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bagging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4초

Embossing 처리 과대지의 제조 및 물성 (Preperation and properties of embossing treated fruit bagging paper)

  • 김강재;변종상;김대근;엄태진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01-206
    • /
    • 2006
  • Embossing treated fruit bagging paper was prepared with newly designed embossing rol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ruit bagging paper were evaluated. The embossing technology was developed. First of all, embossing roll was designed in Ginyong Embo(Co) for the embossing process of fruiting bag. The embossing treated fruit bagging paper was manufactured in Agro(Co) at plant scal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mbossing paper was investigated and operation efficiency of bagging was tested at field. The properties of embossed paper was quit satisfied for fruiting bag for cultivation of apple and pears.

  • PDF

Altered Protein Expression in Peach (Prunus persica) Following Fruit Bagging

  • Zhang, Wei;Zhao, Xiaomeng;Shi, Mengya;Yang, Aizhen;Hua, Baoguang;Liu, Yuepi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32-45
    • /
    • 2016
  • Fruit bagging has been widely practiced in peach cultivation to produce high quality and unblemished fruit. Moreover, fruit bagging has been utilized to study the effect of shading on the quality of fruit. We conducted a proteomic analysis on peach fruit to elucidate the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events that characterize the effect of bagging treatment. Comparative analysis of 2D electrophoresis (2-DE) gels showed that relative protei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at 125 DAFB (days after full bloom), as well as at 133 DAFB in fruit that had been bagged until 125 DAFB, followed by exposure to sunlight. Most of the proteins with altered expression were identified by MALDI TOF/TOF. Twenty-one proteins with differential expression among the groups were identified at 125 DAFB, while thirty proteins with differential expression among the groups were identified at 133 DAFB. The analysis revealed that expression of proteins involved in photosynthesis, stress responses, and biochemical processes influencing metabolism were altered during bagging treatment, suggesting that regulation of the synthesis of carbohydrates, amino acids, and proteins influenced fruit size, solid/acid ratio, and peel color. This work provides the first characterization of proteomic changes in peach in response to fruit bagging treatment. Identifying and tracking protein changes may allow us to better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bagging treatment.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발수 에멀션의 제조(II) - PLA 및 PBS 에멀션 코팅 과일봉지의 물성 비교 - (Preparation of Emulsion from Biodegradable Polymer(II) - Characteristics of paper treated as PLA and PBS emulsion -)

  • 김강재;이민형;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2호
    • /
    • pp.13-20
    • /
    • 2013
  • In this study, two biodegradable polymer(PLA, PBS) emulsions were treated on agricultural packaging paper such as fruit bagging paper. Water-repellency, mechanical properties, and SEM image with thermal aging were measured on the emulsion treated fruit bagging paper. Biodegradable polymers(such as poly lactic acid, poly butylene succinate) emulsion treated fruit bagging paper had higher water-repellency and strength than other water-repellent(such as acrylic repellent, linseed oil and paraffin wax) treated fruit bagging paper. According to FE-SEM results of polymer emulsion coated fruit bagging paper, the colloidal particles of emulsion after thermal treatment (looks like being) were adhered to the fibers. Thus, using biodegradable polymer emulsion is expected to protect a fruit for a long time.

시판중인 과대지의 이화학적 특성 (Properties of commercial fruit bagging paper)

  • 김강재;변종상;김대근;엄태진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93-199
    • /
    • 2006
  • Fruit bagging paper is used for protecting of fruits from insect and/or microorganisms. Generally, fruit bagging paper controled l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n it is used for good fruit color, size and tas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ventional(domestic and abroad) fruiting bag and wrapping paper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And also, the optical properties of conventional(domestic and abroad) fruiting bag and wrapping paper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The chemical additives and residual herbicide in conventional fruiting bag and wrapping paper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The analyzed data was bench marked for developing water repelling paper and embossing paper.

  • PDF

포도 중 Thiacloprid와 Lufenuron의 유/무대 차이에 따른 잔류량 비교 (Effect of Bagging Technique on the Residue Patterns of Thiacloprid and Lufenuron in Grape fruit (Vitis labrusca L.))

  • 진용덕;임성진;김상수;최근형;이학원;정두연;문병철;노진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48
    • /
    • 2017
  • 본 연구는 침투성 살충제 thiacloprid와 비침투성 살충제 lufenuron을 포도에 살포시 유대와 무대조건에서 이들 약제의 잔류량 변화를 경시적으로 분석하여 잔류패턴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전북 김제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대상 포도의 품종은 켐벨이었다. 시험농약으로는 thiacloprid 10% 액상수화제와 lufenuron 5% 유제를 각각 2,000배 희석한 다음 배부식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경엽살포하였다. Thiacloprid 및 lufenuron 잔류시험은 수확 전 14-7-0일에 약제처리한 다음 최종살포 후 0, 1, 3, 5 및 7일에 수확하였고, 통시료, 과육 및 과피시료로 구분하여 균질화 한 후 두 약제를 HPLC-UV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성분의 회수율과 RSD는 각각 76.5-104.3과 81.4-100.8%, 0.7-6.0과 1.4-6.8% 범위이었으며, 검출한계는 두 약제 모두 0.01 mg/kg이었다. 유대시료에서는 thiacloprid와 lufenuron 모두 검출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무대시료에서 thiacloprid의 잔류량은 통시료 0.47-1.09, 과육시료 0.18-0.33 및 과피시료 1.24-1.67 mg/kg으로 경시적으로 감소하였다. Lufenuron의 잔류량은 통시료 0.16-0.61 mg/kg, 과육시료 < LOD-0.08 및 과피시료 0.85-1.48 mg/kg으로 경시적으로 감소하였다.

배 '신고'의 생육기에 나타나는 과피얼룩과의 발생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during Growing Period in 'Niitaka' Pear)

  • 문병우;남기웅;문영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8-204
    • /
    • 2014
  • '신고'배에서 나타나는 과피얼룩과 발생을 경감하기 위하여 생육기 동안 몇 가지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과피얼룩 증상은 유과기(5월 25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 시까지 나타났으며 과육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과피얼룩과 발생은 수세가 정상적인 나무, 지베렐린 과경 도포 처리에서 현저하게 낮았으나, 아미노산 수체살포는 큰 차이가 없었다. 봉지에서는 칼슘이 코팅된 봉지 및 석회유황합제가 코팅된 봉지에서 과피얼룩과 발생이 낮았다. 봉지 내지에 석회유황합제 및 콩기름 도포는 과피얼룩이 아닌 약해를 유발시켰다. 과피얼룩 발생과의 수피 및 과피는 K 농도가 높았으나 엽에서는 T-N 및 K 농도는 오히려 낮았다.

포도에서 봉지의 종류, 처리시기 및 식물성오일 처리가 열과와 탄저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atment of Bag Kinds, Bagging Time and Plant Oils on Fruit Cracking and Bitter Rot in Grapevines)

  • 문병우;이영철;남기웅;김정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3-149
    • /
    • 2008
  • 포도에서 봉지 종류, 봉지 처리시기 및 식물성 오일처리에 따른 열과와 병 발생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봉지 종류별 열과 및 탄저병 경감효과는 '캠벨얼리'에서 열과 발생은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으나, 탄저병 발생은 무대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조생 캠벨얼리'에서 열과 및 탄저병 발생은 무대처리를 제외한 관행봉지, 창문봉지, 칼슘함유봉지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캠벨얼리'에서 모두 7월 5일 이전의 봉지처리에서, '거봉'에서는 각각 6월 29일과 7월 6일이전의 봉지처리 모두에서 현저하게 줄었다. 식물성오일 처리는 '조생 캠벨얼리'에서 열과 및 탄저병 발생률을 현저히 줄 일수 있었고 '캠벨얼리'에서는 과피의 칼슘함량을 증가시켰다. 봉지종류별 과실품질 중 가용성고형물은 창문봉지 처리에서 많이 감소되었으며 칼슘함유봉지 처리에서는 Hunter b값이 떨어졌다. 따라서 칼슘함유봉지 및 식물성오일 처리는 열과 경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과대지용 emulsion 발수제 및 처리기술 (Water Repelling Technology for Fruit bagging paper)

  • 윤경동;변종상;김대근;엄태진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07-212
    • /
    • 2006
  •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utilization way of water repelling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of fruiting bag was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 water repelling technology was developed by wax emulsion coating The wax emulsion was manufactured at Chungsan chemical(Co) on pilot scale. The coating paper was tried in plant coater of Agro(Co). The water repellency of wax emulsion coated paper was good as fruit bagging paper.

  • PDF

'만풍배'의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The Characteristics of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Fruit Developmental Stage of Pyrus pyrifolia Nakai cv. Manpungbae)

  • 박지은;권용희;이별하나;박요섭;정명희;최진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4
    • /
    • 2013
  • 본 연구는 '만풍배'의 생육단계 및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의 해부학적 차이를 알아보고, 수확기 과실의 품질 및 착색특성 관찰을 통하여 '만풍배'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만개기의 과실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표피층을 이루는 세포 층수는 만개기부터 만개 후 77일까지 9-13층까지 최대로 증가하여 '만풍배'의 세포 분열 기간은 만개 후 77일까지로 조사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표피층에서 유관속조직까지의 두께는 $73.1{\mu}m$부터 $195{\mu}m$까지 증가하였다. 석세포는 만개 후 7일부터 관찰되어 만개 후 49일에는 석세포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코르크층은 만개 후 49-77일 사이에 형성되었다. 성숙기인 만개 후 161일 '만풍배' 과실의 과피는 바깥쪽부터 코르크층은 4.5층, 아표피층은 7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아표피층에는 탄닌이 분포해 있었다. '만풍배'의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비대 및 조직발달을 비교한 결과, 괘대 초기에는 코르크층이 유대재배구에서 더 빨리 생겨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성숙기에는 3층 정도 무대재배구에서 더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석세포군의 크기는 두 실험구 모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과중은 무대재배구에서 더 높았으나 수확기의 당도는 괘대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풍배'의 수확기 과중 등급은 301g부터 900g 이상까지 분포하였고, 그 중 551-800g의 과실이 총 수확량의 71.6%로 가장 많았으며 이 범위의 평균 과중은 677.2g이었다. 과실품질은 가용성 고형물 함량 $10.1-12.1^{\circ}Brix$, 산도 0.10-1.24%, 당산비 9.76-14.31로 분포하였으며 과중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 크기가 클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높았다. 반면에 경도는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크기가 클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황갈색 부분과 녹색 부분을 구분하여 코르크층 수와 함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코르크층은 황갈색 부분은 3.8층, 녹색부분은 3.5층으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녹색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봉지종류 및 괘대시기가 '원황' 및 '화산' 배 과실의 수확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it bags and bagging time on fruit quality indices at harvest time in 'Wonhwang' and 'Whasan' pears)

  • 정억근;이욱용;안영직;이혁재;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2호
    • /
    • pp.107-113
    • /
    • 2013
  • 충남 천안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국내신육성 조중생종 배 '원황' 및 '화산'을 공시하여 외지의 색깔을 달리한 3종의 이중봉지를 만개 후 35-65일까지 10일 간격으로 괘대한 후 수확기에 과실을 수확하여 색택 및 과실품질을 비교하였다. 봉지간 광차단율을 조사한 결과, 회색외지를 사용한 과실의 광차단율이 유의하게 높아 광투과율이 0.46%로 황색외지의 43.7% 및 신문지의 40.0%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품종 모두 괘대시기가 늦을수록 적색도($a^*$)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괘대 시기가 만개 후 65일로 늦은 경우에는 과피가 지나치게 붉은색으로 착색되거나 착색의 균일도가 떨어져 외관이 심하게 떨어졌다. 과실의 수확기 가용성고형물, 산함량 등 품질요인은 봉지종류 및 괘대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회색외지 처리과실의 수확기 경도편차가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본 실험결과, 회색외지를 사용한 경우 과실품질요인의 저하 없이 '원황'과 '화산' 배 과실의 과피색 발현에 유리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