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extracts

검색결과 1,669건 처리시간 0.048초

국내산 장미꽃 추출물이 Chinese Hamster Ovary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mestic Rose Flower Extracts on the Growth of Chinese Hamster Ovary Cells)

  • 전혜경;박홍주;유병선;조용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132-135
    • /
    • 2007
  • 국내에서 새로 육성된 장미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천연 식품소재로서 기능성을 탐색하는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5개 장미 품종을 대상으로 유기용매 추출물을 제조하고 장미꽃 추출물이 CHO 세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MTT법으로 조사하였다. 장미 추출물들은 추출용매의 종류와 첨가농도에 따라 CHO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거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품종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Ether로 추출한 장미꽃 추출물을 5 ${\mu}$g/ml 농도로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CHO 세포의 증식촉진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장미꽃은 CHO 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신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하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흰민들레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볶음시간에 따른 흰민들레 침출차 제조에 관한 연구 (Biological Activity of Korean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Extracts and Preparation of Korean Dandelion Tea by Roasting Time)

  • 유은미;민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81-58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Water extracts, ethanol extracts and methanol extracts were used to exa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flavonoid, total polyphenol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ion solvents. The antimicrobial activties of Korean dandelion extracts were examined on several food borne illness microorganisms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Inhibition zones were observed on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in ethanol extracts. Inhibition zones were also observed on Listeria monocytogenes in water extract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dandelion tea according to the roasting time and soaking amount of tea were studied. The pH of the dandelion tea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soluble sol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d roasting time (p<0.01). The lightness of the dandelion tea decreased and the turbidity increased with increased roasting time. In sensory evaluation, the sensory scores for the color, flavor and tota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the 40 min roasted t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ter extract of Korean dandelion could be used as an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functional food source. The optimum roasting time for Korean dandelion tea was 40 min at $200^{\circ}C$.

Antioxidant Activity of Orange Flesh and Peel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 Park, Jae-Hee;Lee, Minhee;Park, Eun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4호
    • /
    • pp.291-298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range (Citrus auranthium) flesh (OF) and peel (OP) extracted with acetone, ethanol, and methanol. Antioxidant potential was examined by measuring total phenolic content (TPC),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CAA). The comet assay was used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s of OF and OP against $H_2O_2$-induced DNA damage. TPC was highest in the acetone extracts of OF and OP. DPPH RSA was also higher in the acetone extracts than in the ethanol extracts. The DPPH RSA was highest in the acetone extracts of OF. The TRAP and ORAC values of the all extract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TRAP assay, the acetone extracts of OF and OP had the lowest $IC_{50}$ values. In the CAA assay, the methanol and acetone extracts of OP had the lowest $IC_{50}$ values. All of the samples protected against $H_2O_2$-induced DNA damage in human leukocytes, as measured by the comet assay, but the acetone extracts of OP had the strongest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etone is the best solvent for the extrac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OF and OP. Furthermore, the high antioxidant activity of OP, which is a by-product of orange processing,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in nutraceutical and functional foods.

갯사상자(Cnidium japonicum)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생리활성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Cnidium japonicum)

  • 김지윤;이연지;김원석;문수경;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10-318
    • /
    • 2022
  • Cnidium japonicum a bi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Umbelliferae, is a halophyte that grows in high-salinity areas of coastal sand dunes and sandy shor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tituents,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 japonicum. Mineral analyses revealed that potassium, sodium, calcium, and magnesium were the most prevalent minerals in C. japonicum. We used 80% ethanol, 80% methanol, and distilled water as solvents to prepare extracts from C. japonicum tissues, and the obtained extraction yields ranged between approximately 26% and 32%. Among the three extracts, the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had high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levels than the water extracts di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were the highest among the various solvent extracts of C. japonicum as was the elastase/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In contrast, the ethanol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Furthermore, the methanol extract possessed over 80% BACE1 (β-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at a final concentration of 20 ㎍/mL.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of C. japonicum may be useful as antioxidant and functional substances in food and pharmaceutical material.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Hispidulin의 분석법 평가 (Analytical Method for the Validation of Hispidulin as a Marker Compou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as a Functional Ingredient)

  • 전윤정;곽호영;최종길;이제혁;최수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1-276
    • /
    • 2016
  • Background: In the present study, we established an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analys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a part of the material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functional foods from Salvia plebeia R. Br. extract. Methods and Results: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 of hispidulin as a marker compound was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YMC hydrosphere C18 column with a gradient elution system. This method was validated using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ests. It showed a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95. The method was fully validated, and was sensitive, with the limit of detection (LOD) at $0.09{\mu}g{\cdot}m{\ell}^{-1}$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t $0.27{\mu}g{\cdot}m{\ell}^{-1}$.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the data from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0.05 - 0.22% and 0.32 - 0.42%, respectively, and the intra- and inter-day accuracy of hispidulin were 99.5 - 102.3% and 98.8 - 101.5%, respectively. The average content of hispidulin in Salvia plebeia R. Br. extract was $3.945mg{\cdot}g^{-1}$ (0.39%).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HPLC method is very efficient, and that it could contribute to the quality control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s.

추출조건이 마늘 추출액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Extracts)

  • 변평화;김우정;윤석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07-513
    • /
    • 2001
  • 마늘의 이용성 증진과 마늘의 기능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최적용매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마늘을 5종류의 유기용매와 4종류의 산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추출수율과 기능성을 조사하여 최적 용매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용매의 농도를 0, 25, 50, 75, 100%로 조절하여 적정농도를 조사하고 적정용매의 pH 조절, 산 및 염의 첨가 시 추출율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전자공여효과 및 총 thiosulfinates 함량 측정, 항산화성 등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마늘의 기능성 성분의 최적추출조건은 극성이 큰 methanol 의한 추출이 효과적이었다. Citric acid를 비롯하여 유기산 및 무기산 (acetic acid, phosphoric acid, tartaric acid)으로 추출할 때 고형분 수율은 높았으나 기능성에서 methanol 보다 효율성이 낮은 값을 보여 전자공여능은 약 1/2 정도 낮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완충액의 모든 pH 영역에서 낮게 나타났고, 항산화효과인 과산화물 생성억제도 methanol 추출액이 약간 효과가 더 높았다. Methanol과 ethanol의 기능성 성분의 추출효과는 비슷하므로 식품응용을 고려할 때 ethanol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Ethanol의 농도를 달리하여 추출한 결과 50% ethanol 농도에서 가장 추출이 용이하였고 고형분수율 및 기능성도 가장 효과적이었다. 50% ethanol 용매보다 더 효율적인 추출조건을 찾기 위해 50% ethanol 용액의 pH조절과 NaCl, citric acid, $NaH_2PO_4$, $Na_2HPO_4$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추출하였을 때 고형분수율 및 기능성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마늘 성분의 추출은 50% ethanol 농도가 마늘의 기능성성분들의 효과적인 추출 방법으로 판단된다. Monascin의 경우 맛살에서 $0.01{\sim}3.31\;g/g$ 혼합어육소시지에서 $0.05{\sim}0.10\;g/g$, 반건조소시지에서 $0.34{\sim}0.35\;g/g$이 각각 검출되었고, 나머지 품목에서는 모두 불검출이었다. 한편, ankaflavin의 경우 맛살에서만 $0.02{\sim}0.89\;g/g$이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품목에서는 모두 불검출이었다.gen synthase의 활성은 P군에 비해 POD군에서 높았고(P<0.05), Px 백서가 Sham 백서에 비해 낮았다(P<0.05). Px 백서의 quadriceps 근육내 중성지방 축적량이 Sham 백서에 비해 높았는데, P에 비해 POD를 공급하였을 때 중성지방의 축적양이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POD은 당뇨와 정상 백서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의 감소 현상은 근육에서의 glycogen synthase 활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로 높은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수용성계에서 뿐 만 아니라, 비수용성계에서도 중금속 이온 존재 하에서의 AsA 자동산화반응에서의 $O_2\bar{{\bullet}}$ 생성이 시사되었다.pm, $230^{\circ}C$에서 5.56 ppm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nonano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등이 고온가열에 의해 생성되었다가 이들이 열분해로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평균치는 34점이었으며 여윔에서는 너무 살찜으로 갈수록 사회적 체형불안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쿠오카 지역의 체형 불안 도가 대구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 일 여대생의 자기 체형인식 및 체형 불안도에

  • PDF

블랙푸드 첨가에 따른 약콩 청국장 및 대두청국장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mall-black-bean-Chungkukjang-added black food and soybean Chungkukjang extracts)

  • 박현숙;신승렬;홍주연;양경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35-743
    • /
    • 2013
  •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그리고 약콩청국장에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 분말을 첨가한 약콩청국장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청국장과 블랙푸드의 식품학적인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약콩청국장,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다.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블랙푸드 첨가한 약콩청국장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0.625~5.0 mg/mL의 농도에서는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나 10 mg/mL의 농도에서는 대두청국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청국장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3.0일 때 보다 높았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0.625 mg/mL의 농도에서는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대두청국장의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과 대두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다.

전처리조건에 따른 망초(Erigeron canadensis L.)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L.) with Pretreatment Conditions)

  • 우관식;송석보;오병근;서명철;고지연;이재생;강종래;남민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79-1283
    • /
    • 2009
  • 망초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 측정을 통하여 대표적인 항산화성분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탄닌, chlorophyll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에 의한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생물 상태 망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및 chlorophyll 함량은 각각 63.32, 27.71, 161.19 및 428.85 mg/g으로 나타났다. $4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의 경우 각각 89.25, 33.44, 210.44 및 229.29 mg/g으로 나타났으며, 끓는 물에 2분간 데친 후 48시간 $4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는 각각 115.49, 45.51, 252.54 및 283.07 mg/g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생물상태보다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상태 망초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 %)의 $IC_{50}$은 5.5527 mg/mL, 총항산화력은 192.78 mg AA eq/g sample로 나타났다. $4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의 경우 각각 0.4710 mg/mL 및 194.05 mg AA eq/g sample로 나타났으며, 끓는 물에 2분간 데친 후 48시간 $4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시료는 각각 0.4135 mg/mL 및 242.40 mg AA eq/g sample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생물상태보다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딸나무(Cornus kousa)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ornus kousa Fruit)

  • 이은호;이선호;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17-323
    • /
    • 2015
  • 산딸나무 열매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생리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산딸나무 열매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물과 4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7.04, 4.47 mg/g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200{\mu}g/mL$로 조절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84, 86%였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decolorization은 $100{\mu}g/mL$ phenolics 농도의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84%, 95%였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93와 1.82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은 $1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9%, ethanol 추출물에서 89%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34, 60%로 측정되었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9, 87%의 높은 효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만 19%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저해능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이 각각 53, 77%의 높은 저해력을 나타내어 주름개선효과가 높았다. 염증억제효과로서 hyaluronida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농도의 물 추출물에서 34%의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딸나무 열매추출물은 항산화, 통풍억제, 당분해 억제, 주름개선효과, 염증억제 등의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로부터 추출한 Phenolic Compounds의 미용 식품 활성 (Beauty Food Activities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 조재범;이은호;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3-341
    • /
    • 2016
  • 본 연구는 물과 ethanol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추출물이 미용 식품 소재로 사용 가능한 기능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Phenolic compounds는 물 추출물에서 3.29 mg/g, 50% ethanol 추출물에서 4.14 mg/g의 결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98.45%, 50% ethanol 추출물은 91.2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활성 측정 결과 $1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97.28%, 50% ethanol 추출물은 97.0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1.77 PF의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측정 결과 $1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은 94.77%와 95.64%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과 관련 있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은 34.96%의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elastase 저해 활성과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만 78.90%와 61.3%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렴 효과를 나타내는 astringent effect에서 $200{\mu}g/mL$ phenolic compounds 농도의 ethanol 추출물은 7.8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Hyaluronidase 저해 효과 측정 결과 물 추출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81.04%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번행초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과 미용 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