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extracts

검색결과 1,662건 처리시간 0.025초

Natural Scavenger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Rumex crispus as natural colorant

  • Suh, Hwa-Jin;Ahn, In-Yong;Song, Eun-Young;Na, Seon-Young;Park, Jin-Woo;Park, Ji-Ju;Kwon, Oh-Oun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5차 학술발표회
    • /
    • pp.41-41
    • /
    • 2011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icacy of phytochemicals of Rumex crispus as anti-oxidant and anti-browning agent. The bioactive properties of Rumex crispus as natural colorants were studied by total phenolic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lipid peroxidation, cell viability, singlet oxygen quenching and photoprotection effect. Among all of the results ($IC_{50}$: the concentration of various extracts required to exert 50% reducing effect), the higher activity of the extract was found in the ethyl acetate and butanol extracts. Anti-browning activity was evaluated by monitoring the change $L^*$, $a^*$, $b^*$ values and total color differences(${\Delta}E$). It was found that ethyl acetate and butanol extracts effectively inhibited browning in apple juice at a concentration below 0.3 mg/ml. Rumex crispus extracts used natural colorants could be of good resources as anti-oxidant and anti-browning ag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our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atural and functional materials with potential application to reduce oxidative damage.

  • PDF

Effect of Turmeric Extracts on Nutrition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erminated Korean Brown Rice

  • Kim, Jeong-Ho;Yoon, Yong-Han;Kim, Il-Doo;Dhungana, Sanjeev Kumar;Park, Yong-Sung;Shin, Don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7-526
    • /
    • 2021
  • Brown rice is more nutritious than the commonly consumed white rice, however, the former is not widely accepted because of its coarse texture and difficulty in cooking. Germination is an easy technique to minimize the drawback of normal brown ri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1, 3, and 5% w/v) of turmeric extracts on the nutri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GBR). The b (yellowness) values of the turmeric-treated GB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control. Lower concentration (1%) slightly increased (3395.5 mg/kg) but higher concentrations (3 and 5%) reduced (1735.8 - 2393.7 mg/kg) the total mineral content in GBR, as compared to the control (3377.4 mg/kg). The amount of essential, non-essential, and total amino acids, including GABA, were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turmeric extracts. The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was increased by 58.3, 71.5, and 88.3% with the application of 1, 3, and 5% extracts,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GBR was also enhanced with turmeric treatment.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1 or 3% turmeric treatment could be appropriate to enhance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of GBR.

넓패(Ishige foliacea)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In Vitro Screening of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shige foliacea Extracts)

  • 김지윤;박다빈;김민겸;박선주;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09-215
    • /
    • 2024
  • Ishige foliacea belongs to class Phaeophyceae and family Ishigeacea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Korean marine algae I. foliacea. Its solvent extracts were prepared with 70% ethanol, 80% methanol, and distilled water. The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had higher α-glucosidase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0.67-0.73 mg/mL), xanthine oxidase (IC50: 0.25-0.28 mg/mL),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C50: 25.29-38.28 ㎍/mL) inhibitory activities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 The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possessed hig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IC50: 0.78c0.97 mg/mL). Conversely, the water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β-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IC50: 0.48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 foliacea may be useful as a functional substance in food and pharmaceuticals with anti-diabetic, anti-gout, anti-hypertension, and anti-dementia properties.

산딸나무의 부위별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and Solvent Fractions in Cornus kousa Buerg)

  • 김영중;정진아;권수현;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5
    • /
    • 2008
  • 산딸나무의 꽃, 잎, 열매, 가지 등 부위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항산화활성 그리고 tyrosin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다른 부위보다 꽃 추출물에서 169.638 $mg{\cdot}g^{-1}$과 25.418 $mg{\cdot}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Fe^{2+}$ chelating 효과 역시 꽃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Ferric thiocyante 방법으로 지질 과산화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꽃, 잎, 가지의 경우는 BHT보다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 억제활성은 오직 꽃 추출물에서만 나타났다. 높은 생리활성을 보인 꽃과 잎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의 순으로 용매분획한 결과, 폴리페놀함량은 꽃과 잎 모두 water 분획물에서 각각 67.006 $mg{\cdot}g^{-1}$ 및 66.739 $mg{\cdot}g^{-1}$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꽃의 경우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고, 잎은 butanol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꽃 추출물의 경우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고 잎 추출물은 butanol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꽃과 잎의 각 용매 분획물이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모두 water 분획물에서 각각 49.24% 및 31.8%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감귤의 발효와 발효산물의 기능적 특성 (Fermentation of Citrus unshiu Mar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Products)

  • 문상욱;강신해;진영준;박지권;이영돈;이영기;박덕배;김세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69-676
    • /
    • 2004
  • 본 연구는 젖산균과 효모에 의해 발효처리한 감귤의 기능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발효감귤 추출물의 항산화도는 발효하지 않은 감귤 추출물과 비교할 때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대조구와 비교할 때 발효처리한 감귤 추출물에서 플라보노이드 조성변화가 나타났으며, 각각 naringenin, hesperetin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감귤은 발효처리와 상관없이 HepG2 세포의 세포사멸 보호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발효처리구에서 세포사멸 보호효과와 ROS(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감소효과가 더욱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수컷의 Sprague-Dawley rat에 감귤 추출물과 발효감귤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체중은 다른 실험군에 비해 발효감귤 추출물의 고농도 투여(100 mg/kg 체중)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 형성은 발효 감귤 추출물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발효 감귤 추출물은 세포수준에서 감귤추출물에 비해 증강된 세포 사멸 보호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동물실험에서는 고 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 형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여 주었다.

맥엽 및 항산화 조성물의 생리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질산염 소거능을 중심으로 - (Func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Barley Leaves and its antioxidant mixture - Study on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

  • 홍이진;박형근;주상섭;김경탁;이성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33-337
    • /
    • 2003
  • 맥엽과 이를 이용한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에 존재하는 nitrite scavenging효과와 이에 따른 발암원으로 부터의 보호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 모두 수층에 비하여 메탄올층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M-BL50의 0.01 mg/ml 농도에서 약 64.3%, M-AM 0.01 mg/ml 처리군이 이보다 약간 높은 68.3% 정도로 나타내었다. 마우스 단핵구 기원인RAW 264.7(macrophage, mouse)에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의 수층과 메탄올층을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에서 모두 세포 생존율이 더 낮게 측정되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억제되었다. 특히, M-AM을 처리한 군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가장 낮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항산화물 첨가에 의해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으며 $IC_{50}$ 수치 또한 메탄올층과 A-AM시료 처리군에서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내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역시 마찬가지로 맥엽 입자 크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과 항산화물을 첨가한 군에서 모두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어 맥엽 및 기타 항산화물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의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근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mus$ $pumila$ L. Extracts)

  • 정광열;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4-109
    • /
    • 2012
  • 본 연구는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유근피(Ulmuspumila L.)추출물을 기능성식품에 활용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암세포 증식 억제능의 기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12.7%와 12.0%였으며,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623.5{\pm}2.4$ mg/100g 및 $710.5{\pm}2.1$ mg/100g이었고, 전자공여능은 농도에 비례하여 높아, 1,000 ppm에서 물추출물은 76%, 에탄올 추출물은 64%로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았다. SOD유사활성능은 전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아 1,000 ppm에서는 물 추출물이 53%, 에탄올 추출물이 38%이었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1,000 ppm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47%, 물 추출물이 43%로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다소 높았다. 항암성은 MDA cell에서 1,000 ppm의 경우 물 추출물은 62%, 에탄올 추출물은 42%이었으며, A549 cell에서 1,000 ppm의 경우 물 추출물은 60%, 에탄올 추출물은 45%로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암세포증식 억제력이 월등히 높았다.

오가피 부위별 50%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50%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 최재명;안준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3-377
    • /
    • 2012
  • 오가피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약재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생리활성 물질(eleutheroside B, eleutheroside E)의 함량, 추출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활성, 아질산염소거능 및 항암활성을 알아보았다. 오가피의 생리활성 표준물질인 eleutheroside E는 줄기(556.00 ${\mu}g/g$)>뿌리(430.22 ${\mu}g/g$)>열매 (32.70 ${\mu}g/g$)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eleutheroside B는 열매 (538.99 ${\mu}g/g$)>줄기(423.60 ${\mu}g/g$)>뿌리(352.30 ${\mu}g/g$)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폴리페놀은 뿌리(2.97 mg/g) 부위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잎, 줄기에 각각 0.95, 0.77 mg/g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은 줄기 추출물에서 90.21%로 대조구인 1% (w/v) L-ascorbic acid의 전자공여능(91.75%)과 유사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고 뿌리 추출물에서도 85.7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발암 전단계를 촉진하며 산성 환경에서 식품 중에 nitrosoamine을 생성하는 아질산염에 대한 오가피의 제거 효과는 추출부위와 관계없이 pH 1.2에서 81.5-93.0%로 높게 나타났다. pH가 높아짐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개 소실되었으나 잎 추출액의 경우 pH 6.0에서도 62.9%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각 부위별 추출액은 모두 정상세포인 DC2.4의 생육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아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뿌리 추출물에서는 위암세포주인 SNU-719에 대해 약 23%의 저해 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염 제거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잎새버섯 추출물의 생리 기능 및 음료 제조 (Physiological Function and Development of Beverage from Grifola frondosa)

  • 이재성;이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41-1247
    • /
    • 2007
  • 잎새버섯을 건조시 킨 후 메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로 최적 음료 조건을 조사하였다. 건조한 잎새버섯을 메탄올과 물로 추출한 후 수율과 폴리페놀 함량은 메탄을 추출물 28.7%, 130 mg/100 g, 물 추출물 49.2%, 327 mg/100 g으로 물 추출물이 수율 1.7배, 폴리페놀 함량은 2.5배가량 높았다. 잎새버섯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메탄을 추출물에서 65.4%,물 추출물에서 76.3%으로 높았으나 SOD 유사활성능은 $1,000{\mu}g/mL$에서 $26.3{\sim}33.8%$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CE 저해 효과는 메탄을 추출물에서 41.2%,물 추출물에서 75.1%로 나타났다. Tyrosinase 억제 효과는 메탄을 추출물에서 31.8%, 물 추출물에서 42.5%이었다. 이상과 같이 메탄을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에서 생리적 기능이 높음을 확인하였기에 물 추출물을 음료 제조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잎새버섯 음료의 최적 배합비는 잎새버섯 물 추출물 0.5%, oligosaccharide 8.0%, green tea extract 2%, jujube extract 2%, solomon's seal extract 1.0%, vitamin C 0.01%, apple extract 2%이었으며, 이 때 최종 음료의 당도는 9.8 Brix, 색도는 L, $35.05{\pm}1.08;$ a, $3.24{\pm}0.19;$ b, $13.64{\pm}0.33$으로 나타났다.

흑삼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lack Ginseng)

  • 박혜진;김애정;전용필;이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14-323
    • /
    • 2015
  • 본 연구는 구중구포법 과정의 흑삼 1~9포를 대상으로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ginsenosides을 분석한 결과 생리 활성이 높다고 판단한 흑삼 5포와 9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3T3-L1 지방세포, RAW264.7 대식세포, 지방유래 줄기세포에 처치하여 세포독성, 지질축적(adipogenesis) 및 염증인자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 흑삼에서 효율적으로 ginsenosides가 추출되었다. 또한 흑삼 에탄올 추출물이 $PPAR{\gamma}$ 및 C/$EBP{\alpha}$ 감소, AMPK의 인산화 증가 등 adipogenesis 관련인자를 억제하였으며, 아울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에도 잠정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ginsenosides와 비만과의 조절기전 연구 및 항염증성 기전 등에 대한 정확한 기전 규명이 필요하다. 현재 인삼에 함유된 ginsenosides를 이용하여 체지방 감소 등의 기능성식품으로 많이 개발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홍삼 및 흑삼의 제조 기술인 구증구포법의 효율적인 표준화 공정기술, 유효 생리활성 성분의 대량 생산 및 안전성 기술 등이 개발된다면 항비만에 대한 고부가 가치 상품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