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etting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5초

Optimization of factors influencing in vitro immature seed germination in Chionanthus retusus

  • Tar, Khin Yae Kyi;Naing, Aung Htay;Ai, Trinh Ngoc;Chung, Mi Young;Kim, Chang K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347-356
    • /
    • 2018
  • Chionanthus retusus is a small deciduous tree that is widely used in landscaping due to its beautiful white spring flowers and ornamental value. Conventional propagation through seeds requires one to two years of breaking dorman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ditions of in vitro germination in C. retusus. In vitro embryo culture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x factors: basal media (McCown Woody Plant Medium (WPM) and Murashige and Skoog (MS)); plant growth regulators (different combinations and concentrations of naphthaleneacetic acid (NAA), 6-Benzylaminopurine (BA), and gibberellic acid ($GA_3$)); embryo age (collected weekly beginning 36 days after fruit setting); low temperature pretreatment (storing $4^{\circ}C$ for 1, 2, 3, and 4 weeks); coconut additives (100, 200, and $300ml{\cdot}L^{-1}$); and genotype (grouping plants depending on their flowering nature). The basal medium used in this study was WPM with $2mg{\cdot}L^{-1-1}\;GA_3$, $20g{\cdot}L^{-1}$ sucrose, and $6g{\cdot}L^{-1}$ Agar. WPM medium mixed with $GA_3$, resulted in higher germination rate as compared to when using a combination of auxin and cytokinin. $GA_3$ at $2mg{\cdot}L^{-1}$ was the most effective of all combinations and concentrations of PGRs. WPM medium with $2mg{\cdot}L^{-1}GA_3$ resulted in better and faster germination (75.93%). Embryos collected at 57 days after fruit setting had the highest percent of germinated seeds (87.04%) while low-temperature pretreatment of fruits at $4^{\circ}C$ for two weeks produced the highest germination (95.37%).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n open ground for development of an efficient protocol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the ornamental tree.

생식용 체리 비가림 재배시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 L.)의 화분매개 곤충 활용 (Utilization of Bombus terrestris as a Sweet Cherry Pollinator in Rain-sheltered Growing)

  • 곽용범;김홍림;최영하;이재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298
    • /
    • 2012
  • 체리의 경우 유과기나 과실수확기에 비가 잦을 경우 각종 곰팡이에 의한 과실썩음병과 열과가 발생하여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장마기가 있는 기후조건에서는 농약살포 횟수를 줄이고 고품질의 과실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비가림 시설재배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체리의 개화시기는 4월 상 중순으로 개화기 저온에 의해 자연상태의 꿀벌을 통한 화분매개는 결실율이 불안정하며, 봄철에는 화분매개용 꿀벌 봉군을 구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시설재배 방울토마토, 애호박 등에서 화분매개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서양뒤영벌을 비가림 재배 조건에서 꿀벌을 대신하여 체리에 대한 화분매개 곤충으로 이용코자 하였다. 방화활동력은 서양뒤영벌의 경우 한 꽃에 약 6초 정도 머물러 분당 11개 정도의 꽃을 방문하였고, 꿀벌의 경우 한 꽃에 약 15초씩 머물러 분당 4~5개 정도의 꽃을 방문하였다. 또한 결실율과 과실특성에 있어 두 벌 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비가림 체리 재배에서 개화기에 화분매개용으로 꿀벌을 대신하여 서양뒤영벌을 이용하더라도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은 없었다.

유자과실의 흡즙충류에 의한 반점피해 방제에 관하여 (Control Methods of Spot Damage by Fruit Sucking Pests on Yuzu (Citrus junos) fruit)

  • 최덕수;김은식;김동관;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7-82
    • /
    • 2001
  • 유자과실에 반점피해를 일으키는 흡즙해충의 야간 비래습성과 방제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남 고흥의 유자재배 과원에서 1999년 8월부터 11월까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백색, 청색, 황색전구 중에서 백색전구에 유인된 흡즙해충의 유살량이 가장 많았고, 나방류는 일몰부터 24시 사이에 전체의 93%가 비래하였다. 노린재류는 10월 상순에는 22~04시, 중순에는 일몰~02시, 하순 에는 일몰~24시 사이에 주로 비래하여 야간기온이 낮아질수록 비래시간은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흡즙해충에 의한 반점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103의 유자과원에 10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 유인 액 트랩, 유살등 그리고 조명용 전등을 각각 3개소에 설치하였다. 유인액의 성분은 막걸리 2,000 m1+흑설탕 100g+식초 100m1로서, 유자과실의 피해반점수가 무처리 대비 36%로 감소하였고, 유인액 1회 공급으로 유인적이 약 3주 동안 유지되었다. 유살등 트랩은 100w 백색전구를 이용하였고, 10a당 3개소에 설치하여 일몰부터 02시까지 조명했을 때 피해반점수가 40%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전등조명 처리는 방제효과가 없었다.

  • PDF

시설멜론의 관비재배를 위한 질소와 칼륨의 관비수준 설정 (Effects of Nitrogen and Potassium Fertigation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Musk Melon (Cucumis melo. L))

  • 이한철;박진면;서태철;최경이;노미영;조명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279
    • /
    • 2009
  • 멜론 관비재배시 질소 및 칼륨의 관비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실험결과가 다음과 같다. 엽면적과 식물체의 생체중은 질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크고 무거웠으나 칼륨의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과중은 질소와 칼륨의 농도가 높을수록 무거웠으며 과고는 질소 1/2 농도에서 15.9mm로 가장 컸다. 과실의 네트지수는 질소 1/4 농도에서 3.6으로 가장 높았으나 칼륨의 농도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상품수량은 질소 1/2농도에서 5,086kg/10a으로 가장 높았고 질소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의 당도는 질소 1/2농도 이하에서 $15.5^{\circ}Bx$ 이상이었고 과실의 균열률은 질소의 농도가 낮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작물재배 후 토양의 양분함량은 질소와 칼륨의 시비농도가 높을수록 각각의 함량이 많았으며 칼슘함량도 두 농도가 높을수록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멜론의 관비재배에서 영양생장기에는 질소와 칼륨의 시비수준은 표준농도의 1/4로 하고 과실 착과 후에는 질소를 1/2농도, 그리고 칼륨은 1/4 농도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GA3에 의한 산호수의 화아형성과 착과 및 비대 증진효과 (Effect of GA3 Treatment on Bud Formation, Fruit Set, and Enlargement in Ardisia pusilla)

  • 길미정;허은주;권영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55-560
    • /
    • 2011
  • $GA_3$에 의한 화아수 증진효과는 산호수 1년생, 생장조절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착과, 비대 및 착색 증진효과는 산호수 2년생을 사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화아수는 $400m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대조구보다 약 1.8배 많이 형성되었다. 착과율 증진을 위해 산호수 만개시기에 생장조절제를 처리한 결과, $GA_3$와 auxin처리구의 착과율이 증진되었으며, 이 중 $GA_3$가 더 효과적이었다. $GA_3$에 의한 착과율은 0.5와 $1.0mg{\cdot}L^{-1}$ 처리시 각각 약 70%와 77%로 대조구보다 약 1.8배 증가되었다. 또한 Auxin 중 Dichloprop triethanol amine도 약 7-12%가 향상되었지만, cytokinin과 anti-GA는 효과가 없었다. $GA_3$에 의한 산호수 열매 비대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만개 2달 후 열매 지름이 약 2-3mm되었을 때 0.3, 0.6, $1.2mg{\cdot}L^{-1}$를 1달 간격으로 3회 처리한 결과, $0.6mg{\cdot}L^{-1}$에서 약 15% 향상되었다. 그러나, 과피의 안토시아닌 측정에 의한 착색정도는 $GA_3$ 처리농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산호수에 있어서 $GA_3$는 화아수, 착과, 열매 비대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화제 및 적과제가 '감홍' 사과의 착과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ower and Fruit Thinner on Fruit Set and Fruit Quality of 'Gamhong' Apples)

  • 유진기;강봉국;김대현;이진욱;이동훈;권헌중;최인명;정희영;정명근;최동근;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24-31
    • /
    • 2016
  •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감홍' 품종에 석회유황합제(Lime sulfur), MaxCel(1.9% BA), Fruitone(3.5% NAA)을 처리하여 적과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차년도 약제 처리에 의한 과총당 착과수는 석회유황합제 3회 처리구는 0.82개, MaxCel(10mm) 처리구 역시 1.15개로 무처리구 1.74개에 비해 유의하게 적어 적과 효과가 인정되었다. 과총당 과실의 착과수는 석회유황합제 또는 MaxCel(10mm) 처리 시 단일과 착과율이 각각 47.9%와 48.7%로 무처리 36.0%에 비하여 높았고, 3개이상 과실 착과율이 각각 1.4%와 5.8%로 무처리 22.9%에 비해 낮아 좋은 적과 효과를 보였다. 액화아의 경우 석회유황합제 및 MaxCel(10mm) 처리구 0.36개와 0.50개로 무처리구 1.20개에 비하여 낮아 정화아에서와 비슷하게 우수한 적과 효과를 보였다. 2년차 적과 효과는 무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적과 효과를 보였고, 약제 처리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 또는 MaxCel 혼용처리보다 단용처리만으로도 착과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개화 후 비료의 농도가 Ornamental Pepper의 생장과 착과에 미치는 영향 (Fertilizer Concentration after Flowering Affects Growth and Fruit Setting of Ornamental Pepper)

  • 진영욱;정순주;이범선;강종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5-100
    • /
    • 2003
  • Ornamental pepper의 생장과 착과에 미치는 개화 후 비료 농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정식 후부터 개화시까지 $100\;mg{\cdot}L^{-1}\;(EC=0.8\;dS{\cdot}m^{-1})$의 N농도로 재배하였고 그 후부터 0, 100, 200, $300\;mg{\cdot}L^{-1}$의 N 농도(EC=0.15, 0.8, 1.45, $2.1\;dS{\cdot}m^{-1}$)로 처리하여 수확시까지 재배하였다. $200 \;mg{\cdot}L^{-1}$의 N 농도 처리에서 최대 엽면적과 건물을 수확했으며 식물체당 전체 과일 무게도 가장 무거웠다. 100, 200, $300\;mg{\cdot}L^{-1}$의 N농도에서는 식물체당 과일 수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0\;mg{\cdot}L^{-1}$의 N농도에서 과일수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과일의 착색비율은 높았다. 100, 200, $300\;mg{\cdot}L^{-1}$의 N 농도로 화분에 관비했을 때 화분내 배지의 EC는 각각 0.8에서 $1.2dS{\cdot}m^{-1}$, 2.0에서 $3.0dS{\cdot}m^{-1}$, 3.0에서 $4.5dS{\cdot}m^{-1}$ 수준을 나타냈다. 200과 $300\;mg{\cdot}L^{-1}$의 N농도 처리구에서 배지의 pH가 낮았는데 특히 생육후기에는 4.9정도까지 낮아졌다. 식물체내 무기성분 함량은 대부분 개화 후 비료의 농도에 의해 영향 받지 않았으나 오직 aluminum은 비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실험에서 ornamental pepper의 상업적 생산을 위해서는 개화 후 질소의 농도를 100에서 $200\;mg{\cdot}L^{-1}$ 농도로 하는 것이 좋으며, 이 때 배지의 EC는 0.8에서 $3\;dS{\cdot}m^{-1}$로 비교적 넓은 범위를 보였다.

김천지역 실생묘 유래 호두나무의 수령별 수확량 및 과실 품질 (Yields and Fruit Quality of Different Aged Walnut Trees (Juglans sinensis Dode) Derived from Seedlings in Gimcheon)

  • 오성일;이욱;김철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25-332
    • /
    • 2020
  • 본 연구는 실생묘 유래 호두나무의 수령별 수확량 산정과 과실 품질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호두 주산지인 김천지역의 재배임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공시목은 10년생부터 60년생까지 9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등급별 15본을 선정하여 총 135본이다. 수령별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수고는 10.3 m, 평균 수관면적은 63.7 ㎡으로 나타났다. 수령별 결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본당 착과수는 평균 573.1개이며, 35년생 호두나무가 974.0개로 가장 많은 반면 10년생 호두나무가 124.7개로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결과모지당 착과수는 35년생 호두나무가 3.1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령별 과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실 유형별 평균 무게는 각각 청피호두 58.7±4.0 g, 알호두 10.5±0.5 g, 인 4.9±0.2 g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실 유형별 평균 수확량은 청피호두 32.5±13.8 kg, 알호두 5.9±2.5 kg, 인 2.8±1.2 kg이었으며, 수관면적, 결과모지당 착과수, 1 ㎥당 착과수 등과 정의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생묘 유래 호두나무의 수령에 따른 본당 수확량 추정식은 청피호두의 경우 y=8993.9·ln(수령-9)+8230.3, R2=0.8531와 알호두 y=1647.1·ln(수령-9)+1442.1, R2=0.8527로 산출하였다.

구기자 하우스 재배에서 재식거리, 적심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on Growth and Yield of Lycium chinense Miller grown in Vinyl House)

  • 주문갑;전재목;김봉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3
    • /
    • 1999
  • 구기자의 비닐 하우스 재배에서 재배방법에 따른 생육, 수량성 및 병해충 발생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 청양군 청양농공업고등학교 실습 포장의 비닐 하우스에서 1997년 2월 20일부터 98년 10월5일까지 ‘청양 재래’ 품종을 재식거리, 적심시기 및 적심횟수를 달리하여 재배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거리가 멀수록 분지수가 적어졌고, 경장, 경직경,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은 증가하였으며, 개화기 차이는 없었다. 2. 재식거리가 멀수록 분지당 화수, 착과수, 생과중, 전과중은 증가하였으나, 총 수량은 단위면적당 총 주수가 많은 재식거리 $60\;{\times}\;20cm$에서 가장 높았다. 3. 적심시기가 5월5일에서 6월5일로 늦어질수록 생육형질인 경장, 경직성, 분지수,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은 낮았고, 분지당 화수, 착과수, 생과중, 건과중도 모두 낮았다. 4. 적심횟수가 증가할수록 분지수는 많아졌지만, 경장, 경직경,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 모두 감소하였다. 5. 적심횟수가 증가할수록 분지당 개화수, 과립수, 착과율은 감소하였지만, 주당 생과중, 건과중은 증가하였다.

  • PDF

'원황' 배의 착과량 조절이 과실생산성과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 (Fruit Productivity and Cold Hardiness as Affected by Fruit Setting of 'Wonhwang' Pear Trees)

  • 김병삼;조경철;마경철;윤봉기;정석규;최현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4-71
    • /
    • 2017
  • '원황' 배(Pyrus pyrifolia Nakai)나무에 착과수준을 주당 54개(60%착과), 90개[100%착과구(관행)], 126개(140%착과)로 조절 하였을 때 가지의 생장, 저장양분 및 과실생산과 익년에 삽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년간 수행되었다. 주당 착과량이 증가하면 도장지 생장이 감소하였고 1년생 가지의 탄수화물과 다량 무기원소 및 유리당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관행 대비 140% 착과처리구는 두 해 모두 수량이 약 35톤으로 가장 높았지만 평균과중과 과실 크기 및 과육당도는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140% 착과처리구는 60%와 100% 착과 처리구 보다 년간 천만원 이상의 소득증대가 관찰되었다. $-20^{\circ}C$ 처리에서 삽수의 발아율은 뚜렷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고, $-30^{\circ}C$에서는 140% 착과처리구에서 70% 이하로 감소되었다. 저온에서 삽수의 전해질 누출률은 적과수준에 따라서 크게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