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workforc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방사선사 인력수급 현황 분석 (Analysis on Working Force Supply of Radiologic Technologist in Korea)

  • 최경호;조정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489-495
    • /
    • 2017
  • 방사선사 면허 취득자에 대한 공급과잉이 되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관련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방사선 관련 학계 및 의료계의 노력이 우선되어야겠다. 그러나 이와 함께 방사선 관련 인력 수급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사선사 인력 수급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방사선 관련 정책 및 계획수립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방사선사 면허 취득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2004년도 대비 2014년도의 면허취득자 증가 수는 15,639명으로 75.6% 정도 증가하였다. 둘째, 방사선 관련 종사자들의 취업분야는 의료관련 분야가 65.7%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년부터 매 5년 간격으로 하여 2030년까지의 방사선사 인력에 대한 공급과 수요를 추계해 보면 2020년경에는 거의 6,000명 정도의 잉여인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넷째, 방사선학과 졸업생들의 첫 직장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의료분야에 취업하는 방사선사들의 취업 병 의원 분야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완장치가 필요하다는 점 등이 제언사항으로 도출되었다.

한국의 해상풍력산업 발전전략 고찰 (Contemplation of Korean Offshore Wind Industry Development)

  • 김종화
    • 풍력에너지저널
    • /
    • 제15권1호
    • /
    • pp.5-10
    • /
    • 2024
  •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has significant advantages, including enhanced energy security and job creation. However, despite these benefits, South Korea has not fully utilized its potential in this sector. In contrast,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development in Europe has been driven by government leadership. Drawing from this experience, South Korea also needs to relax regulations, strengthen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enhance financial support systems to activate the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For this, sustained government leadership is absolutely essential. Without addressing the capacity issues in the power grid, we cannot expect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to succeed. To address grid issues, we propose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called the "Special Act on Grid Expansion." Considering KEPCO's financial situation, private investment should be encouraged for grid construction. The role of developers is crucial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offshore wind power. They manage risks throughout various stages, from site acquisition to construction and operation,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jects. Since domestic developers currently lack experience in offshore wind power, a cooperative strategy that leverages the experience and technology of advanced countries is necessary. Energy issues should be recognized as important tasks beyond mere political ideologies, as they are crucial for the survival of the nation and its development. It is essential to form a public consensus and implement ways for residents to coexist with offshore wind power, along with the conservation of marine ecosystem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stakeholders. Expansion of the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requires support in various areas, including financial and tax incentives, technology research investment, and workforce development. In particula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necessitates the activation of offshore wind power alongside efforts by major corporations to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South Korea, surrounded by the sea, holds significant offshore wind power potential, and it is our responsibility to harness it as a sustainable energy source for future generations. To activate the offshore wind power market, we need to provide financial and tax support, develop infrastructure and research, and foster a skilled workforce. As major corporations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offshore wind power must play a significant role. It is our responsibility to fully utilize South Korea's potential and make offshore wind power a new driver of growth.

선진국의 역사적 사례에 기초한 여성경제활동인구 변화 전망 :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인력규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 (Projecting Future Change in the Female Labor Force based on Historical Experiences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Implications for the Effects of Changing Population Structure on the Size of the Workforce)

  • 이철희;김규연
    • 노동경제논집
    • /
    • 제42권4호
    • /
    • pp.1-29
    • /
    • 2019
  • 이 연구는 장래의 우리나라 여성(25~54세) 경제활동참가율이 미국이나 일본의 역사적 경험을 따라 변화하는 경우 최근(2018년)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유지되는 경우에 비해 2065년까지 여성경제활동인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정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미국이나 일본의 역사적 사례에 기초한 시나리오가 실현되는 경우 25~54세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2042년까지 각각 약 14%(약 797,000명) 및 15%(약 831,000명)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재 경력단절현상이 심한 30대와 40대 초반 여성경제활동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교적 가까운 장래에 인구변화로 인한 전체경제활동인구 감소효과가 크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일본의 사례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여성 경제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인구구조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칠 것으로 우려되는 잠재적인 영향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가까운 장래에 있어서는 장년고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PDF

국민영양관리를 위한 영양사 인력의 적정수급에 관한 연구 (The Demand and Supply of Nutritionist Workforce in Korea and Policy Recommendations)

  • 오영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533-542
    • /
    • 2010
  • 본 연구는 국민영양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중장기 수급전망을 통하여 영양사 인력수급정책에 필요한 기초 자료와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영양사의 면허등록인력, 사망자, 해외이주자, 취업직종 등 공급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양사 인력의 중장기 수급추계와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양사의 실태분석을 위해서 보건복지가족부의 영양사 면허등록인력,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자료 및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자격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영양사 인력 공급 추계방법으로는 기초추계유형 하에서 유입유출방법과 인구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수요추계방법으로는 인구, 국민총생산액 (GDP) 그리고 외국의 기준을 적용하는 비 (ratio)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2025년까지 영양사 수급불균형정도와 방향은 영양사 수요추계방법에 따라 다소 다르게 전망된다. 먼저 인구 비 (ratio)를 적용한 수요추계에서 단순인구를 적용한 수요 추계치는 우리나라와 같이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는 국가에서는 향후 국민건강영양수요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인구 비를 적용해야 하는 경우 연령별 가중치가 적용된 보정된 인구수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방법에 의한 수요추계치와 공급추계치를 비교하면 수요에 비해서 공급이 다소 많아서 2010년에 1,634명에서 2025년에 2,076명으로 영양사가 공급과잉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수급 불균형 규모가 10%내외에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뿐만 아니라 향후 소득증가에 따른 건강수준 향상에 대한 요구와 만성질환자 증가 등에 따른 식이영양의 중요성으로 영양사 수요는 증가하리라 판단되기 때문에 수급불균형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총생산 (GDP)의 비 (ratio)를 적용한 방법과 관련하여, 국내총생산이 원화 (₩)와 달러화 ($)로 표시된 것에 따라 수급불균형의 규모가 다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로 표시된 국내총생산의 비를 적용하여 추계한 수요와 비교하면 10% 내외의 수급불균형이 발생하고, 달러화로 표시된 국내총생산의 비를 적용한 수요추계치와 비교하면 영양사 공급과잉규모가 증가하다가 2020년 이후 부터 공급과잉의 규모가 감소한다. 국내총생산 (GDP)을 적용한 수요추계치와 공급추계치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공급과잉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노령화 및 만성질환자의 증가에 따른 식이영양의 수요의 증가로 영양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어 국내총생산의 비를 적용한 시나리오 하에서도 영양사의 수급불균형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외국의 영양사 비를 적용한 시나리오와 관련하여, 공급추계치를 미국의 영양사 기준을 적용하여 추계한 우리나라 영양사 수요추계치와 비교하면, 시나리오에 상관없이 우리나라 영양사 수요는 2025년까지 공급과잉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유럽의 영양사 기준을 적용했을 때는 시나리오에 따라 수급전망이 달라진다. 유럽의 '시나리오 1'을 기준으로 하면 공급과잉 현상이 발생하지만 '시나리오 2'를 기준으로 하면 공급부족현상이 발생한다. 외국의 기준을 적용한 수급추계결과에 대해서는 국가 간 영양사의 역할 및 기능 등이 다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우리나라 영양사인력은 다소 과잉공급이 전망되지만 노령화 및 만성질환자의 증가에 따른 식이영양 수요의 증가와 병원 분야의 임상영양사의 수요의 증가로 영양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어 영양사 공급과잉은 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영양사 자격요건은 지나치게 열려있으며 이는 영양사인력의 자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영양사 면허자격과 합격요건을 강화하여 영양사 배출 인력의 자질 향상과 적정수급을 유지하는 방향의 정책이 요구된다.

국내 방사선사 및 고가의료장비 분포 현황에 관한 연구 (The Distribution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High Price Medical Equipments in Korea)

  • 조영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39-346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방사선사와 고가의료장비의 분포 현황과 증가 추이를 조사하여 방사선사 수급 계획 및 대학생들의 취업 상담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관련 협회 및 국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2014년 8월부터 9월까지 조사하여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는 2014년 현재 총 18,988명, 인구 10만 명당 37.3명으로 전년 대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확인되었으나 매년 방사선사 면허취득자 보다 적은 수였다. 고가의료장비의 분포 현황은 2014년 기준 CT 총 1,873대로 전년대비 감소하였고, MRI와 PET는 각각 1,261대와 207대로 전년대비 증가하였으나 증가 폭이 감소하고 있어 고가의료장비의 증가 추세는 둔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방사선사들이 일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질적인 향상은 물론 방사선사 인력 현황의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미국 대학과 기업간 연계의 발전 과정 (Development of Interactions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mpanies in the U.S.)

  • 김형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70
    • /
    • 2005
  • 지식이 경쟁력을 결정짓는 주요 원천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고등 교육을 필요로 하는 지식 인력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난 지식 기반 사회에서, 대학 교육과 경제 발전의 관계가 점차 강조되고 있다. 대학들은 최근 변화의 시대에 직면하여 교육 기능과 더불어 대학 연구의 상품화나 기업가 정신의 고양에 힘쓰고 있는 한편, 기업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점차 복잡해지는 기술 환경 속에서 외부와의 연계를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들은 기업들의 혁신 과정에 공헌함으로써 국가와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발전된 대학 교육 시스템과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대학과 기업간 연계를 보여주고 있는 미국의 사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대학과 기업간 연계에 대한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 대학의 종류와 특성을 살피고, 대학과 기업간 연계의 발전 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하며, 미국이 세계적인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는 정보 기술 분야를 사례로 산업의 특성과 대학과 기업간 연계의 발전 과정을 정리한다. 끝으로 복잡하고 다층적인 대학과 기업간 연계 관계의 주요 유형들을 정리하여 대학과 기업 연계에 대한 이후 연구에 개념적 틀을 제시한다.

  • PDF

한국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의 전문적 치료 현황 (A Practice Pattern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in South Korea)

  • 정경희;안동현;김정유;김현정;방양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1호
    • /
    • pp.6-13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areer paths and practice pattern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in South Korea. Methods : A survey on demographic data, work environment, opinion on fellowship training program, and current practice patterns was conducted in 76/223 (34.0%) of all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N=223) were from 1980 to 2008. The survey data from the responders were analyzed. Results : More than half of those surveyed were women. The mean age of survey participants was 40.8 years; most were married, and lived in the Seoul National Capital Area. In general, the responder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ir work. They worked in private practice, public sector, group practice, and as consultants. Up to 87% of the patients treated were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most common treatment modalities were medication and parent psychoeducation. Social skills training and play therapy were applied mainly for children aged 4 to 12 years ol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counseling were preferred in adolescents. Conclusion : The current study used a database approach in order to define current practice patterns. These data may be helpful in consideration of future training programs, workforce issues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n South Korea, and also in collaboration with other mental health providers.

신규 여성 박사들의 경력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Explore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Recently Obtained Doctoral Degree in Education)

  • 김효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85-696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계열 전공 여성 박사의 학교와 직장의 진로성취과정에서 겪는 진로개발 및 진로장애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근 5년 이내의 교육계열 전공 여성 박사 42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육계열 여성 박사들은 교수와의 학술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진로개발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었으며 둘째, 직장 내에서 유리창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라는 것이 기혼 및 미혼 여성 박사 모두 진로개발 시 장애요인이라고 인식했다. 기혼은 자신의 가정과 육아에 대한 책임감과 미혼은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 사회적 약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경험들은 여성 박사들에게 진로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주변인의 지지와 자신의 자아실현에 대한 강한 목표의식은 진로장벽을 타계하는 방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 박사의 진로개발에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맥락이 여성의 진로개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여성 박사를 위한 진로지도는 학생들의 요구와 사회 변화에 따라 유동적이고 다각적인 방향에서 접근 하는 것이 필요하다.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rends for beef product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A review

  • Drouillard, James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7호
    • /
    • pp.1007-1016
    • /
    • 2018
  • USA beef production is characterized by a diversity of climates, environmental conditions, animal phenotypes, management systems, and a multiplicity of nutritional inputs. The USA beef herd consists of more than 80 breeds of cattle and crosses thereof, and the industry is divided into distinct, but ofttimes overlapping sectors, including seedstock production, cow-calf production, stocker/backgrounding, and feedlot. Exception for male dairy calves, production is predominantly pastoral-based, with young stock spending relatively brief portions of their life in feedlots. The beef industry is very technology driven, utilizing reproductive management strategies, genetic improvement technologies, exogenous growth promoting compounds, vaccines, antibiotics, and feed processing strategies, focusing on improvements in efficiency and cost of production. Young steers and heifers are grain-based diets fed for an average of 5 months, mostly in feedlots of 1,000 head capacity or more, and typically are slaughtered at 15 to 28 months of age to produce tender, well-marbled beef. Per capita beef consumption is nearly 26 kg annually, over half of which is consumed in the form of ground products. Beef exports, which are increasingly important, consist primarily of high value cuts and variety meats, depending on destination. In recent years, adverse climatic conditions (i.e., draught), a shrinking agricultural workforce, emergence of food-borne pathogens, concerns over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imal welfare/well-being, environmental impact, consumer perceptions of healthfulness of beef, consumer perceptions of food animal production practices, and alternative uses of traditional feed grain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with respect to their impact on both beef production and demand for beef products. Similarly, changing consumer demographics and globalization of beef markets have dictated changes in the types of products demanded by consumers of USA beef,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e industry is highly adaptive, however, and responds quickly to evolving economic signals.

지역사회 보건교육 (Community Health Education)

  • 이주열;박천만;서미경;최은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41-249
    • /
    • 2007
  • Health education aims at behavior change rather than just delivering health knowledge to people. In Korea health education activities in public sector began in 1960 and they were included in the primary prevention program in communities. This article reviewed current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healthy living practice programs provided by local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and drew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ole of health education in community setting. Health education has been a core function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nation since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in 1995.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are funded b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 which are drawn from tobacco tax.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include healthy living practice programs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moderate alcohol use program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and nutrition programs), chronic disease prevention programs, oral health programs and public hygiene programs. Methods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include health education, health counseling, health class,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urvey and research.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include smoking cessation clinic, smoking cessation education, non-smoking environment program, and non-smoking campaign. Moderate alcohol use programs include alcohol use education, moderate alcohol use campaign, alcohol use counseling, and alcohol free environment program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include obesity control, targeted exercise program, and exercise civic group programs. Nutrition programs include nutrition management, obesity management, nutrition education, breakfast eating program, and nutrition counseling and treatment programs. The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community are not efficient today because there are many overlapping contents and short term goals. Community health education programs needs to be more comprehensive. Workforce development is another big issue at the moment because the National credential program will begin in 2009. Variety of community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funded b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