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s of questions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 분석 (An analysis of types and functions of questions presented in data and chance area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도주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65-27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여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학년군별로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 및 기능별 출현 비율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학년군별 학습 내용 및 학년군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발문의 기능은 발문의 유형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수학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 지도 시 발문 사용에 대한 교수·학습상의 기초를 제공하여 발전적인 방향으로 통계교육이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수학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Pattern Area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도주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189-20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여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고 규칙성 영역 지도에 효과적인 발문 활용에 있어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은 학년군별로 공통되게 추론 발문, 사실 발문, 열린 발문 순으로 출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모든 학년군에서 추론 발문의 출현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규칙성 영역 단원에서는 규칙을 찾는 과정에서 추측, 발명, 해결 활동을 돕거나 수학적 추론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은 학년군별 학습 내용 및 학년군의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규칙성 영역 지도 시 발문 구안에 있어서 참고자료의 제공 및 나아가 규칙성 교수·학습을 발전적으로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학분야 전문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하위주제영역별 이용자의 질문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an Educational Research Library: Focusing on Types of Questions Among Subareas of Education)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65
    • /
    • 2009
  • 교육학 분야 전문기관의 전자게시판에 접수된 참고질문의 유형과 하위주제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학의 23개 하위 주제영역을 대상으로 6개 질문유형을 가지고 242건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순수한 참고질문은 56.14%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도서실 게시판에 접수된 질문은 교과교육, 교과서, 교육일반, 교수 학습영역에서 조사형 질문이 많았으나 교육통계연구센터 게시판에는 교육제도, 고등교육, 학생 학부모 분야에서 즉답형 질문이 많이 접수되었다. 분석결과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메뉴구조 개선으로 이용자의 편의성 확보, 검색기능과 응답기능 갖춘 디지털참고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웹폼 참고질의양식 사용, 용도에 적합한 전자게시판 사용, 참고질의 관련 주제를 장서개발정책에 반영할 것이 제안되었다.

A Small Scale Investigation into Teacher Questions in the Primary English Classroom

  • Chang, Kyung-Suk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spc호
    • /
    • pp.39-60
    • /
    • 200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classroom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er talk in the primary English classroom with special reference to teacher questions. The analysis of the recorded teacher questions reveals that the teacher asks a carefully structured sequence of questions leading to the clear pedagogical goals she has set: to encourage students to correct themselves; to find out what students know; to personalize the task; and to elicit culture talk. It is also shown that her use of display questions is supportive of learning; the teacher provides feedback in a way which is as communicative as possible in the context of the classroom and which facilitates the attainment of the pedagogical purposes. 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e consider how teacher talk may perform communicative functions in the classroom context rather terms defining communicative teacher talk purely in terms of the norms of communication outside the classroom.

  • PDF

초등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 특성 연구 (A Study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Chapters of Number and Operation Area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도주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89-10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와 연산 영역 지도 시 효과적인 발문 활용에 있어서 교수·학습상의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을 학년군별로 비교 분석하여 발문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은 학년군별로 공통되게 추론 발문, 사실 발문, 추론을 요구하지 않는 열린 발문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모든 학년군에서 추론 발문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모든 학년군에서 문제의 추측, 발명, 해결 활동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과 수학적 추론을 돕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발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처럼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작용 기능은 학년군별 학습 내용의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와 연산 영역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발문 구안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여 발전적인 교수·학습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유아원 아동 어머니의 놀이와 일의 개념-질적인 접근 (Conceptions of Play and Work Held by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Korea)

  • 남현숙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9-240
    • /
    • 1992
  • Although play is a key element in child developmen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how play is conceptualized by adults directly involved with children on a daily basi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meanings of the concept "play" held by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Korea. Specifically, the study sought to determine Korean mot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and functions of play, and their conceptions of play in contrast to work. An open-ended/semi-structured interview instrument was constructed to generate research data. Interview questions focused on three content categories: (1) the nature of play, (2) the functions of play, and (3) conceptions of work. Questions in each content category consisted of four distinct types: (1) experience/behavioral, (2) opinion/value, (3) feeling, and (4) knowledge. The instrument was pilot-tested with two subjects, revised, and administered to eleven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terview data were subjected to domain and taxonomic analyses. Analyses yielded two principal themes: (1) Play is viewed as an intrinsically motivated and pleasurable activity; (2) while play and work could be consonant, the values inherent in play and work are generally in opposition.

  • PDF

SOME RESULTS ON THE QUESTIONS OF KIT-WING YU

  • Majumder, Sujoy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295-309
    • /
    • 2016
  • The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meromorphic functions sharing a small function with its differential polynomials and improves the results of Liu and Gu [9], Lahiri and Sarkar [8], Zhang [13] and Zhang and Yang [14] and also answer some open questions posed by Kit-Wing Yu [16]. In this paper we provide some examples to show that the conditions in our results are the best possible.

ALGORITHMS FOR COMPUTING OF HILBERT FUNCTIONS

  • Shin, Dong-Soo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2권1_2호
    • /
    • pp.375-384
    • /
    • 2003
  • We introduce some algorithms for computing Mathematics and also give some ques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computations using CoCoA and Splus.

A Case Study on Students' Concept Images of the Uniform Convergence of Sequences of Continuous Functions

  • Jeong, Moonja;Kim, Seong-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3-152
    • /
    • 2013
  •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s of sequence of continuous functions and its uniform convergence. We selected three female and three male students out of the senior class of a university and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4 times. We examined students' concept images of sequence of continuous functions and its uniform convergence and also how they approach to the right concept definitions for those through several progressive questions. Furthermore, we presented some suggestions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for the sequences of continuous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