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color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26초

포도 '거봉' 품종에 있어서 착립 정도와 과실 품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erry Set Density and Fruit Quality in 'Kyoho' Grape)

  • 박서준;김진국;정성민;노정호;허윤영;류명상;이한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54-958
    • /
    • 2010
  • 포도 '거봉' 품종의 적정 착과량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신초당 착립수를 조절하여 변색기 이후의 과실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실의 당도는 변색기 이후 30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신초당 착립수가 적을수록 빠르게 증가하였다. 신초당 10립과 20립 처리구의 당도는 변색기 이후 4주까지 $18.0^{\circ}Bx$ 이상 급격히 상승한 다음,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신초당 30립 처리구의 당도는 변색초기에는 느리게 상승하였으나,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18.0^{\circ}Bx$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신초당 40립과 50립 처리구는 변색기 이후 4주까지도 당도의 상승폭이 현저히 적었고, 성숙기에 도달해도 $15.0^{\circ}Bx$에 그쳤다. 과즙의 산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변색기 이후 30일까지 빠르게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신초당 50립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의 산 함량은 0.4-0.6%에 도달하였다. 과피색은 변색기 이후 모든 처리구에서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녹색에서 자흑색으로 변화하면서 L, b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신초당 10립과 20립 처리구의 경우 변색기 이후 2주까지 완만히 증가한 후 변색기 이후 6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그 후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신초당 30, 40 및 50개의 착립구는 정상적인 착색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과실품질을 고려할 때 거봉 포도의 착립 정도는 신초당 20립 내외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이줄기 첨가에 따른 Muscat Bailey A 포도의 발효 중 발효액 및 포도주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 (Phenolic compounds of must and wine supplemented with Muscat Bailey A grape fruit stem)

  • 정세현;장은하;허윤영;정성민;남종철;고상욱;최인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9
    • /
    • 2015
  • 이전 연구에서 포도 품종별 및 부위별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한 결과 MBA 품종의 송이줄기 부위에서 trans-resveratrol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수십배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포도주 제조 시 버려지는 비가식 부위인 송이줄기를 농도별로 첨가해 발효 중 발효액 및 포도주의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하였다. 송이줄기 첨가량에 따른 발효액의 발효 중 적색도, 총안토시안 함량, 총폴리페놀 및 탄닌 함량은 발효후기로 갈수록 송이줄기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포도주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포도주의 휘발산 함량은 송이줄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액 및 포도주의 폴리페놀 성분을 분석한 결과 catechin(8.16~23.08 mg/L)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allic acid(2.32~3.28 mg/L), trans-resveratrol(1.38~3.27 mg/L)및 ferulic acid(1.51~1.59 mg/L) 순서로 함량이 높았다. MBA 포도주의 항산화활성을 DPPH $IC_{50}$로 측정한 결과 송이줄기 함량에 비례해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송이줄기 5% 첨가한 포도주(12 mg/L)는 ascorbic acid의 DPPH $IC_{50}$(67 mg/L)보다 낮은 농도에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생육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Microstructure of Fruit Body in the Basidiomycetes, Pleurotus ostreatus)

  • 윤선미;주영철;서건식;지정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5-230
    • /
    • 2006
  • 생육온도가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생육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온도를 $7^{\circ}C,\;15^{\circ}C,\;23^{\circ}C$로 달리하여 생육시키고, 자실체의 특성 및 조직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 한 결과,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갓의 두께는 얇아지고, 대의 두께 및 대의 길이는 길어졌으며, 버섯의 갓 색깔이 백색에 가깝게 변화하였다. 생육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미세구조변화는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주름에 있어서 담자포자의 비산이 빠르고, 노화현상이 두드러졌다. 생육온도별로 느타리버섯 대부위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경도는 낮아졌는데 이는 세포의 노화 및 균사의 밀도가 낮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의 세포학적인 특정으로 액포화가 두드러져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생육일수는 빨라지나 그만큼 노화가 쉽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Colletotrichum fioriniae에 의한 호박 과실 탄저병의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fioriniae Causing Anthracnose on Fruit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in Korea)

  • 김준영;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26권3호
    • /
    • pp.190-193
    • /
    • 2020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중인 호박 과실에 탄저병이 발생하였다. 병든 호박 과실에 분홍색의 분생포자 층이 동심원으로 나타나 점차 확대되어 과실이 무르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원인균을 규명하기 위하여 순수 분리 후 균학적 특성 및 ITS, GAPDH, CHS-1, HIS3, ACT, TUB2 염기서열 분석결과 Colletotrichum fioriniae로 동정하였다. 또한, 병원성이 확인되었고 접종시험에서 동일한 균이 반복적으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 fioriniae에 의한 호박 과실에 발생하는 탄저병의 발생을 국내 처음으로 보고한다.

추석용(秋夕用) 고품질 사과 '새나라' 육성(育成) ('Saenara', a New Chuseok Season Apple Cultivar)

  • 신용억;황정환;송관정;이돈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48-351
    • /
    • 2001
  • '새나라' 품종은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에서 1997년에 육성한 중생종으로 착색과 품질이 우수하고 풍산성이다. 이 품종은 1981년도에 'Spur EarliBlaze'에 'Spur Golden Delicious'를 교배하여 육성한 것으로 1992년도에 1차 선발되어 '원교 가-08호'로 명명되었고 1993년부터 1997년까지 5년 동안 7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성시험을 거쳐 1997년에 '새나라'로 최종 선발 및 명명되었다. 수세는 중정도이고 수자는 개장성이며 스퍼 타입이다. 개화기는 'Spur Golden Delicious'보다 하루 빠르고 'Spur EarliBlaze'보다 3일 늦다. 수원지역에서의 숙기는 만개기로부터 140일 후인 9월 10일경이고 과형은 원추형이며 과피색은 선홍색이다. 과중은 300g 전후이고 당도는 $14.6^{\circ}Brix $이며 점무늬낙엽병에 약하다.

  • PDF

Fourier 변환 적외선 분광분석법에 의한 딸기 과육의 성숙도 측정 가능성 (Feasibility of Determining the Ripeness of Strawberry Fruit Flesh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 민성란;곽철원;김석원;정원중;정화지;최필선;고석민;박상규;정회일;유장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277-281
    • /
    • 2006
  • Fourier transform - infrared spectroscopy (FT-IR) provides biochemical profiles containing overlapping signals from a majority of the compounds that are present when whole cell extracts are analyzed.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ripeness of strawberry fruit flesh by FT-IR. Fruit ripeness was divided into four developmental stages based on fruit skin color: 'yellow-green', 'pink-green', 'pink', and 'red' stag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FT-IR data of inside fruit flesh extracts clustered samples of four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into three discrete groups: (1) 'yellow-green' group, (2) 'pink-green' group, and (3) 'pink' and 'red' group. The most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four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was found in the carbohydrate fingerprint region $(1,000-1,100cm^{-1})$ of the FT-IR spectrum, indicating that differences in carbohydrate compounds represented the ripeness of strawberry fruit.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FT-IR in combination with PCA enables discrimination of the ripeness of strawberry fruit flesh.

Aminoethoxyvinylglycine과 몇몇 전착제의 처리가 '쓰가루' 사과의 품질, ethylene 발생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ruit quality, ethylene evolution and storage in apple 'Tsugaru' as influenced by aminoethoxy-vinylglycine and several surfactants)

  • 강충길;정재훈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5
    • /
    • 2000
  • Aminoethoxyvinylglycine(AVG) 및 몇몇 전착제의 처리가 쓰가루 사과의 품질, ethylene 발생 및 저장성에 미치는 연구를 구명한 바 그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AVG+Silwet L-77 처리시 무처리 대비 당도와 산도는 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약제인 디클로르프로프 액제 처리시 당도는 증가하였고 산도는 감소하였다. AVG+Silwet L-77 처리시무처리 보다 녹색을 띤 반면에 디클로르프로프 억제는 붉은색을 현저히 띄고 있었다. AVG+Silwet L-77 처리시 ethylene 발생을 억제시켰으며, 저장력이 향상되어 시장성이 보다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오디 추출액 첨가비율에 따른 오디편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Oddi-Pyun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mulberry fruit extract)

  • 김애정;김미원;우나리야;김명희;임영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08-714
    • /
    • 2003
  • Oddi is a mulberry (Morus alba L) fruit which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ddi-Pyun which was manufactured with various addition levels (0, 0.5, 1, 2, 4%) of Oddi extract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Korean Kwaypun (a kind of jelly) methodology. Oddi-Pyun was made with various levels of Oddi extract, mungbean starch (9%) and sugar (30%). To establish the additional amount of mulberry fruit extract,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al test were carried out. From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2% of Oddi-Pyun was judged as the best in terms of color, flavor, hardness and elasticity. According to texture characteristics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1.0% and 2.0% of Oddi-Pyun were judged as the best. The contents of Ca (69.50, 74.75, 84.25, 100.60, 183.55ppm), Mg(27.37, 29.38, 34.20, 46.73, 97.45ppm) and Fe (320.23, 572.45, 680.50, 725.95, 906.50ppb) increased with increasing Oddi extract. Therefore, the optimal added amount of extract for the manufacture of Oddi-Pyun was proposed as 2% to the total weight. It was concluded that this Oddi-Pyun would be helpful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rheumatics and patients with similar diseases.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Treatment Delays Leaf Senescence and Improve Fruit Storability in Melon (Cucumis melo L.)

  • Hong, Ji-He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58-161
    • /
    • 2012
  • The influence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on anti-senescence of melon leaves and the change in fruit quality during the storage at low temperature were studied. In most of the crops, freshness of leaves is important factor for characteristics of fruits, such as sugar contents, color, and firmness. Melon ($Cucumis$ $melo$ L. cv. Prince) plants were sprayed with LPE at 5 and 3 weeks before commercial harvest. In upper part, LPE treatment showed slight high number of fresh leaf compared to no treatment (None). However, in lower part, LPE resulted in apparent inhibition effect on senescence, showing that lower side of melon plant kept fresh upon LPE application up to about 30%. The SSC of melon treated with LPE was similar to that of fruit from None at harvest. There was no change in soluble solids content (SSC) for all treatment during the storage at $7^{\circ}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rmness of mesocarp from melons given different treatments at harvest. The firmness of mesocarp from melon treated with LPE was higher than none after 2 weeks storage. The electrolyte leakage means for melon treated with LP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means at initial storage after 2 weeks storage among the treatments. None increased 57% from its initial electrolyte leakage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LPE may have potential to inhibit senescence of leaves and maintain fruit quality during the storage in melon.

산지가공 오디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Mulberry Fruit Beverages for Rural Food Process)

  • 양향숙;노정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6-254
    • /
    • 2012
  •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our mulberry fruit beverages (MFBs) and develop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s for evaluation of their sensory characteristics. Soluble solid, free sugar, pH, acidity, chromaticity, flavonoid, and anthocyanin of MFBs were determined. All MFB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p$<0.01). Ten highly trained panelists identified the following 11 sensory attributes in the MFBs and defined the terminology for each attribute : turbidity, chromaticity for appearance characteristics, berry, grass, fermented, sweet, astringent, and sour for flavor characteristics, and throat hit, refreshing, and astringent for textu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10 sensory attributes among the MFB samples ($p$<0.001). In color, the value of MFB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5). In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the values of MFB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1, $p$<0.001). Descriptive terminology of the developed MFBs could explain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 samples according to this result. Based on this, proper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could be applied to other fruit beverages to establish their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 and descriptive sensory attrib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