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compounds

검색결과 1,180건 처리시간 0.031초

Elicitor 처리에 의한 삼백초 추출물(Saururus chinensis)의 미용식품활성 및 피부상재균 억제효과 (Functional cosmetic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rurus chinensis by elicitor treatment)

  • 이은호;김병오;강인규;정희영;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2호
    • /
    • pp.173-180
    • /
    • 2018
  • Elicitor를 처리한 삼백초의 물과 ethanol 추출물들의 기능성화장품활성을 살펴보았다. Elicitor 처리한 삼백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1.5 mg elicitor/leaf 1 g (group A)에서 3.0 mg elicitor/leaf 1 g (group B)으로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효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elicitor 처리에 의해 물 추출물보다 70%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Elicitor 처리한 삼백초 추출물의 미용식품활성은 elastase 억제 효과와 미백효과가 비처리군인 대조구와 유사한 효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삼백초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의 증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염증 억제 효과가 비처리군인 대조구에 비해 우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grpoup A와 group B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 억제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elicitor 처리가 유용물질의 산업화라는 전제를 충족시키기 위한 biomass 기법으로 매우 적당하다는 것을 시사해주었다. 따라서 삼백초 재배 시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elicitor를 처리하면 수확되는 삼백초의 단위 무게 당 생산량을 높일 수 있고, 생리활성도 증대시킬 수가 있어 산업화를 위한 원료생산에 효율적인 재배기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Protopectinase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늘 단세포화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 Suspensions Using Protopectin Hydrolytic Enzymes)

  • 백구현;김성수;탁상범;강병선;김동호;이영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1-356
    • /
    • 2006
  • 마늘 가공 공정시 발생하는 품질손실과 저장기간 감소, 급속한 변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PPase를 적용해 식물조직의 단세포를 유리시켰다. 마늘의 단세포화를 위한 최적조건은 250 rpm으로 $37^{\circ}C$의 조건에서 pH 8.0으로 150분 동안 활성화 시킬 때 최적 수율의 단세포화물을 얻었다. 단세포화물과 기계마쇄물의 품질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마늘의 주요 활성요소 성분인 alliin의 함량은 기계 마쇄물이 11 mg/g에서 6.6 mg/g으로, 단세포화물이 8.5 mg/g에서 7.0 mg/g으로 기계 마쇄물에 비해 약 20% 정도 이상의 alliin 유지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SPME와 GC/MS를 이용한 마늘의 향기성분은 확인된 23종 중 총8종의 증감이 있었던 기계마쇄물에 비해 18종 중 4종의 증감이 있었던 단세포화물이 보다 안정한 향기 성분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관능검사 결과를 보더라도 $4^{\circ}C$에서 24일 경과후에도 향기성분 자체의 변화가 거의 없는 단세포화물의 시료가 전체적인 기호도 등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좋은 점수를 얻었다.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의 부위별 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1-268
    • /
    • 2008
  • 본 연구는 뿌리를 저근백피라는 한방생약재로 사용하는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의 뿌리와 줄기 그리고 잎을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영양정분과 생리활성 물질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뿌리에는 조회분(9.20%)과 조단백질(7.86%)이 많았으며, 잎에는 조단백질(11.36%) 그리고 줄기에서는 탄수화물(81.74%)의 함유량이 비교적 높았다. 수용성 단백질은 잎에서 9,839.52 mg%로 뿌리와 줄기보다 매우 많이 함유하였으며, 환윈당과 유리당은 뿌리에서 1,813.94 mg%와 1,140.20 mg%, 잎에서는 1,670.98 mg%와 1,190.42 mg%를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뿌리에서 2,018.58 mg%로 잎(1,070.88 mg%)과 줄기(427.55 mg%)보다 많이 함유하였으며, 특히 뿌리에는 arginine과aspartic acid의 함유량이 매우 높아 유리아미노산의 약 85%를 차지하였다. 아미노산 유도체 함량은 잎에서 780.70 mg%로 가장 높았으며, 뿌리는 430.95 mg%을 함유하였다. 이중 뿌리에는 항산화 및 간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taurine을 61.68 mg% 함유하였다. 가죽나무의 부위별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Ca와 K 그리고 Mg의 함유량이 매우 높아 무기질 총량의 $83{\sim}98%$를 차지하였으며, 뿌리에는 Fe와 Al의 함량도 비교적 높았다. 가죽나무의 부위별 시료와 추출물에 대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잎에는 821.58 mg%의 폴리페놀과 2,501.67 mg%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였으며, 추출물 또한 잎의 물 추출물에서 8,040.35 mg%의 폴리페놀과 에탄을 추출물에서 13,592.20mg%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였다. 이상의 결과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가죽나무의 뿌리를 포함하여 잎에서도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성 천연물 복합제의 이화학적 특성 확인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unctional Herb Mixtures)

  • 이명희;조덕조;윤성란;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71-1577
    • /
    • 2007
  • 혈압 강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천연물 복합제를 여러 문헌과 처방을 통해 선정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천연물 복합제 28가지에 대한 추출물의 수율은 $5.33{\sim}36.71%$ 범위를 나타내었고,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04.89{\sim}2543.29mg%$$59.79{\sim}1430.55mg%$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 5, 9, 17, 18, 20, 22 및 26번의 경우 800 mg%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7.81{\sim}98.18%$ 범위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전자공여능이 높게 나타난 시료는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던 시료와 유사한 경향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생약성분들인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가 중요한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pH 1.2에서 $11.70{\sim}96.47%$, pH 4.2 및 6.0에서 각각 18.12% 및 12.77% 이하의 소거 효과를 나타내어, pH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천연물 복합제를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생물 활성의 평가도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야 하겠다.

Metabolic Change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fter Stereotactic Neurosurgery by Follow-up 1H MR Spectroscopy

  • Choe, Bo-Young;Baik, Hyun-Man;Chun, Shin-Soo;Son, Byung-Chul;Kim, Moon-Chan;Kim, Bum-Soo;Lee, Hyoung-Koo;Suh, Tae-Suk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99-109
    • /
    • 2001
  • Authors investigated neuronal changes of local cellular metabolism in the cerebral lesions of Parkinsonian symptomatic side between before and after stereotactic neurosurgery by follow-up 1H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n = 15) and age-matched normal controls (n = 15) underwen MRS examinations using a stimulated echo acquisition mode (STEAM) pulse sequence that provided 2${\times}$2${\times}$2 ㎤ (8ml) volume of interest in the regions of substantia nigra, thalamus, and lentiform nucleus. Spectral parameters were 20 ms TE, 2000 ms TR, 128 averages,2500 Hz spectral width, and 2048 data points. Raw data were processed by the SAGE data analysis package (GE Medical Systems). Peak areas of N-acetylaspartate (NAA), creatine (Cr), choline-containing compounds (Cho), inositols (Ins), and the sum (Glx) of glutamate and GABA were calculated by means of fitting the spectrum to a summation of Lorentzian curves using Marquardt algorithm. After blindly processed, we evaluated neuronal alterations of observable metabolite ratios between before and after stereotactic neurosurgery using Pearson product-moment analysis (SPSS, Ver. 6.0). A significant reduction of NAA/Cho ratio was observed in the cerebral lesion in substantia nigra of PD patient related to the symptomatic side after neurosurgery (P : 0.03). In thalamus, NAA/Cho ratio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erebral lesion including the electrode-surgical region (P : 0.03). A significant reduction of NAA/Cho ratio in lentiform nucleus was not oberved, but tended toward significant reduction after neurosurgery (P = 0.08). In particular, remarkable lactate signal was noted from the surgical thalamic lesions of 6 among 8 patients and internal segments of globus pallidus of 6 among 7 patients, respectively. Significant metabolic alterations of NAA/Cho ratio might reflect functional changes of neuropathological processes in the lesion of substantia nigra, thalamus, and lentiform nucleus, and could be a valuable finding fur evaluation of Parkinson's disease after neurosurgery. Increase of lactate signals, being remarkable in surgical lesions, could be consistent with a common consequence of neurosurgical necrosis. Thus, IH MRS could be a useful modality to evaluate the diagnostic and prognostic implications fur Parkinsons disease after functional neurosurgery.

  • PDF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 활성 (Functional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and Lespedeza cuneata)

  • 박성익;손호용;이창일;황희영;박승우;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메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분획물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ACE 저해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90.8%, 야관문 91.2%로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분석 결과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6.1%로 가장 높았고 야관문은 chloroform 분획물에서 95.6%로 가장 높았다. FRAP assay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360.1 mg TE/g, 야관문 239.2 mg TE/g로 가장 높았다. ACE 저해활성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이 어성초 13.2%, 야관문 35.2%로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56.3%, 야관문은 water 층에서 93.6%로 가장 높았다. 어성초와 야관문에서 확인한 개별성분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페놀산 개별 성분의 활성은 caffeic aicd가 93.4%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개별 성분의 활성은 quercetin이 96.3%로 가장 높았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혼합파장의 LED를 광원으로 재배한 방울토마토와 적채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분석 (Effect of LED with Mixed Wavelengths on Bio-active Compounds in Cherry Tomato and Red Cabbage)

  • 강선아;양혜정;고병섭;김민정;김봉수;박선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5-509
    • /
    • 2015
  •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특정 파장을 조합한 혼합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방울토마토와 적채를 재배할 때 식물의 성장과 각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인 리코펜과 안토시아닌의 함량 변화를 탐색하였다. 대조광으로 형광등을 사용하였고 LED 혼합 파장은 적색, 녹황색, 청색 파장(630 nm:550 nm:450 nm=8:1:1)을 혼합하여 방울토마토와 적채에 조사하였다. 방울토마토에서는 LED을 조사하였을 때, 수확되는 방울토마토의 개수는 적었으나 수확된 방울토마토의 무게와 당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물질인 리코펜의 함량은 LED 조사 시 오히려 낮았다. 적채는 LED를 조사하였을 때, 형광등에 비해 적체의 무게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안토시아닌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작물의 색에 따라 성장에 요구하는 LED의 파장 및 혼합 비율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과실의 색에 따라 LED 파장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식물대사체 연구의 현황과 전망 (Present and prospect of plant metabolomics)

  • 김석원;권용국;김종현;유장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2-24
    • /
    • 2010
  • 식물 대사체 (plant metabolomics) 연구는 식물 세포 및 조직에 존재하는 모든 대사산물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추적 조사함으로써 식물의 복잡한 생리 현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은 식물 대사체 연구는 최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여러 오믹스 연구 분야의 하나로 시스템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식물 대사체 연구는 시료로부터 순수 화합물 또는 복합물을 정제하거나 또는 정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혼합액으로부터 대사체 스펙트럼 정보를 확보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추출액 제조 및 얻어진 대사체 데이터의 분석과정의 표준화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대사체 분석 결과의 해상도 및 재현성의 확보의 핵심 요소 이다. 식물 대사체 연구는 기능유전체학의 연구 수단은 물론 식물의 종, 품종, 더 나아가 GM 식물의 식별, 대사조절 기작 규명, 유용물질 생산, 식물의 외부 환경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다양한 생리적 반응 이해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식물 대사체 연구는 모델식물(벼, 애기장대)의 유전체 정보와 연계하여 돌연변이주의 분석을 통해 유전자의 기능 정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유전체 정보와 대사체 정보의 연계를 통해 복잡한 대사경로 규명이나 다양한 생리 현상 해석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한 녹두 품종들의 항산화 활성 및 아미노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in Korea)

  • 진용익;홍수영;김수정;옥현충;이예진;남정환;윤영호;정진철;이순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1-387
    • /
    • 2010
  • 본 연구는 고랭지 재배된 녹두의 항산활활성 및 유리아미노산 등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GABA함량이 품종 간 그리고 나물 이용 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항산화활성 분석에서 '장안' 녹두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물의 활성이 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의 기능성 관련 지표로 이용되는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랭지 재배 녹두의 종실에 함유된 총페놀 함량은 $1,186-1,493\;{\mu}g\;g^{-1}$ 범위를 보였고, 나물은 $2,321-2,783\;{\mu}g\;g^{-1}$으로 분석되어 종실을 나물로 이용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실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소선' 녹두의 함량이 높았다. 이들 아미노산 함량은 녹두나물 제조 시 현저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Valine과 arginine의 함량이 700mg $100g^{-1}$ 이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두는 독특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 금후 새로운 대체작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커피의 추출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ffee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은종방;조미연;임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23-728
    • /
    • 2014
  •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색도,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 함량, 카페인, 페놀화합물 함량을 조사하였다. 색도의 경우 $L^*$값에서 에스프레소 머신으로 추출한 시료가 가장 낮았고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가장 높았다. pH 측정 결과, 이브리크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5.54로 가장 높았으며, 워터드립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5.26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2.15%로 가장 높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65^{\circ}Bx$로 값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산도의 경우, 2.63%로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6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역시 6.46 mg/mL로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가장 높았고,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와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각각 2.72, 2.60 mg/mL로 낮은 값을 보였다. 카페인 함량 측정 결과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2.65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워터드립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39 mg/m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페놀 화합물 함량에서는 chlorogenic acid 측정결과,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15 mg/m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와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각각 0.05, 0.04 mg/mL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Caffeic acid의 함량은,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075{\mu}g/{\mu}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프렌치프레스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017{\mu}g/{\mu}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Ferulic acid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019{\mu}g/{\mu}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핸드 드립퍼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가 $0.002{\mu}g/{\mu}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