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ripening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4초

Antisense Polygalacturonase 유전자 형질전환 토마토의 후대 발현 분석 (Inheritance and Expression of Antisense Polygalacturonase Gene in Transgenic Tomato)

  • 김영미;한장호;김용환;이성곤;황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134
    • /
    • 1998
  • Antisense PG 유전자 형질전판 토마토로부터 자식시켜 얻은 종자를 kanamycin 내성을 이용하여 5세대까지 분리, 육성하여 antisense PG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식물체를 얻었다. 이들 식물체에는 genomic DNA gel blot 분석으로 antisense PG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유전되며 nor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antisense RNA가 발현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antisense RNA에 의한 endogenous PG 유전자의 발현 저해를 분석하였다. Antisense PG 유전자 형질전환 성숙 토마토내 PG 효소 활성이 비형질전환 성숙 토마토에 비하여 37-65%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 PDF

Breeding of Korean Raisin Tree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for High Productivity in Korea

  • Kim, Sea-Hyun;Han, Jingyu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1-376
    • /
    • 2008
  • For the purpose of breeding a high-yield superior variety of Korean raisin tree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whose value as an edible and medicinal resource is increasing, tree candidates for superior individuals were selected from its 11 habitats in Korea from 1996 to 1998. A clone bank preserve was created in 1998 with 70 clones proliferated by grafting; the fruition traits (e.g., the number of fructified laterals, the average number of bunches per fructified lateral, the average number of bunches per fruiting lateral, the fruitpetiole weight per individual, and the yield per individual) of 47 clones that had bloomed and borne frui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2002; five upper-ranking clones whose yield per individual exhibited a 261% improvement against the total average were picked in 2005; and three clones, including 'Poong-Sung 1', that showed a difference in their fruit petiole ripening stage, were finally selected in 2007 as high-yield new cultivars of Korean raisin tree.

국내 육성 황육계 키위푸르트 품종간 저장 특성 비교 (Shelf-life comparison of two Korean golden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cultivars under low temperature storage)

  • 이아연;배태민;조윤섭;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265-274
    • /
    • 2014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Korean golden kiwifruit cultivars, 'Halla Gold' and 'Haehyang',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storage potential of fruit. The soluble solid levels of the fruit were 8.9 and 6.9 oBrix in 'Halla Gold' and 'Haehyang' at harvest, respectively but increased up to 15.4 in 'Halla Gold' and 17.5 oBrix in 'Haehyang' after 2 months of storage. Major sugars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sucrose content was relatively low regardless of cultivar. The edible quality of 'Haehyang' was better than 'Halla Gold' because of higher amount of sugars. Firmness of the fruits gradually decreased as the increase of storage period in 'Halla Gold' in both flesh and core tissue. Th firmness loss of 'Haehyang' fruit was faster in the first 2 months and then became slow. After 75 days of storage, the firmness of 'Haehyang' fruit was only 5.2% at harvest. Core tissue was soften enough to eat at ripe stage. Wall modifying enzyme activities including xylanase, ${\alpha}$-L-arabinofuranosi-dase and ${\beta}$-galactosidase were consistently higher in 'Haehyang' and the activity of pectate lyase was more increased than 'Halla Gold' after 2 months of storage. Respiration rate of 'Haehyang' was higher than 'Halla Gold' and further increased after 2 months of storage. Weight loss was much higher in 'Haehyang' which showed higher rate of the firmness loss. The storage potential of golden kiwifruit was estimated to be about 2 months for 'Haehyang' and 3 months for 'Halla Gold' when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fruit firmness.

과실 흡수나방의 방제효과 (Control of the Fruit-Piercing moths)

  • 윤주경;김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7-131
    • /
    • 1977
  • 1976년 6월부터 10월 사이에 전남 곡성군 서계리에 개간 재배되고 있는 과수지대를 중심으로 흡수나방 방제법의 일환으로 방충망, 약제, 유인시험, 봉지우기, 유아증설치로 시험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방충망내외 피해율을 보면 자두에 있어서는 망내 망외가 $9.4\%$$38.3\%$, 복숭아에 있어서는 망내 망외가 $2.5\%$, 대 $53\%$, 포도에 있어서는 망내와 망외가 $10\%$$29\%$였다. 2) 약제시험결과 과실피해율을 보면 Deoclean은 $3.64\%$ Thiomenton $5.94\%$, DDVP $7.9\%$, Metasystox $7.9\%$, Demeton $9.76\%$, 탁주+비산연 $10.06\%$, Padan $14.16\%$로 피해율이 높았다. 3) 유인제시험 결과를 보면 탁주+흑설탕구가 416마리의 나방을, 다음은 탁주+식초구가 307마리를 채집한데 반하여 혼합액은 141마리로 사충수가 각각 적었다. 평균 피해율을 보면 탁주+꿀구는 $5.2\%$, 탁주+식소구는 $5.6\%$인데 반하여 탁주 단용구는 $12\%$ 의 피해율을 나타냈다. 4) 봉지씌우기는 포리에칠렌 필림 계통의 봉지는 피해는 다소 면할 수 있으나 숙기지연과 부패병으로 실효를 거둘 수 없는 반면 신문지 봉지는 $17.5\%$ 피해율을 나타냈으나 숙기가 약간 지연되는 외에는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5) 백색 전구는 비래 나방수가 10.8마리로 청색 0.95마리, 황색 전구 0.22마리에 비하여 많이 비래하였으나 방제효과 면에서는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본다

  • PDF

AVG 처리(處理)에 의한 지주재배(支柱栽培) 참외의 낙과억제(落果抑制) (Inhibition of Preharvest Drops by AVG Foliar Application in Staking Cultivation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Plants)

  • 정희돈;최영준;주성돈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792-796
    • /
    • 2000
  • 참외의 지주재배는 포복재배에 비하여 과실의 수량이 증가하였다. 지주재배는 수확전 낙과율이 47.6%로 무지주의 13.0%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그러나 개화 후 15 일에 aminoethoxyvinylglycine(AVG, $100mg{\cdot}L^{-1}$)을 엽면살포한 결과 낙과율이 10.9%까지 소하였다. AVG처리는 과실의 품질이나 숙기에는 영향이 없었다. AVG처리는 과설의 에틸렌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 PDF

고추과실 세포벽 Pectin질의 연화에 따른 변화 (Softening Related Changes in Cell Wall Pectin of Hot Pepper Fruit)

  • 김순동;윤수홍;강명수;박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1-175
    • /
    • 1986
  • 고추과실의 연화와 관련한 pectin질의 변화를 조사할 목적으로 성숙단계별 조세포벽 시료로부터 분리한 pectin질을 화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IAP와 CBP로 분획한 후 gel여과를 통한 개략적인 분자량변화를 살펴보았다. 고추과실이 연화되는 동안 세포벽 pectin을 구성하는 polyuronide는 IAP에서 보다 CBP에서 증가율이 높았는데 이것은 이와 결합한 hemicellulose의 분해에 기인하였고 이 hemicellulose분해물 중에서는 galactose가 가장 많았다. IAP의 개략적인 평균분자량은 성숙 연화하는 동안 60만에서 250만으로 고분자화하였고 CBP는 450만에서 20만으로 저분자화하였는데 CBP저분자화의 주된 원인은 이에 결합된 hemicellulose의 분해에 기인되는 것 같았다.

  • PDF

숙성 중 대봉감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Daebong-gam (Diospyros kaki) during Ripening)

  • 정창호;곽지현;김지혜;최귀남;정희록;김대옥;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26-53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숙성기간에 따른 대봉감의 영양성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5.36~5.96으로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0.13~0.06%로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당도는 21.17~21.46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밝기, 적녹도, 황청도 및 비타민 C 함량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수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회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섬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봉감, 반시 및 연시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K(96.31~239.47 mg/100 g), P(49.10~55.93 mg/100 g) Na(15.96~18.13 mg/100 g), Mg(11.14~14.50 mg/100 g) 및 Ca(6.53~14.80 mg/100 g) 순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으로는 sucrose, glucose 및 fructose 3종이 분리 동정되었다. 대봉감, 반시 및 연시에서 glucose가 4.82%, 6.73%, 그리고 7.1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시기별 대봉감, 반시 및 연시 모든 시료에서의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였으며,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linolenic acid였고, 유기산은 succin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시설재배된 설향딸기의 수확시기가 수확후 품질에 미치는 영향 (Determination of the Harvest Date and Ripening Phase of 'Seolhyang' Strawberry)

  • 홍세진;엄향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72
    • /
    • 2020
  • 본 연구는 '설향' 딸기의 수확시기에 따른 품질 특성을 확인하고, 상온(20℃)·cold-chain(10-12℃)·저온(5℃) 유통에 적합한 숙성단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딸기는 12월 20일부터 5월 9일까지 6번에 걸쳐서 수확하였다. 딸기를 수확할 때 적합한 숙성 정도는 3월까지는 경도 2.9-3.0 N, 당도 8.6 °Brix 이상이었으나, 4월 이후에는 당도가 감소하였다. 딸기의 숙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붉게 착색된 정도이고, Hunter a 값은 32-37, hue angle은 36-45℃였다. 딸기의 후숙 실험에서 숙성 정도는 딸기의 착색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서 결정되었으며, 상온에서는 10%/day, 10-12℃에서는 5%/day, 5℃에서는 3%/day씩 착색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상온에서 유통할 경우에는 80%, cold-chain·저온에서 유통하기 위해서는 90%의 착색된 과실을 수확하여야 유통하는 동안 상품성이 유지되었다. 그리고 상온에서는 70% 이하로 착색된 딸기를 유통하거나, 저온에서는 80% 이하로 착색된 딸기를 유통하는 경우에는 100% 착색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품성을 잃었다.

자두 '대석조생'의 숙기 및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저온장해과 발생 및 품질특성 (The Chilling Injury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Ooishiwase' Plums (Prunus salicina L.) according to Ripening Stages and Cold Storage Temperature)

  • 조미애;홍윤표;최선영;정대성;임병선;박수정;이승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51-660
    • /
    • 2011
  • 자두 '대석조생'의 생육단계별 수확시기 및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저온장해과 발생 양상과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고자, 자두 '대석조생'을 60%, 80% 그리고 90% 이상의 착색율로 구분하여 수확한 후, 1, 4, 5, $6^{\circ}C$ 그리고 $20^{\circ}C$에 최대 48일간 그리고 $20^{\circ}C$에서 3일간 숙성시키면서 호흡 변화, 품질 특성 및 저온 장해과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60% 착색기에 수확한 자두를 보다 낮은 저온에 저장하였을때 경도, 색도, 중량감소율과 적정산도의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에틸렌 발생량과 호흡량도 보다 낮게 유지되었다. '대석조생' 자두의 저온장해 증상은 주로 내부 갈변을 동반한 gel breakdown과 과육투명화 현상이었는데, 이러한 저온장해과는 모든 숙기별 처리구 그리고 $6^{\circ}C$ 이하의 모든 저장 온도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성숙이 진행되지 않은 과일일수록, 그리고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저온장해과 발생율을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석조생' 자두의 저온장해과 발생이 저장기간 동안의 호흡 양상과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ABA 처리를 통한 '홍이슬' 포도의 착색향상 및 적정 수확기 설정 (Fruit Color Improvement by ABA Treatment and Determination of Harvesting Time in 'Hongisul' Grapes)

  • 신경희;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256-260
    • /
    • 2012
  • 본 연구는 ABA 처리를 통해 '홍이슬' 포도의 착색을 증진시키고자 하였으며 고품질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적정 수확시기를 밝히고자 하였다. 변색 초기에 $1000mg{\cdot}L^{-1}$ 의 외생ABA 처리는 내생 ABA와 당함량 증가를 가져왔으며 착색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A 처리 시 착색이 촉진되어 처리 후 15일인 만개 후 85일부터는 수확이 가능한 정도까지 착색되었으며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하였다. 과립성숙에 따른 가용성고형물의 증가와 산의 감소도 꾸준히 진행되었다. 만개 후 100일 이후에는 당도가 높고 산도는 낮은 수준으로 변화가 없으나 경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지연 수확 시 과숙의 위험이 있어 과실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만개 후 100일을 전후하여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무처리구의 경우에는 착색이 불량하여 만개 후 85일에는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만개 후 100일에도 당산비를 기준으로 한 수확은 가능하였으나 여전히 착색이 불량하였다. 착색을 기준으로는 만개 후 110일에서야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과숙과 동시에 경도가 현저하게 낮았다. 따라서 무처리구의 경우 만개 후 100일을 기준으로 착색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