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ticose liche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The Lichen Genus Polychidium New to South Korea

  • Jayalal, Udeni;Aptroot, Andre;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0권4호
    • /
    • pp.252-254
    • /
    • 2012
  • The lichen species Polychidium muscicola was found in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Polychidium from the Korean peninsula.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a dichotomously branched minute thallus with clustered cells of Nostoc as the photobiont. A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this species are provided.

Candelaria asiatica, an Ignored New Species from South Korea

  • Liu, Dong;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6권4호
    • /
    • pp.305-310
    • /
    • 2018
  • The genus Candelaria is characterized by a micro-foliose to micro-fruticose thallus and contains eight species, two of which were reported in South Korea. During the excursion of a Korean lichen flora investigation, some suspected Candelaria concolor specimens were collected, and their morphological, chemical, molecular phylogenetic, and geographic analyses were conducted. The samples eventually proved to be a new species, Candelaria asiatica, which can be recognized by a small, yellow lobate thallus with a pulverulent surface, and a fragile lobe margin with blastidia or phyllidia-like lobules.

Distribation of Lichen Flora on South Korea

  • Hur, Jae-Seoun;Hiroshi Harada;Oh, Soon-Ok;Lim, Kwang-Mi;Kang, Eui-Sung;Lee, Seung-Mi;Kahng, Hyung-Yeel;Kim, Hyun-Woo;Jung, Jae-Su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63-167
    • /
    • 2004
  • After an overview on the temporary situation of the lichenology in South Korea, localities of 95 mac-rolichen taxa are reported for South Korea. In this revised lichen flora of South Korea, 16 species are apparently new to the territory. Voucher specimens have been deposited in the 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 (KoLRI)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duplicates have also been donated to the National History Museum and Institute, in Chiba, (CBM) Japan.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에 분포하는 지의류상 연구 (A Study on Lichen Diversity in the Placenta Chamber of Prince King Sejong's Sons, Seongju)

  • 박정신;우정재;오승환;오순옥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3-102
    • /
    • 2020
  • 지의류는 효모를 포함하는 곰팡이와 조류의 공생체로 복합미생물이다. 지의류의 다양한 종들은 문화재에서 흔히 발견되며 풍화작용과도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유럽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문화재에서 지의류에 관한 연구 보고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에서 진행하는 생활권 및 특수지역에 서식하는 버섯·지의류 탐색 및 분류 연구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의 지의류상 조사에서 밝혀진 내용을 보고한다. 총 19기의 태실로부터 총 65점의 지의류를 채집하였으며, 채집된 지의류를 형태학 및 분자생물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3강 10목 17과 23속 40종이 밝혀졌다. 형태학적 분류 결과 잎의 형태를 띠는 엽상지의류(24점, 36.9%)와 딱지 형태를 띠는 가상지의류(24점, 36.9%)가 나뭇가지 형태를 띠는 수지상지의류(17점, 26.2%)에 비해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이들 중 엽상지의류에 속하는 Xanthoparmelia coreana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가상지의류인 Lepraria sp.가 19기 태실 모두에 분포하였다. 또한 수지상 지의류인 Cladonia속이 8종으로 종 다양성이 가장 높았다. 계양군 태실에서 16종의 지의류가 채집되어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 반면, 금성대군 태실의 경우 5종의 지의류가 채집되어 가장 낮은 종 다양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재에 분포하는 지의류 종 다양성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troduction of Saxicolous Lichens Distributed in Coastal Rocks of U-do Islet in Jeju, Korea

  • Kahng Hyung-Yeel;Yoon Byoung-Jun;Kim Sung-Hyun;Shin Duck-Ja;Hur Jae-Seoun;Kim Hyun-Woo;Kang Eui-Sung;Oh Kye-Heon;Koh Young J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292-298
    • /
    • 2004
  • This study reports, for the first time, the ivestigation of the distribution of Korean saxicolous lichens in the coastal rocks of U-do islet, which is known as an unpolluted zone in Jeju. More than thirty lichens were obtained and investigated from the coastal rocks frequently contacted by seawater. A molecular analysis using PCR amplification of the rRNA ITS regions revealed the coastal rock lichens could be placed into 8 families and 14 genera, Ramalinaceae (Bacidia, Ramalina), Physciaceae (Buellia, Dirinaria, Phaeophyscia, Physcia, Pyxine), Lecanoraceae (Candelaria, Lecanora), Parmeliaceae (Xan­thopannelia), Graphidaceae (Graphis), Pertusariaceae (Pertusaria), Rhizocarpaceae (Rhizocarpon), and Teloschistaceae (Caloplaca), showing a diversity of lichens, with foliose (flat leaf-like), crustose (crust­like), and fruticose (miniature shrub-like) life forms might be distributed in the coastal rocks.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lichens identified in the present work might be resistant to a salty environment.

분자생물학적 기법에 의한 우도해안과 노지암석에 분포하는 지의류의 생태학적 분석 (An Ecological Analysis of Lichens Distributed in Rocks of Coast and Field in U-do by Molecular Technique)

  • 강형일;윤병준;김성현;신덕자;김현우;허재선;강의성;오계헌;고영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4-340
    • /
    • 2004
  • 본 연구는 환경조건에 따른 지의류분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시로 해수와 접하는 지역의 해안가 암석과 해안에서 약 20 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한 노지암석에서 살아가는 지의류를 대상으로 처음 수행되었다. rDNA ITS clone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형태학적 분석을 기초로 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해수와 직법 접하는 곳에 위치한 암석에서는 9과(family) 15 속(genus)에 속하는 지의류가 분포되어 있었고, 노지암석에서는 10과 14 속에 속하는 지의류가 분포되어 그 다양성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Parmeliaceae 과에 포함된 것 중 엽상형(foliose)인 Phaeophyscia, physcia, Pyxine와 Parmeliaceae과에 속하는 Xanthoparmelia가 해안가 암석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지의류로 나타났고, 수지상(fruticose) 지의류로는 Ramalinaceae과에 속하는 Ramalina 속 2종이 유일하게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가상형 (crustose) 지의류는 Lecanora속이 대표적인 해안가 암석에 분포하는 지의류로 나타났다. 반면, 노지암석위의 흙이나 이끼 낀 곳에서 발견되었으나 해안가 암석에서 발견되지 않은 지의류로는 엽상형인 Cladonia, 수지상 지의류인 Sterocaulon, 가상형 지의류인 Porpidia로 조사되었다. 가상형(crustose) 지의류인 Caloplaca, Candelaria, Dirinaria, Graphis, Rhizocarpon, Pertusaria 등이 해안가 암석에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이들 지의류 모두는 해안가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진 노지암석에서 대부분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Assembly processes of moss and lichen community with snow melting at the coastal region of the Barton Peninsula, maritime Antarctic

  • Kim, Seok Cheol;Kim, Jun Seok;Hong, Bo Ram;Hong, Soon Gyu;Kim, Ji Hee;Lee, Kyu S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55-65
    • /
    • 2016
  • Background: In this article, it was analyzed how snow melting affects the assembly of lichen and moss communities in a small area of the coastal region of Barton Peninsula, which is in maritime Antarctic. In the small area, even though there is a huge gap of difference of the environment between the snow-filled area and snow-melt one, the latter did not have distinctive environmental gradients. Results: Depending on the snow melting time, coverage and species diversity of lichens and mosses tend to increase remarkably. For species with significant changes depending on the snow-covered period, there are Andreaea regularis, crustose lichens, Placopsis contortuplicata, Usnea aurantiaco-atra, and snow algae. In this area, the process of vegetation assembly process has shown the directional development in the order of snow algae${\rightarrow}$crustose, lichen sub-formation${\rightarrow}$fruticose lichen, moss cushion sub-formation (Andreaea sociation)${\rightarrow}$fruticose lichen, and moss cushion sub-formation (Usnea soci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snow melting. These directional development stages are shown in gradual change in small area with the snow melting phenomena. However, in the snow-free area, where water is sufficiently supplied, it is expected that moss carpet sub-formation (Sanionia sociation) will be developed. Vegetation development in the small area with the snow melting phenomena, depending on differences of resistance on snow kill and moisture settled by species in according to the time of snow melting, tolerance model to form community is followed.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explain the development of vegetation in the Antarctic tundra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eriod for growth of lichens and mosses in the summer time by differences of snow melting in the small area. In the future, if research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 in a large scale will be done, it will be helpful to figure out temporal and spatial dynamic of vegetation in the Antarctic tundra where snow and glaciers melt rapidly due to climatic warming.

법주사 당간지주 지의류의 동정 및 FT-IR 스펙트럼 특성 분석 (Identification and FT-IR Spectrum Analysis of Lichens on Flagpole Support in Beopjusa Temple)

  • 김영희;이정민;최명주;홍진영;조창욱;김수지;정소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1-39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법주사 당간지주의 석재 표면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생물피해 요인인 지의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당간지주의 지의류는 5종으로 한정할 수 있다. 그 중 우점하는 2종의 고착상지의류는 Aspicilia sp.와 Pertusaria flavicans이며, 고착상지의류 위에 드물게 관찰되는 엽상지의류 1종과 수지상지의류 1종은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흑색조류층을 따라 서식하는 지의류는 Leprocaulon textum으로 확인되었다. 지의류가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ATR FT-IR을 적용하였다.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의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해 본 결과, cyclic carbohydrate에 기인하는 C-O-C 결합과 carboxylic acid에서 기인하는 FT-IR 스펙트럼의 흡수피크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어 이들이 생산하는 지의산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tictic acid와 sekikaic acid가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를 대표하는 지의산으로 화학구조에서 작용기의 차이에 의한 스펙트럼의 변화 및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