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ness indicato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1초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Tofu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58-162
    • /
    • 2006
  •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를 판정 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여 두부의 표면에 부착하여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부패시점을 판정하기 위하여 pH, VBN, TBARS, 총균수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두부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 시점과 같은 저장 8일째에 두부는 부패초기수준에 도달하여 pH는 5.6, 총균수는 7.63 log CFU/g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VBN, TBARS 값도 상승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8일 이후에는 이취 및 표면에 점질물 생성 및 조직의 저하 등 가식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신선도표시계는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를 실시간으로 나타내줌으로써 두부의 유통기한 확립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Chicken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61-767
    • /
    • 2006
  • 계육의 신선도를 판정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였고, 냉장저장 중 계육의 신선도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 중 계육의 모든 부위는 저장 3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의 변화로 신선도가 저하되었음을 제시해주었다.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시점과 같은 저장 3일에 VBN, TBARS, 총균수의 값 또한 부패시점에 도달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4일 이후에는 이취 및 표면에 점질물 생성 등으로 가식이 불가능하였다. 부패취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차, 저장 3일차, 저장 5일차의 향기분석에서 주성분 분석값이 뚜렷한 차이를 보여 계육 부패시점이 3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선도표시계인 신선도표시계는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확인을 실시간으로 해줌으로써 계육의 유통기한 확립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장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쇠고기 및 돼지고기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5-330
    • /
    • 2006
  • 식육의 신선도를 판정 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여 냉장 저장 중 돼지고기의 삼겹살과 쇠고기의 등심의 신선도 및 품질 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기간 중 삼겹살과 등심 모두 저장 6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이 변하였다. 저장 기간 중 품질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 시점과 같은 저장 6일에 VBN, TBARS, 총균 수의 값도 부패 시점 기준에 도달하는 값을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6일 이후에는 이취 등에 의하여 가식이 불가능 하였다.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째, 저장 6일째, 저장 10일째의 향기 분석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장 중 식육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변화를 고려할 때, 제작된 신선도표시계의 시료 부착을 통하여 유통 중인 식육의 선선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다공성 기재를 이용한 닭가슴살 신선도 인디케이터 제조 및 특성 (Development of a Food Freshness Indicator for Monitoring Spoilage of Chicken Breast Using a Porous Substrate)

  • 이가은;백승혜;김도완;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5
    • /
    • 2017
  • 닭가슴살의 품질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pH 지시약, AA, 다공성 기재인 $Tyvek^{(R)}$을 이용하여 신선도 인디케이터를 제조하였다. 닭가슴살의 대표적인 지표물질은 TVBN과 $CO_2$이며, 이는 저장기간에 따라 미생물의 증식과 단백질 분해를 통해 증가한다. 닭가슴살 저장실험 결과 미생물 수로 판단한 초기부패단계의 $CO_2$ 농도와 TVBN 발생량은 각각 19%와 23 mg%로 확인되었다. 지표물질 발생량 데이터를 토대로 BCG 및 AA의 농도별 인디케이터를 제조하여 인디케이터 색변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A의 함량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색변화구간 조절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제조한 인디케이터 중 "G0.12_A0.5"의 인디케이터가 닭가슴살 초기 부패판정 농도인 TMA 20 mg%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뚜렷한 색변화를 보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정된 최적 조성의 인디케이터를 닭가슴살 포장내부에 부착하였으며, $4^{\circ}C$$10^{\circ}C$에서 8일동안 닭가슴살의 이화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TCD 값을 통해 판단된 인디케이터의 색변화 발생일이 각 온도별 닭가슴살 초기부패판정일과 잘 부합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저장 중 닭가슴살의 품질변화를 제조한 인디케이터의 포장 내 부착을 통하여 감지하고 실시간 신선도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pplication of a Prototype of Microbial Time Temperature Indicator (TTI) to the Prediction of Ground Beef Qualities during Storage

  • Kim, Yeon-Ah;Jung, Seung-Won;Park, Hye-Ri;Chung, Ku-Young;Lee, Seung-J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48-457
    • /
    • 2012
  • The predictive ability for off-flavor development and quality change of ground beef was evaluated using a microbial time temperature indicator (TTI). Quality indices such as off-flavor detection (OFD) time, color,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erobic mesophilic bacteria (AMB) counts,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counts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at 5, 10, 15, and $25^{\circ}C$, respectively. Arrhenius activation energies (Ea) were estimated for temperature dependence. The Ea values for TTI response (changes in titratable acidity (TA)), VBN, AMB counts, LAB counts, and freshness, which is defined based on OFD time for quality indices of ground beef, were 106.22 kJ/mol, 58.98 kJ/mol, 110.35 kJ/mol, 116.65 kJ/mol, and 92.73 kJ/mol, respectively. The Ea of microbial TTI was found to be closer to those of the AMB counts, LAB counts, and freshness. Therefore, AMB counts, LAB counts, and freshness could be predicted accurately by the microbial TTI response due to their Ea similarity. The microbial TTI exhibited consistent relationships between its TA change and corresponding quality indices, such as AMB counts, LAB counts, and freshness,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Conclusively, the results established that the developed microbial TTI can be used in intelligent packaging technology for representing some selected quality indices of ground beef.

시판 보냉팩 및 스티로폼 박스 상온 유통시 효율적인 수산물 선도지표 설정 (Establishment of Effective Freshness Indicators for Seafood During Room-Temperature Distribution Using Commercial Cold Packs and Styrofoam Boxes)

  • 이지운;허민수;이정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670-680
    • /
    • 2022
  • Owing to the lack of a cold-chain distribution system, most seafood is generally distributed under room temperature conditions. However the degradation of freshness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can lead to disputes between sellers and consumer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low-temperature distribution for seafood includes packaging it with styrofoam boxes and cold packs. In this study, vacuum-packed frozen fillets of four fish species of [white meat (Paralichthys olivaceus and Sebastes schlegelii) and red meat (Scomber japonicus and Scomberomorus niphonius)] were placed in styrofoam boxes with cold packs. Thereafter, changes in chemical (including pH, volatile basic nitrogen, and trimethylamine), physical (odor intensity, hardness, and chewiness), and microbial (viable cell count) characteristics of the fillets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at 25℃. To identify the suitable method of determining freshness during the room-temperature distribution, several factors were considered, which included significant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economic efficiency (experimental cost and time). Volatile basic nitrogen, pH, odor intensity, and viable cell count are the most rapid and accurate freshness indicators for determining freshness of frozen fish fillets during.

Ki value 분석을 활용한 보관 중 돼지고기 안심의 신선도 품질평가 센서 구축 (Establishment of Quality Evaluation Sensor for Pork Fillets Freshness during Storage based on Ki value Analysis)

  • 샤아흐메드벨랄;포아티 디탱고 쥬니어 아이작 실레스타;최호성;심관섭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1-302
    • /
    • 2022
  • Food safety is a fundamental requirement for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freshness of pork fillets based on freshness index (Ki value) analysis during storage. This study obtained a total of 24 pork fillet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4℃ and -20℃ temperatures. Again, each temperature was divided into 4 different groups based on storage durations (15d). Each group was obtained in triplicate.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val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4℃ than the -20℃ storage with the duration of storage days. The levels of inosine-5'-phosphate (IMP) in pork fille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4℃ and -20℃. Hypoxanthine (Hx)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15 days than those at 0 days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4℃ and -20℃). Subsequent freezing increased more inosine levels at -20℃ than storage at 4℃. The Ki value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days at both temperatures, although after 15d storage, its values at 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20℃.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might affect the freshness of pork fillets via lipid oxidation and nucleotide degrad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Ki value will be the crucial indicator of measurement of freshness of stored pork fillets.

신선도 표시계 개발을 위한 총각김치의 저장 중 품질변화 척도 (Study of Quality Change in Chonggak-kimchi during Storage, for Development of a Freshness Indicator)

  • 김윤정;진유영;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91-496
    • /
    • 2008
  • 총각김치의 신선도표시계 개발을 위하여 총각김치를 제조한 후 $20^{\circ}C,\;10^{\circ}C,\;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총각김치의 발효 중 pH, 총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환원당 측정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든 저장 온도에서 pH는 약간 증가하다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4.2{\sim}4.3$까지 낮아졌고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속도가 빨랐다. 총산도는 $20^{\circ}C$ 에서 1일, $10^{\circ}C$에서 5일, $4^{\circ}C$에서 7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저장 온도 $20^{\circ}C$ 에서 4일, $10^{\circ}C$에서 10일, $4^{\circ}C$ 에서 30일 까지 증가했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총각김치의 가식기간은 저장 온도 $20^{\circ}C$에서 4일, pH 4.5까지, $10^{\circ}C$ 에서 10일, pH 4.4까지, 그리고 $4^{\circ}C$에서 30일, pH 4.3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총각김치의 유통기한은 저장 온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신선도표시계 개발에 있어서 한계 pH는 4.3으로 판단된다.

냉장 저장 중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선도 지표 개발을 위한 품질 특성 평가 (Assessment of Quality Changes in Mackerel Scomber japonicu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Development of a Freshness Indicator)

  • 박선희;김민주;김고은;최현덕;박소영;김민지;김꽃봉우리;김영민;남택정;홍창욱;최재혁;장명기;이주운;안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31-736
    • /
    • 2016
  • No freshness indicator for fish has yet been established. Thus, we investigated changes over time in mackerel quality in an effort to development useful indicators. Fresh whole mackerel Scomber japonicus were stored at $4^{\circ}C$ immediately after capture and quality changes were evaluated every 3 days for a total of 15 days. Whole fish were divided into ventral parts (VPs) and dorsal parts (DPs); we measured the trimethylamine (TMA)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levels, pH values, and color values in/of these parts. The TMA and VBN levels tended to increase during storage and the TMA changes in VPs were higher than those in DPs. In particular, the VP TMA content attained a maximum of 3.68 mg/100 g at 6 days, and the VBN content attained a maximum of 20.88 mg/100 g at 9 days, suggestive of initial fish spoilage. The pH ranged from 5.99-6.17 over the first 3 days and from 6.17-6.38 from days 6-15. Surface color changes on VPs and DPs were explor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th VP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evident after 3 days. The data suggest that both TMA level and lightness of the color are valuable indicators of freshness in the initial stage of mackerel retail.