호르몬 특이에스테라제 활성도는 저항성 밤나무(축파, 단택)보다 재래종 밤나무에 기생하는 혹벌에서 더 높게 나타나 서로 역비례 경향을 나타냈다.

  • PDF

소나무에서의 솔잎혹파리 피해 분포 (Distribution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Diptera: Cecidomyiidae), infestations on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 정영진;이준호;이범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0-155
    • /
    • 1997
  • 1992년, 1995년 및 1996년 3년 동안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확대되고 있는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양양군 일원의 소나무 임지에서 본 해충의 공간분포 양식을 조사한 결과,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의 소나무간 및 소나무 내 분포의 특징은 수고별로는 충영형성율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수관부위별로는 상부>중부>하부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소나무 치수에서도 정아신초의 충영형성율이 가낭 높고 수관 하부쪽으로 갈수록 충영형성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선단지의 솔잎혹파리 표본조사본수로는 수관 중부의 주초 1개와 측초 2개를 표본단위로 하여 1본당 2개의 표본단위를 취할 때. 10% 수준의 오차범위에서는 32본, 25% 수준의 오차범위에서는 5본을 택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분무장치(噴霧裝置)를 이용(利用)한 솔잎혹파리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Use of Sprinkler System for Control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11-321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춘기(春期)에 솔잎혹파리 성충(成蟲)이 우화(羽化)하여 지상(地上)에서 교미후(交尾後) 소나무 신엽(新葉)에, 산란(産卵)하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 성충우화기(成蟲羽化期)에 임분내(林分內) 또는 수관상부(樹冠上部)에 분무장치(噴霧裝置)를 설치(設置)하여 우화억제(羽化抑制)와 교미(交尾) 및 산란활동(産卵活動)을 교란(攪亂)시키므로서 농약사용(農藥使用)없이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를 방지(防止)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실시(實施)되었으며 요약(要約)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솔잎혹파리 성충우화기간(成蟲羽化期間)에 있어서의 임지내(林地內) 주간(晝間) 분무처리(噴霧處理)는 토중월동유충(土中越冬幼蟲)의 밀도변동(密度變動)에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다. 2. 분무처리(噴霧處理)는 총(總) 우화기간(羽化期間) 및 우화(羽化) 개체수(個體數)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우화초기(羽化初期)에는 지연(遲延), 후기(後期)에는 촉진(促進)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50% 우화일(羽化日)까지는 약(約) 7일간(日間)의 시차(時差)가 있었다. 3. 지상분무처리(地上噴霧處理)는 충영형성율(形成率) 감소(減少)에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으나 방제가(防除價) 45%로서 기대치(期待値)(85% 이상(以上)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며 분무(噴霧)의 엽면처리(葉面處理)는 평균(平均) 충영형성율(形成率) 2.6%로서 무처리구(無處理區)의 38.4%에 비교(比較)하여 높은 감소효과(減少效果)가 있었고 방제가(防除價)는 93.2%에 달(達)하였다. 4. 분무처리지(噴霧處理地)의 충영내(內) 좌충수(左蟲數) 조사(調査) 결과(結果), 지상처리(地上處理)는 좌충수(左蟲數) 감소(減少)에 전혀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으나 엽면처리(葉面處理)에서는 충영당(當) 평균(平均) 좌충수(左蟲數) 2.3마리로서 대조구(對照區)의 4.2마리에 비(比)하여 약(約) 45%의 감소효과(減少效果)가 있었다. 5. 분무처리(噴霧處理)는 솔잎혹파리 피해목(被害木)에 대(對)하여 15-18%의 신초생장(新梢生長) 증가(增加) 효과(效果)를 나타냈다. 6. 분무처리(噴霧處理)의 흡즙성(吸汁性) 해충(害蟲)에 대(對)한 밀도감소(密度減少) 효과(效果)는 지상처리(地上處理)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엽면처리(葉面處理)에서는 현저(顯著)한 밀도감소(密度減少)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Assessment of nutritional condition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and juveniles with special emphasis on metamorphosis and settlement

  • Gwak, Woo-Seok;Masaru Tanaka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76-77
    • /
    • 2003
  •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and early juveniles were reared for 43 days after hatching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starvation during development and metamorphosis. Morphological,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made to assess the nutritional condition during growth and starvation from pre-matamorphic through post-metamorphic phases. Two groups of fish were compared ; one with sufficient food supply and one under continuous starvation until death. Among morphometric analyses, both ratios of body height at anus/head height and pre-/post-anal lengths appeared to be sensitive to starvation during which substantial reduction was observed within a day of food deprivation. Histological variables as intestinal and rectal epithelial heights and gall bladder volume changed significantly with onset of starvation. The gut epithelial heights of starving fish decreased with advances in starvation, although they fluctuated during mid-metamorphic phase. In contrast, gall bladder volume increased remarkably soon after starvation. Ontogenetic changes in both gut epithelial height and gall bladder volume were evident, those associated with settlement and/or completion of metamorphosis. Abrupt decrease in the RNA/DNA ratios of starving fish were found right after onset of starvation. Even in the fed fish marked fluctuations in its ratios during metamorphosis were observed, evident by decreasing from late-metamorphic to post-metamorphic st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ly and histologically sensitive characteristics, and biochemical measurement could be utilized as a measure to evaluate nutritional condition related to starvation in wild olive flounder larvae and juveniles.

  • PDF

포도나무 줄기 혹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grapevine crown gall)

  • 정광진;심재섭;정봉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1
    • /
    • 1998
  • 최근에 재배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포도에 난방제 병해인 줄기혹병의 길항세균을 선발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포도 줄기혹병 이병포장으로부터 채취한 토양에서 길항균 strain 27를 선발하여 in vitro 및 in vivo bioassay결과 biovar 1 병원균인 A. tumefaciens C58과 Ach5, biovar 2 병원균인 A. rhizogenes 13264 및 biovar 3 병원균인 A. vitis 등을 모두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Strain 27의 세균학적 특성은 pAgK84와 비슷한 크기(46 Kb)의 plasmid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삼림 토양으로부터 솔잎혹파리 감염 사상균의 분리 (Isol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i for Infection to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from the Forest Soil in Korea)

  • 서종복;진병래;신상철;이범영;이창근;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8-372
    • /
    • 1995
  • 곤충병원성 사상균을 이용한 솔잎혹파리의 효과적인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병원성이 강한 균주를 전국 산림토양으로 부터 분리.동정하고, 병원성 검정을 통하여 유효 곤충병원 사상균을 선발코자 하였다. 솔잎혹파리 다발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부터 233개 지역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eauverla속 29균주, Paecilomyces속 2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위상차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였다. 아울러 토양 분리 균주를 솔잎혹파리 유충에 대해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Beauveria 속 SFB-168-2가 82.9%로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어,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유효병원 사상균으로 선발하였다.

  • PDF

구기자 혹응애(Eriophyes kuko $K_{ISHIDA}$의 가해상태 (The injured conditions of Eriophyes kuko $K_{ISHIDA}$)

  • 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65-66
    • /
    • 1965
  • 1959-'65년 사이에 구기자혹응애 (Eriophyes kuko $K_{ISHIDA}$가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_{ILL}$의 잎, 과병 및 꽃받침(화탁) 등에 식입하여 Gall을 형성함으로 인한 가해상태를 관찰할 목적으로 그 Gall의 내부조직의 식입 후 경과일별로 검경한 결과를 수록하였다. (1) 식입후 1일 까지는 책상조직만 식해하였다. (2) 1-10 일까지는 해선상조직의 일부까지 식해하나 이 기간에 있어서의 일별차이는 근소하였다. (3) 15 일 이후까지는 해선상조직까지 완전히 식해할 뿐만 아니라 엽록체도 대부분 소실되고 해면상의 공동이 생겼다.

  • PDF

솔잎혹파리의 생태와 방제전략 (The Eclogy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ana Its Control Strategies)

  • 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3-166
    • /
    • 1982
  •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r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s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 It requires two different habitats for the development; on trees and under the ground. The habitat specific mortality rates ere $30\~40\%,\;and\;50\~60\%$ for the respective habitats. The key developmental stage is the prepupa, and the key mortality factor i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soil and its variability. Since the insect is an exotic, the population status is the periphery and in the source of infestation are considerably different. Such a difference in habitats and the population status of the insect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suppression of the insect. The control strategies should be directional and rational based on the reality of the pest status. There have been substantial information on the control method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and each control method has an important place, but none has always provided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many problems associated by this insect. These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a system based on the ecology of the insect. There should be continued support for directed effort on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s for the insect: specifically, estmation of the critical economic injury level, and of the absolute density of the insect.

  • PDF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에 관한 연구 II - 성충 생식절의 표면미색구조 - (External Ultrastructure of the Adult Genital Segment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한성식;박용철;이찬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4-148
    • /
    • 1988
  •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성충을 재료로 하여 그 생식절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웅성 : 배측에서 보면 두쌍의 hypoproct가 있고 그 양쪽에는 한쌍의 claspettes가 있다. 각 부분의 표면은 주로 seta와 sensilla로 덮혀 있다. 특히 gonostylus 상단부에는 특이한 구조가 관찰되었다. 또한 aedeagus가 관찰되었는데 그 끝부분에는 매우 특이한 구조가 나타났다. 자성: Ovipositor는 세개의 마디로 되어 이들 각 마디의 표면구조는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 황초롱;강민정;심혜진;서화진;권오운;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5-172
    • /
    • 2015
  •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치자, 홍화황 및 아나토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2,441.45 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향 추출물에서 1,346.48 mg/kg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감 추출물에서 ($IC_{50}=22.83{\mu}g/mL$)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오배자 추출물에서 높았다. ${\alpha}$-Amylase 및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 역시 감 추출물 처리 시 각각 49.45% 및 61.0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mu}g/mL$ 농도로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율은 감, 정향 및 아나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각각 81.54%, 83.36% 및 85.70%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은 정향 추출물 처리군이 66.1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감 추출물 처리 군에서 88.8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천연식물류로부터 추출한 색소 원료 중 오배자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감 추출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과 3T3-L1 세포 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