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cose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초

추출방법에 따른 톳 추출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jikia fusiforme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

  • 권유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0-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추출방법(열수, 가압가열, 초고압 추출방법)을 통해 톳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품질특성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톳 추출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출 수율은 초고압 추출물, 가압가열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으로 높은 수율을 확인하였으며 색도의 경우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명도와 황색도를 나타내었고 가압가열 추출물에서는 적색도가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른 톳 추출물의 전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모든 추출물이 40~60%의 높은 전당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가압가열 추출물의 함량이 높았다. 또한 시료별 전당 함량의 경우 가압가열, 열수, 초고압 추출물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환원당과 단백질 함량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우론산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asparagine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다. 톳의 다당류 성분을 알아보고자 에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한 결과 수율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에서 4.75%로 높았으며 가압가열, 열수 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조다당류의 구성당을 살펴본 결과 fucose가 주 당성분인 polysaccharide임을 알 수 있었으며 galactose, glucose, xylose가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가해 추출할 경우 해조류의 수율 및 유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적절한 압력과 온도 설정관련 연구를 통해 해조 가공산업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리비(Patinopecten yessoensis)의 간 췌장으로부터 분리한 Fucoidan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coidanase Screened from the Hepatopancreas of Patinopecten yessoensis)

  • 류병호;김동석;이영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29
    • /
    • 1996
  • A fucoidanase, which was screened from the heptopancreas of Patinopectin yessoensis, was fractionated according to by ammou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 crude fucoidanase activity was hydrolyzed a small amounts of fucoidan agar and not arrageenan. The crude enzyme hydrolyzed fucoidan to produce oligosaccha-rides of fucose, glucose, maltose maltotriose and maltoteraose as the reaction products.

  • PDF

Composition and Partial 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Tremella Polysaccharides

  • Khondkar, Proma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286-294
    • /
    • 2009
  • Hetero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liquid cultures of nine Tremella species contained 0.3 to 1.2% protein, 2.7 to 5% ash, 0.9 to 3.4% acetyl groups, 76.5 to 84.2% carbohydrates and trace amounts of starch. The polysaccharides in aqueous solution were slightly acidic (pH 5.1 to 5.6). They consisted of the following monomeric sugars: fucose, ribose, xylose, arabinose, mannose, galactose, glucose and glucuronic acid. The backbones of the polysaccharide structures consisted of $\alpha$-(1$\rightarrow$3)-links while the side chains were $\beta$-linked.

구름버섯 알칼리 추출물에서 분리한 항응고성 다당류 (An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Alkali Extracts of Coriolus versicolor)

  • 이현순;권미향;임왕진;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69-375
    • /
    • 1997
  • 식용버섯으로부터 항혈전제제 개발의 소재화연구로 항응고활성의 검색과정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던 구름버섯에서 항응고성 다당류를 정제하여 정제다당의 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제는 구름버섯의 알칼리 추출물(CV-0)을 메탄올환류, 에탄올침전 후 3개의 연속적인 DEAE-Toyopearl 650C 이온교환, Sepadex G-100 및 Sepharose CL-6B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와 HPLC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정제다당 CV-40-Va-1의 분자량은 $7.2{\times}105$으로 측정되었다. CV-40-Va-I은 구성당 잔기에 19.32%의 황산기를 함유하는 함황성다당으로서 구성당조성은 fucose:mannose:glucose:galactose가 1.00:0.22:0.20:0.11의 몰 비율로 존재하였다. CV-40-Va-1의 항응고활성은 농도의존성을 보였으며 특히 내인성경로를 통하여 혈액응고를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턱수염 버섯 배양(培養) 균사(菌絲)의 항종양(抗腫瘍) 성분(成分) (An Antitumor Constituent of the Cultured Mycelia of Hydnum repandum)

  • 정경수;최응칠;김병각;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95
    • /
    • 1983
  • 한국산 담자균류의 항종양성 성분을 탐색하기 위하여 턱수염버섯의 균사를 분리하여 인공배지에서 진탕배 양후, 그 배양균사체로부터 수용셩 단백성 다당류를 추출하였다. 이 성분이 ICR마우스에 이식한 육종 180에 대하여 54.3%의 종양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 성분은 다당류 42%와 단백질 28%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중 다당류는 glucose (57.8%), mannose(19.3%), galactose(10.8%), xylose (6.8%), 및 fucose (5.7%)를 함유하고 있었다.

  • PDF

표고버섯에서 분리한 렉틴의 적혈구 응집활성 (Hemagglutinative Activity of Lectin Isolated from Shiitake, Lentinula edodes)

  • 김영신;임치환;조남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36
    • /
    • 2002
  • 렉틴은 T-cell 자극 분열효과 및 항종양효과 이외에도 당특이성에 의한 세포표면이나 용액내에 존재하는 당류의 확인 및 연구에 유용하게 쓰이고 있어 최근들어 특히 흥미의 대상이 되고 있다. 렉틴은 주로 식물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져 왔으며, 이러한 연구결과, 렉틴은 단백질성 물질이라는 공통점을 제외하고는 생화학적, 면역학적 성질이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을 부위별로 구분하여 그 화학적 조성분석과 단백질 분리를 실시하고, 렉틴을 정제하여 생리활성의 특성을 구명하였다. 표고버섯은 신선한 것일수록 단백질 추출이 용이하며, 균산이 균병에 비해 단백질 량이 2배 정도 많았다. 렉틴은 $40^{\circ}C$ 이하에서 그리고 산성보다는 알칼리성에 더 안정하였다. 당 특이성에 있어서는 galactose, fucose, glucosamine, lactose, N-aretyl-D-galactosamine에 특이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리한 렉틴은 당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느릅나무로부터 분리된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P]이 생산하는 당화합물의 항암 면역활성 연구 (Immunostimulating Exopolysaccharide with Anticancer Activity from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BP] Screened from Ulmus parvifolia)

  • 양영렬;김영주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54-5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에서 분리한 신규 균주인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BP)을 사용하여 세포밖 당화합물(exopolysaccharide, EPS)을 생산하여, EPS의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EPS는 총당함량이 43.0% 내지 70.8%였으며, 총산성당 함량은 7.1% 내지 11.4%, 총단백질 함량은 19.3% 내지 20.6%로, 분자량은 100,000에서 1,000,000 Da의 당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EPS의 당구성성분을 보면 glucuronic acid (46.7%), fucose(10.8%), fructose (0.2%), glucose(29.9%), galactose(11.0%)이었고, 이외 미지의 성분이 1.3% 정도였다. EPS의 면역활성 검정에 따르면 EPS는 면역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mitogen역할을 하며, 특히 T 세포에 의한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내었다. B16 흑색종 이식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관찰한 결과 유의성 있는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인 유근피 추출 단백다당체의 결과(3 mg/kg에서 약 140%의 생존연장효과를 보임)와 비교해 볼 때 1/10의 농도인 0.3mg/kg에서 약 138.1%의 비슷한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The fucose containing polymer (FCP) rich fraction of Ascophyllum nodosum (L.) Le Jol. protects Caenorhabditis elegan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by triggering innate immune signaling pathways and suppression of pathogen virulence factors

  • Kandasamy, Saveetha;Khan, Wajahatullah;Kulshreshtha, Garima;Evans, Franklin;Critchley, Alan T.;Fitton, J.H.;Stringer, Damien N.;Gardiner, Vicki-Anne;Prithiviraj, Balakrishnan
    • ALGAE
    • /
    • 제30권2호
    • /
    • pp.147-161
    • /
    • 2015
  • Brown algal extracts have long been used as feed supplements to promote health of farm animals. Here, we show new molecular insights in to the mechanism of action of a fucose containing polymer (FCP) rich fraction from the brown seaweed Ascophyllum nodosum using the Caenorhabditis elegans-Pseudomonas aeruginosa PA14 infection model. FCP enhanced survival of C. elegans against pathogen stress, correlated with up-regulation of key immune response genes such as: lipases, lysozyme (lys-1), saponin-like protein (spp-1), thaumatin-like protein (tlp-1), matridin SK domain protein (msk-1), antibacterial protein (abf-1), and lectin family protein (lfp). Further, FCP caused down regulation of P. aeruginosa quorum sensing genes: (lasI, lasR, rhlI, and rhlR), secreted virulence factors (lipase, proteases, and elastases) and toxic metabolites (pyocyanin, hydrogen cyanide, and siderophore). Biofilm formation and motility of pathogenic bacteria were also greatly attenuated when the culture media were treated with FCP. Interestingly, FCP failed to mitigate the pathogen stress in skn-1, daf-2, and pmk-1 mutants of C. elegans. This indicated that, FCP treatment acted on the regulation of fundamental innate immune pathways, which are conserved across the majority of organisms including human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le use of FCP, a seaweed component, as a functional food source for healthy living.

Purification and Anticoagulant Activity of a Fucoidan from Korean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Kim , Woo-Jung;Kim, Sung-Min;Kim, Hyun-Guell;Oh, Hye-Rim;Lee, Kyung-Bok;Lee, Yoo-Kyung;Park, Yong-Il
    • ALGAE
    • /
    • 제22권3호
    • /
    • pp.247-252
    • /
    • 2007
  • Crude fucoidan was extracted from the sporophyll of Korean Undaria pinnatifida collected at a coastal area ofWando, Korea, mainly by dilute acid extraction, ethanol precipitation, CaCU Precipitation, with an yield of approxi-mately 3.9% in mass. It was further purified by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its chemical composi-don and in vitro anticoagulant activity was determined. The average molecular mass of the purified fucoidan wasestimated about 2.1 x 103 kDa by size-fractionation HPLC and it consisted of neutral sugar (52.34% in mass), uronicacid (26.2%), and sulfate esters (7.4%). From the HPAEC-PAD analysis, the monosaccharide composition of thepurified fucoidan was shown to be fucose, galactose, xylose, and mannose, with a molar ratio of 1, 0.2, 0.02, 0.15,respectively, demonstrating that major monosacd-iande was fucose (72.3% in mol percentage) and other sugars,xylose (1.5%), galactose (14.6%), and mannose (10.9%) were present as minor compon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this fucoidan is a sulfated, U-type fucoidan. The activated partial thrombloplastin time (APTT) assay of the purifiedfucoidan showed that the purified fucoidan elicited anticoagulant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Five jUg ofsporophyll fucoidan delayed the blood clotting time up to 5 times than untreated control and also up to 1.5 timesthan the same amount of the commercial fucoidan, respectively. Although it is preliminary, these results suggestthat the fucoidan of Korean Undaria vinnatifida sporophyll would be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development ofan anticoaeulant.

OGS RAAM2000을 이용한 유지방구막 PAS-7 당단백질의 당쇄구조 해석 (Analysis of Sugar Chain Structure of PAS-7 Glycoprotein from Bovine Milk Fat Globule Membrane by US RAAM 2000)

  • 석진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7-373
    • /
    • 2001
  • MFGM 당단백질의 하나인 PAS-7을 GPC 및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하여 2-AB로 형광 표식한 후, anion-exchange column 및 reversed-phase column을 이용해 5개의 성분을 분리하였다. 그 중 가장 상대량이 많은 성분 e에 대하여 RAAM2000을 이용한 당쇄구조 해석을 실시하여, 성분 e는 RAAM2000 GPC에 의하여 4개의 성분으로 분리되어 각각 calibration standard 12.10, 8.88, 5.84 및 4.86GU의 용출위치에 검출되었다. 이 용출위치와 당쇄구조는 livrary의 component-7457과 일치하며, 12.2GU의 크기로 분자량은 1788로 판단되며 library의 당쇄와 약 85%의 확률로 일치했다. 그 결과 성분 e의 당쇄구조는 환원말단에 $\alpha$1-6결합된 fucose를 1개 함유하며, core부분의 비환원말단에 N-acetyllactosamine branch를 2개 함유한 전형적인 biantennary 당쇄구조인 것으로 추축되어, 이전 HPLC, acetolysis, sequential exoglycosidase 소화, NMR분석에 의해 보고된 성분 7N1A의 구조와 일치함으로써, OGS RAAM2000을 이용한 PAS-7의 당쇄구조 해석의 유용성이 증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